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공정거래위원회 출신 고위 전관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거나 이번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계획인 상장사가 29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정거래법 개정 이후 발생할 각종 고발과 조사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상장사 29곳이 장관급인 공정위원장을 비롯해 부위원장(차관급)과 사무처장·상임위원(1급) 등 전직 공정위 관료들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거나 이번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계획입니다.

구본준 LG 고문을 중심으로 한 신설 지주사인 LX홀딩스는 오는 5월 강대형 전 공정위 부위원장을 사외이사로 뽑았습니다.

HDC현산과 두산퓨얼셀은 각각 24일과 29일 주총에서 김동수 전 위원장을 선임하는데 김 전 위원장은 2015년부터 두산중공업에서 사외이사직을 맡아왔으나 상법상 임기 제한(6년)이 지나 두산퓨얼셀로 옮기게 됐고 두산중공업은 대신 배진한 고려대 교수(공정거래학회 부회장)를 선임하기로 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도 31일 주총에서 배진철 전 한국공정거래조정원장을 선임합니다.

LG전자는 백용호 전 위원장·전 청와대 정책실장을 이미 사외이사로 두고 있는데 24일 주총에서 강수진 변호사(전 공정위 송무담당관)를 추가로 선임합니다.

DB(이동훈 전 사무처장), 현대차증권(손인옥 전 부위원장), 제이에스코퍼레이션(정호열 전 위원장)도 올해 주총에서 임기가 끝나는 공정위 출신 사외이사들을 재선임하고 손 전 부위원장과 정 전 위원장은 각각 한진과 현대제철 사외이사도 맡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기업 곳곳에서 공정위 출신이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는데 공정 3법 통과로 총수일가 일감 몰아주기 규제대상이 되는 한진칼은 주순식 전 상임위원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고 LG화학은 안영호 전 위원, 롯데케미칼은 정중원 전 위원을 택했습니다.

현대차는 2015년부터 6년간 이동규 전 사무처장을 사외이사로 뒀는데 올해부터는 심달호 전 중부지방국세청장에게 그 자리를 맡기고 현대글로비스도 6년 임기 제한에 걸린 이동훈 전 사무처장 대신 조명현 고려대 교수(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장)를 선임하기로 했습니다.

2019년 3월 안영호 전 상임위원을 2년 임기 사외이사로 선임했던 신세계는 이번에 강경원 감사원 제1 사무차장을 뽑았습니다.

기업들의 공정위 전관 사외이사 선임은 ‘로비’ 목적이라는 지적을 받는데 공정위가 제재에 나설수록 로펌에서 일하거나 사외이사로 재직하는 이른바 ‘OB’들의 일감이 늘어난다는 식인데 이에 공정위에서는 공정위 출신 OB들과 현직들의 잦은 접촉을 경계하기도 합니다.

통상 내부 감시 기능을 해야하는 사외이사직이 실제로는 별다른 존재감이 없다는 점도 그런 해석을 돕고 있는데 공정위에 따르면 2019년 5월∼2020년 5월 기준 58개 대기업집단 이사회 안건 중 사외이사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한 비율은 0.49%에 불과하고 사실상 '거수기'에 그쳤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경영진을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들이 오히려 오너경영자의 거수기 노릇에 그치고 외부 공공기관의 감시와 견제에 방패막이가 되어 주는 것은 우리나라 재벌체제의 관행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법조계에 전관예우라고 포장해 주는 것도 전관에 대한 부정한 배려로 대표적인 부정부패 사례들인데 재계에도 고스란히 이런 나쁜 관행이 남아 있는 것입니다

관료조직이 썩어서 기업을 돈벌이 수단으로 여긴다면 이런 전관이 방패막이가 되어 줄 수 있겠지만 관료조직에 대한 감시장치가 여러겹이 되어 이제는 불합리한 규제도 많이 없어졌는데도 이런 전관을 사외이사로 두는 것은 아예 관행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어느 그룹은 실력있는 전관을 맞아 경영에 도움이 되겠지만 어느 그룹은 뒷방 늙은이에게 꼬박꼬박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돌아갈 몫의 일정부분을 떼어 주고 있는 꼴입니다

사외이사제도는 IMF구제금융 시기 재벌오너일가의 경영전횡을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는데 어느샌가 권력기관 고위관료의 회전문 인사 자리가 되어 재벌오너의 거수기로 전락해 버렸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 자리가 되어 버렸습니다

고위 관료로 퇴직한 분들의 능력을 나이가 많다고 사장되게 하는 것도 아까운 일이지만 이런 식으로 말년을 보내게 하는 것도 그 분들의 명예를 더럽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공정거래위원회 출신 고위 전관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거나 이번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계획인 상장사가 29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정거래법 개정 이후 발생할 각종 고발과 조사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상장사 29곳이 장관급인 공정위원장을 비롯해 부위원장(차관급)과 사무처장·상임위원(1급) 등 전직 공정위 관료들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거나 이번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계획입니다.

구본준 LG 고문을 중심으로 한 신설 지주사인 LX홀딩스는 오는 5월 강대형 전 공정위 부위원장을 사외이사로 뽑았습니다.

HDC현산과 두산퓨얼셀은 각각 24일과 29일 주총에서 김동수 전 위원장을 선임하는데 김 전 위원장은 2015년부터 두산중공업에서 사외이사직을 맡아왔으나 상법상 임기 제한(6년)이 지나 두산퓨얼셀로 옮기게 됐고 두산중공업은 대신 배진한 고려대 교수(공정거래학회 부회장)를 선임하기로 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도 31일 주총에서 배진철 전 한국공정거래조정원장을 선임합니다.

LG전자는 백용호 전 위원장·전 청와대 정책실장을 이미 사외이사로 두고 있는데 24일 주총에서 강수진 변호사(전 공정위 송무담당관)를 추가로 선임합니다.

DB(이동훈 전 사무처장), 현대차증권(손인옥 전 부위원장), 제이에스코퍼레이션(정호열 전 위원장)도 올해 주총에서 임기가 끝나는 공정위 출신 사외이사들을 재선임하고 손 전 부위원장과 정 전 위원장은 각각 한진과 현대제철 사외이사도 맡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기업 곳곳에서 공정위 출신이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는데 공정 3법 통과로 총수일가 일감 몰아주기 규제대상이 되는 한진칼은 주순식 전 상임위원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고 LG화학은 안영호 전 위원, 롯데케미칼은 정중원 전 위원을 택했습니다.

현대차는 2015년부터 6년간 이동규 전 사무처장을 사외이사로 뒀는데 올해부터는 심달호 전 중부지방국세청장에게 그 자리를 맡기고 현대글로비스도 6년 임기 제한에 걸린 이동훈 전 사무처장 대신 조명현 고려대 교수(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장)를 선임하기로 했습니다.

2019년 3월 안영호 전 상임위원을 2년 임기 사외이사로 선임했던 신세계는 이번에 강경원 감사원 제1 사무차장을 뽑았습니다.

기업들의 공정위 전관 사외이사 선임은 ‘로비’ 목적이라는 지적을 받는데 공정위가 제재에 나설수록 로펌에서 일하거나 사외이사로 재직하는 이른바 ‘OB’들의 일감이 늘어난다는 식인데 이에 공정위에서는 공정위 출신 OB들과 현직들의 잦은 접촉을 경계하기도 합니다.

통상 내부 감시 기능을 해야하는 사외이사직이 실제로는 별다른 존재감이 없다는 점도 그런 해석을 돕고 있는데 공정위에 따르면 2019년 5월∼2020년 5월 기준 58개 대기업집단 이사회 안건 중 사외이사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한 비율은 0.49%에 불과하고 사실상 '거수기'에 그쳤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경영진을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들이 오히려 오너경영자의 거수기 노릇에 그치고 외부 공공기관의 감시와 견제에 방패막이가 되어 주는 것은 우리나라 재벌체제의 관행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법조계에 전관예우라고 포장해 주는 것도 전관에 대한 부정한 배려로 대표적인 부정부패 사례들인데 재계에도 고스란히 이런 나쁜 관행이 남아 있는 것입니다

관료조직이 썩어서 기업을 돈벌이 수단으로 여긴다면 이런 전관이 방패막이가 되어 줄 수 있겠지만 관료조직에 대한 감시장치가 여러겹이 되어 이제는 불합리한 규제도 많이 없어졌는데도 이런 전관을 사외이사로 두는 것은 아예 관행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어느 그룹은 실력있는 전관을 맞아 경영에 도움이 되겠지만 어느 그룹은 뒷방 늙은이에게 꼬박꼬박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돌아갈 몫의 일정부분을 떼어 주고 있는 꼴입니다

사외이사제도는 IMF구제금융 시기 재벌오너일가의 경영전횡을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는데 어느샌가 권력기관 고위관료의 회전문 인사 자리가 되어 재벌오너의 거수기로 전락해 버렸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 자리가 되어 버렸습니다

고위 관료로 퇴직한 분들의 능력을 나이가 많다고 사장되게 하는 것도 아까운 일이지만 이런 식으로 말년을 보내게 하는 것도 그 분들의 명예를 더럽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안녕하세요

공정거래위원회 출신 고위 전관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거나 이번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계획인 상장사가 29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정거래법 개정 이후 발생할 각종 고발과 조사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상장사 29곳이 장관급인 공정위원장을 비롯해 부위원장(차관급)과 사무처장·상임위원(1급) 등 전직 공정위 관료들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거나 이번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계획입니다.

구본준 LG 고문을 중심으로 한 신설 지주사인 LX홀딩스는 오는 5월 강대형 전 공정위 부위원장을 사외이사로 뽑았습니다.

HDC현산과 두산퓨얼셀은 각각 24일과 29일 주총에서 김동수 전 위원장을 선임하는데 김 전 위원장은 2015년부터 두산중공업에서 사외이사직을 맡아왔으나 상법상 임기 제한(6년)이 지나 두산퓨얼셀로 옮기게 됐고 두산중공업은 대신 배진한 고려대 교수(공정거래학회 부회장)를 선임하기로 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도 31일 주총에서 배진철 전 한국공정거래조정원장을 선임합니다.

LG전자는 백용호 전 위원장·전 청와대 정책실장을 이미 사외이사로 두고 있는데 24일 주총에서 강수진 변호사(전 공정위 송무담당관)를 추가로 선임합니다.

DB(이동훈 전 사무처장), 현대차증권(손인옥 전 부위원장), 제이에스코퍼레이션(정호열 전 위원장)도 올해 주총에서 임기가 끝나는 공정위 출신 사외이사들을 재선임하고 손 전 부위원장과 정 전 위원장은 각각 한진과 현대제철 사외이사도 맡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기업 곳곳에서 공정위 출신이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는데 공정 3법 통과로 총수일가 일감 몰아주기 규제대상이 되는 한진칼은 주순식 전 상임위원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고 LG화학은 안영호 전 위원, 롯데케미칼은 정중원 전 위원을 택했습니다.

현대차는 2015년부터 6년간 이동규 전 사무처장을 사외이사로 뒀는데 올해부터는 심달호 전 중부지방국세청장에게 그 자리를 맡기고 현대글로비스도 6년 임기 제한에 걸린 이동훈 전 사무처장 대신 조명현 고려대 교수(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장)를 선임하기로 했습니다.

2019년 3월 안영호 전 상임위원을 2년 임기 사외이사로 선임했던 신세계는 이번에 강경원 감사원 제1 사무차장을 뽑았습니다.

기업들의 공정위 전관 사외이사 선임은 ‘로비’ 목적이라는 지적을 받는데 공정위가 제재에 나설수록 로펌에서 일하거나 사외이사로 재직하는 이른바 ‘OB’들의 일감이 늘어난다는 식인데 이에 공정위에서는 공정위 출신 OB들과 현직들의 잦은 접촉을 경계하기도 합니다.

통상 내부 감시 기능을 해야하는 사외이사직이 실제로는 별다른 존재감이 없다는 점도 그런 해석을 돕고 있는데 공정위에 따르면 2019년 5월∼2020년 5월 기준 58개 대기업집단 이사회 안건 중 사외이사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한 비율은 0.49%에 불과하고 사실상 '거수기'에 그쳤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경영진을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들이 오히려 오너경영자의 거수기 노릇에 그치고 외부 공공기관의 감시와 견제에 방패막이가 되어 주는 것은 우리나라 재벌체제의 관행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법조계에 전관예우라고 포장해 주는 것도 전관에 대한 부정한 배려로 대표적인 부정부패 사례들인데 재계에도 고스란히 이런 나쁜 관행이 남아 있는 것입니다

관료조직이 썩어서 기업을 돈벌이 수단으로 여긴다면 이런 전관이 방패막이가 되어 줄 수 있겠지만 관료조직에 대한 감시장치가 여러겹이 되어 이제는 불합리한 규제도 많이 없어졌는데도 이런 전관을 사외이사로 두는 것은 아예 관행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어느 그룹은 실력있는 전관을 맞아 경영에 도움이 되겠지만 어느 그룹은 뒷방 늙은이에게 꼬박꼬박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돌아갈 몫의 일정부분을 떼어 주고 있는 꼴입니다

사외이사제도는 IMF구제금융 시기 재벌오너일가의 경영전횡을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는데 어느샌가 권력기관 고위관료의 회전문 인사 자리가 되어 재벌오너의 거수기로 전락해 버렸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 자리가 되어 버렸습니다

고위 관료로 퇴직한 분들의 능력을 나이가 많다고 사장되게 하는 것도 아까운 일이지만 이런 식으로 말년을 보내게 하는 것도 그 분들의 명예를 더럽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공정거래위원회 출신 고위 전관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거나 이번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계획인 상장사가 29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공정거래법 개정 이후 발생할 각종 고발과 조사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상장사 29곳이 장관급인 공정위원장을 비롯해 부위원장(차관급)과 사무처장·상임위원(1급) 등 전직 공정위 관료들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거나 이번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계획입니다.

구본준 LG 고문을 중심으로 한 신설 지주사인 LX홀딩스는 오는 5월 강대형 전 공정위 부위원장을 사외이사로 뽑았습니다.

HDC현산과 두산퓨얼셀은 각각 24일과 29일 주총에서 김동수 전 위원장을 선임하는데 김 전 위원장은 2015년부터 두산중공업에서 사외이사직을 맡아왔으나 상법상 임기 제한(6년)이 지나 두산퓨얼셀로 옮기게 됐고 두산중공업은 대신 배진한 고려대 교수(공정거래학회 부회장)를 선임하기로 했습니다.

아시아나항공도 31일 주총에서 배진철 전 한국공정거래조정원장을 선임합니다.

LG전자는 백용호 전 위원장·전 청와대 정책실장을 이미 사외이사로 두고 있는데 24일 주총에서 강수진 변호사(전 공정위 송무담당관)를 추가로 선임합니다.

DB(이동훈 전 사무처장), 현대차증권(손인옥 전 부위원장), 제이에스코퍼레이션(정호열 전 위원장)도 올해 주총에서 임기가 끝나는 공정위 출신 사외이사들을 재선임하고 손 전 부위원장과 정 전 위원장은 각각 한진과 현대제철 사외이사도 맡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기업 곳곳에서 공정위 출신이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는데 공정 3법 통과로 총수일가 일감 몰아주기 규제대상이 되는 한진칼은 주순식 전 상임위원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고 LG화학은 안영호 전 위원, 롯데케미칼은 정중원 전 위원을 택했습니다.

현대차는 2015년부터 6년간 이동규 전 사무처장을 사외이사로 뒀는데 올해부터는 심달호 전 중부지방국세청장에게 그 자리를 맡기고 현대글로비스도 6년 임기 제한에 걸린 이동훈 전 사무처장 대신 조명현 고려대 교수(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장)를 선임하기로 했습니다.

2019년 3월 안영호 전 상임위원을 2년 임기 사외이사로 선임했던 신세계는 이번에 강경원 감사원 제1 사무차장을 뽑았습니다.

기업들의 공정위 전관 사외이사 선임은 ‘로비’ 목적이라는 지적을 받는데 공정위가 제재에 나설수록 로펌에서 일하거나 사외이사로 재직하는 이른바 ‘OB’들의 일감이 늘어난다는 식인데 이에 공정위에서는 공정위 출신 OB들과 현직들의 잦은 접촉을 경계하기도 합니다.

통상 내부 감시 기능을 해야하는 사외이사직이 실제로는 별다른 존재감이 없다는 점도 그런 해석을 돕고 있는데 공정위에 따르면 2019년 5월∼2020년 5월 기준 58개 대기업집단 이사회 안건 중 사외이사의 반대로 통과되지 못한 비율은 0.49%에 불과하고 사실상 '거수기'에 그쳤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경영진을 견제해야 할 사외이사들이 오히려 오너경영자의 거수기 노릇에 그치고 외부 공공기관의 감시와 견제에 방패막이가 되어 주는 것은 우리나라 재벌체제의 관행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가 법조계에 전관예우라고 포장해 주는 것도 전관에 대한 부정한 배려로 대표적인 부정부패 사례들인데 재계에도 고스란히 이런 나쁜 관행이 남아 있는 것입니다

관료조직이 썩어서 기업을 돈벌이 수단으로 여긴다면 이런 전관이 방패막이가 되어 줄 수 있겠지만 관료조직에 대한 감시장치가 여러겹이 되어 이제는 불합리한 규제도 많이 없어졌는데도 이런 전관을 사외이사로 두는 것은 아예 관행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일 겁니다

어느 그룹은 실력있는 전관을 맞아 경영에 도움이 되겠지만 어느 그룹은 뒷방 늙은이에게 꼬박꼬박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돌아갈 몫의 일정부분을 떼어 주고 있는 꼴입니다

사외이사제도는 IMF구제금융 시기 재벌오너일가의 경영전횡을 견제하려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는데 어느샌가 권력기관 고위관료의 회전문 인사 자리가 되어 재벌오너의 거수기로 전락해 버렸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는 자리가 되어 버렸습니다

고위 관료로 퇴직한 분들의 능력을 나이가 많다고 사장되게 하는 것도 아까운 일이지만 이런 식으로 말년을 보내게 하는 것도 그 분들의 명예를 더럽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기도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019년 기준
2018년 기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