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eau-mbQLluI?si=dhPuoqxvndTpsgYU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4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전기차 케즘의 장기화로 4분기 실적이 적자전환하면서 어닝 쇼크를 내놓았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연결 기준 지난해 연간 매출 25조6196억원, 영업이익 5754억원을 달성했다고 24일 공시했는데 전년 대비 매출(33조7455억원)은 24.1%, 영업이익(2조1632억원)은 73.4% 감소한 수치입니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6조4512억원, 영업손실은 225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9.4%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는데 4분기 영업이익에 반영된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 세액 공제 금액은 3773억원으로 이를 제외한 실질적인 4분기 영업손실은 6028억원으로 적자 폭이 늘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북미지역 실적은 증가하며 전기차 케즘에서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유럽시장에서 역성장하고 메탈가격 약세로 판가가 하락하면서 적자전환하게 된 것입니다

 

2025년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전기차 케즘에서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며 20% 정도 성장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이에 따라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시장점유율 3위를 하고 있는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회복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들어서 중국에 대한 견제가 이어지면서 북미지역에서 LG에너지솔루션의 시장점유율이 늘오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일단 LG에너지솔루션은 투자를 줄여 비용절감에 나서기로 했는데 지난 해 완공한 공장들의 가동율이 떨어진 것을 끌어올리는데 주력하기로 한 것입니다

 

아울러 회복이 더딘 전기차배터리 공장라인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용으로 전환하여 수익극대화에 나서기로 한 상황입니다

 

트럼프 2기 정부에서 IRA에서 주고 있는 전기차 구매보조금을 폐지할 것으로 알려져 있어 미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일시적으로 정체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 그렇다고 전기차배터리 수요가 줄어 공급마져 줄 것 같지는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전기차 보급이 일정수준 오르면서 매년 일정 수량의 전기차배터리 교체 수요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에게 2025년은 위기이자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분기별 실적개선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 2024_4Q_실적발표.pdf
3.87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av7i7cws3ns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의 전기차 제조사 리비안과 차세대 배터리인 ‘원통형 4695 배터리’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는데 계약 물량은 총 67GWh(기가와트시)이며 향후 5년간 공급이 이뤄질 예정으로 업계에서는 수조원대 규모로 추정하고 있으며, 리비안이 새롭게 출시할 전기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인 ‘R2’에 우선 탑재될 계획으로 알려졌습니다

 

원통형 4695 배터리는 차세대 배터리인 ‘46시리즈’ 가운데 지름 46㎜, 높이 95㎜ 크기의 배터리를 말하는데 기존 원통형 배터리(2170)와 비교해 에너지 용량이 6배 이상 향상되고, 밀도·출력·공간 효율성 등 모든 면에서 성능 개선이 이뤄졌습니다

 

제조사 입장에서도 에너지당 공정 횟수 감소로 비용 및 시간 면에서 생산성이 향상돼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이번에 미국 리비안에 공급하는 원통형46시리즈 전기차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만의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하면서도 안전성을 확보한 하이니켈(High-Ni)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한 것이 특징으로 알려졌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캐즘(대중화 전 일시적 수요 정체) 여파에도 르노와 메르세데스-벤츠, 포드에 이어 이번 리비안까지 글로벌 완성차 제조사들과 파트너십을 넓혀가며, 파우치 배터리부터 46시리즈 등 다양한 제품으로 포트폴리오를 지속해서 확장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정부가 예고된 이상 인플레이션감축법IRA를 폐기한다고 해도 이를 대체할 법안을 내놓을 가능성이 크고 대중국 견제가 지속될 것으로 보여 전기차배터리 분야에서 우리나라 배터리업체들과 전략적 관계를 맺어갈 전기차 업체들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리비안의 차세대 전기차 R2는 2026년 출시를 앞둔 스포츠 유틸리티 SUV로 긴 주행거리와 경쟁력 높은 가격대 등이 장점으로 미국 전역에서 10만대 이상의 사전 계약을 이뤄냈습니다

 

일론머스크 테슬라 CEO가 트럼프 정부에 입각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전기차 지원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고 테슬라 상하이 공장 때문에라도 대중국 견제책을 민주당 처럼하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트럼프 시대에 각종 규제가 사라질 것으로 보여 전기차는 더 빠른 속도로 자율주행차와 전기차로의 이행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 2024Q3 실적발표.pdf
4.2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전기차배터리시장이 전기차 대중화 바람에 전기차 가격인하 영향으로 찬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여기다 중국 전기차배터리업체들이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는 저렴한 가성비의 LFP배터리를 앞세워 완성차 업체들과 합작공장을 세우면서 우리나라 배터리업체들의 고성능 삼원계 배터리는 가성비에서 밀리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기차 업계가 테슬라의 가격인하 정책으로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조기에 맞이 할 것으로 보이는데 기존 전기차 업체들은 전기차 가격인하를 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LFP배터리를 채용하거나 기존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의 가격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국내 전기차 배터리 3사의 합작공장들이 재검토에 들어가는 등 후폭풍이 불고 있는 상황입니다

 

11일 LG에너지솔루션·포드와 튀르키예 배터리 합작공장 설립을 추진하던 튀르키예 대기업 코치는 11일(현지시간) 공시를 통해 합작법인 설립을 위한 3자 양해각서(MOU)를 철회한다고 발표했는데 앞서 올해 2월 이들 3사는 튀르키예 앙카라 인근 바슈켄트 지역에 2026년 양산을 목표로 약 25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향후 45GWh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터어키 전기차 배터리 합작공장은 포드에 납품될 전기차 배터리로 포드의 유럽향 전기차에 장착될 전기차배터리였습니다

 

테슬라가 주도하는 전기차 가격인하 정책으로 후반 전기차 업체로 뛰어든 기존 완성차 업체들은 기존 전기차 개발계획은 모두 재검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포드는 12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연기하겠다고 밝혔고 제너럴모터스(GM)는 지난해부터 추진하던 2년간 전기차 40만대 생산 계획을 폐기하고 미시간주에 위치한 전기차 전용 공장 가동 시점을 1년 연기했습니다.

 

지금 테슬라의 전기차 가격인하에 맞불을 놓을 경우 후발 전기차 업체들인 포드나 GM은 생산할수록 손해를 보고 팔 수 밖에 없어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의 고통분담을 요구하고 있지만 전기차배터리 업체들의 과도한 투자로 가격인하에 여력이 부족한 상황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3분기 잠정실적에서도 이런 적정주가가 50만원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중국 LFP배터리의 시장잠식으로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의 시장 성장성에 불안감이 드리우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미 9월까지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CATL와 BYD의 점유율이 50%를 넘기고 있어 우리나라 전기차배터리 3사의 시장점유율을 모두 합쳐도 중국기업들의 반도 못되는 상황으로 쪼그라들고 있습니다

 

SK온은 포드와 추진했던 테네시 공장과 켄터키 1공장은 계획대로 2025년부터 운영하되 2공장 건설은 포드의 연기 계획대로 2026년 이후로 늦추기로 했고 현대차와 진행하는 북미 공장은 계획대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LG에너지솔루션도 전기차용 LFP 배터리를 오는 2026년 생산한다는 계획이고 삼성SDI도 2026년 에너지저장장치(ESS) LFP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현재 소재 생산을 검토하고 있는 중에 있고 SK온은 올 3월 인터배터리 2023에서 영하 20도 수준의 저온에서도 주행거리의 70~80%를 확보하는 LFP 배터리 시제품을 선보이고 양산을 전기차 업체와 협의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대중화가 조기에 이뤄질 것으로 보여 전기차 가격인하에 사활을 걸 수 밖에 없고 중국 LFP배터리가 가성비에서 우리나라 삼원계 배터리를 훌쩍 넘어서고 있어 우리나라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도 LFP배터리의 양산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2CePiIa-wyU

 

안녕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이 지난해 매출 25조원,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하며 연간 최대 실적을 세웠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시장 성장과 함께 파트너사를 늘리며 실적외형을 키우고 수익성도 개선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내년 매출 목표를 25%~30%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27일 지난해 연간 매출 25조5986억원, 영업이익 1조2137억원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는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3.4%, 57.9% 증가한 수치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수주 잔고는 작년 4분기 20조원을 추가 확보해 385조원을 기록해 향후 성장성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LG엔솔은 올해 연간 매출을 전년 대비 25~30% 증가시킨다는 목표를 제시했는데 글로벌 생산능력(CAPA) 확대를 위한 투자는 지난해 6조3000억원에서 올해는 9조4500억원으로 50% 이상 늘린다는 계획으로 투자과다에 수익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LG엔솔은 글로벌 생산능력(CAPA) 확대를 통해 글로벌 생산능력을 올해 200GWh에서 50% 증가한 300GWh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입니다

 

고성능 순수 전기차 약 43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으로 북미 시장의 경우 GM 합장공장 1·2기 가동 등을 통해 생산능력을 55GWh로 확대하기로 했고 폴란드 브로츠와프 생산공장은 90GWh, 한국·중국 등 아시아 생산공장은 155GWh까지 끌어올릴 예정입니다.

 

하지만 미국GM과 미국내 4공장 논의가 무산되고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를 통한 미국시장 수출규제로 공급과웅 우려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 주요 고객사인 테슬라의 가격 하락 이슈로 전기차배터리 납품가격 인하 요구가 있을 것으로 보여 전반적으로 공급가격 이슈가 문제가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여기다 LG에너지솔루션의 우리사주 보호예수 물량이 시장에 출현할 것으로 보여 공매도와 함께 주가 상승의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에 대한 외국인지분율이 5%대에 머물고 있어 수익성이 개선된다면 외국인지분율이 증가해 공매도숏커버링과 우리사주 매물을 받아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어디까지나 희망사항인 상황입니다

 

이번에 발표한 LG에너지솔루션의 2022년 온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가 70만원 정도로 평가되기 때문에 2023년 배터리 납품가 인하 압력이 크지 않아 수익성이 유지될 수 있으면 앞에 희망사항이 현실화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 20230127 유안타증권.pdf
0.78MB
LG에너지솔루션 20230125 삼성증권.pdf
0.68MB
LG에너지솔루션 2022_company_profile_KO.pdf
1.74MB

https://youtu.be/eX1aCUY8joE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3vbmrTjtpdg

안녕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l가 올해 3분기 1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와 배터리 가격 인상 효과가 주효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3분기 매출액 7조6482억원, 영업이익 5219억원을 달성했는데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89.9%,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고 삼성SDl는 3분기 매출액 5조3680억원, 영업이익 5659억원을 기록했는데 작년 동기 대비 매출은 56.1%, 영업익은 51.5% 증가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l 3분기 영업이익 총합은 1조878억원에 달하는데 양사 영업익은 모두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도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l가 역대 최대 영업익을 기록한 배경에는 전기차 배터리 판가 상승과 우호적인 환율, 전기차 배터리 공급 확대 등이 영향을 미쳤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l는배터리 단일 사업 부문 영업익이 각각 5219억원, 4848억원에 달해 전기차 배터리 부문 최초로 영업익 1조원 돌파 기록도 세웠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3분기 콘퍼런스콜에서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리튬과 메탈 등 핵심 광물의 원가 상승분이 제품에 반영되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환율 환경이 배터리 제조사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점도 실적 개선 주요인이 됐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l는 하반기도 전기차 배터리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데 삼성SDl는 콘퍼런스콜에서 “통상 4분기는 성수기로 3분기 이어 전기차 배터리 제품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면서 “글로벌 경기 침체가 당분간 지속될 걸로 예상되지만 전방 산업 상황과 고객 수요에 긴밀히 대응해 전기차 배터리 수요에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l는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서 차세대 신규 제품을 개발하고 완성차 고객 확보할 방침인데 양사는 원통형 지름을 46㎜ 파이로 키운 원통형 신제품을 개발하고 스텔란티스, 리비안 등 북미 완성차 업체와 합작사를 설립할 계획입니다.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부회장은 “전기차 배터리 견조한 수주잔고를 바탕으로 스마트 팩토리를 비롯한 수익성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 전략적 파트너십 등을 통해 전기차 배터리 선도 업체로 입지를 강화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360조원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올해만 제너럴모터스(GM), 혼다, 스텔란티스와 함께 북미 지역에 전기차 배터리 합작공장을 빠르게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최윤호 삼성SDI 대표이사는 “2030년 글로벌 톱티어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3대 경영 방침인 초격차 기술, 최고의 품질, 수익성 우위의 질적 성장 실행에 속도를 내면서 친환경 경영을 강화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양사 모두 해외사업에 공을 들이고 있어 환율효과를 본 것으로 보이는데 3분기 원달러환율이 급등하면서 수출이 주매출인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모두 환율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4분기에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실적기대감을 갖게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 20221026 하나증권.pdf
0.71MB
삼성SDI_3Q22Re 하나증권.pdf
0.7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UUNKc7NhXf0

안녕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이 ‘5년 내 연 매출 3배 이상 성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달성하겠다는 중장기 사업전략을 발표했는데 올해 연 매출 목표도 22조 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7일 실적 발표 직후 이어진 ‘2022년 2분기 실적 콘퍼런스 콜’에서 “주요 OEM과 북미 JV 확장, 원통형 전지 공급 확대 및 신규 폼팩터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지속적인 신사업 기회를 발굴해 5년 내 3배 이상의 매출 증가를 달성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차별화된 소재 및 공정 개발을 통한 기술 리더십 확보, 업스트림 지분 투자 및 장기공급계약 확대 등을 통한 밸류 체인의 안정적 운영과 스마트팩토리를 기반으로 품질 제조 역량을 강화하는 질적인 성장을 통해 영업이익률도 두 자릿수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은 세계 전기차 시장 중 성장세가 가장 빠른 북미 시장을 집중 공략한다는 방침입니다.



파우치는 주요 고객들과 JV를 확대하고, 원통형은 기존 고객과 EV 스타트업 공급 물량을 늘려 시장 경쟁력을 끌어올릴 계획이고 유럽 시장의 경우 원통형 신규 생산거점을 마련하고 아시아 시장도 중국 외 신규 생산거점 진출을 통해 고객 수요에 대응하기로 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현재 글로벌 생산역량의 아시아(59%), 유럽(34%) 비중이 북미(7%)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라며 “2025년까지 북미 시장 내 생산역량을 45%까지 끌어올려, 북미(45%) 아시아(35%) 유럽(20%) 등 고른 생산역량 체계를 갖춘다는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 대비 73% 감소한 1956억 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습니다



매출은 5조706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감소했고, 당기순이익은 889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85.7% 줄었습니다.



다만 지난해 2분기의 경우 매출ㆍ영업이익에 라이선스 대가 합의금 및 충당금 등 일회성 항목이 반영돼 있어 이를 제외하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소폭 감소한 수준이라는 것이 LG에너지솔루션의 설명입니다.



하반기에는 자잿값 인상이 판가에 본격 반영되며 상반기보다 탄탄한 실적을 낼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



이 CFO는 “7월부터는 연동된 원가가 적용되면서 전체 수익성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며 “고객들과는 대부분 마무리했고 본격적인 효과는 3분기부터 나올 것”이라고 설명했고 또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의 수주 잔액은 지난 2분기 기존 고객의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하면서 기존 300조 원에서 310조 원으로 늘었다”면서 “다양한 거래선과 신규 프로젝트로 매 분기 수주잔고는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내놓았습니다.



이에 힘입어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총 매출 목표를 22조 원으로 상향 조정했는데 올해 초 발표한 연 매출 목표 19조2000억 원 대비 2조8000억 원이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의 연 매출은 17조9000억 원입니다.



올해 하반기에는 매출 12조6000억 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는데 전년(8조5000억 원) 동기 대비 48%, 상반기(9조4000억 원) 대비 34% 상승한 수치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경기 침체가 전기차 시장 수요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 CFO는 “전기차 성장성은 지속할 것으로, 주요 거래선에서 현재 수요가 감소하지 않고 있다”며 “다만 급격한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로 전기차 수요 감소 우려는 있지만 유연하게 대응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미국 애리조나 공장 투자 방안에 대해선 다양성을 두고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이 CFO는 “애리조나 투자 검토나 고객 수요 변화 등 다른 사업적 변동 요인에 있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북미시장 내 인플레이션이 심하고 건설비, 물류비가 증가함에 따라 해결방안을 고객과 진중하게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쇼크에 의무보호예수 해제에 따라 주가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 최대주주인 LG화학은 최대주주 지분의 블록딜이 없다고 밝혀 물량부담을 줄여 주가 상승을 희망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 20220708_미래에셋증권.pdf
0.40MB
LG에너지솔루션 2022Q2 실적발표회.pdf
3.49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