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17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전날 원·달러 환율은 하루 만에 8.6원 내린 1271.9원에 거래를 마쳤는데 이달 들어 원·달러 환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지난 7일 장중 1296원까지 떨어지며 1200원대에 첫 진입한 이후 9일 종가 기준으로 약 두 달 만에 1290원대로 내려앉았고 이어 연일 하락세를 이어가다 1270원대까지 떨어지며 원화 약세가 진정되는 모습인데 한 달 전(1338.6원)과 비교하면 무려 66원 넘게 하락해 원화강세가 추세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5.00~5.25%로 동결했는데 15개월 만에 인상랠리가 멈춘것으로 미연준의 통화긴축 정책의 변화가 감지되며 성급한 투자자들은 언제 미연준이 금리인하에 나설치를 점치는 모습입니다

 

미연준이 금리인하로 돌아설 경우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 선호현상이 다시 부각될 수 있어 선취매를 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여기에 반도체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우리나라 수출도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원화강세의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지엽적이고 단편적인 기레기의 뇌피셜에 불과할 뿐 진실은 현대차그룹이 국내 전기차공장 건설을 위해 대규모 자금을 국내로 유입할 것이란 사실을 시장에 알렸고 이미 삼성전자도 평택 반도체 4라인 건설과 삼성바이오로직스 송도 5공장 건설을 위해 대규모 국내 투자를 위해 해외법인들의 달러를 지속적으로 국내로 유입시키기 시작했습니다

 

지금 외환시장에서 달러약세가 나타나고 원와에 대해 일본엔화도 약세를 나타내면서 우리 상품에 대한 해외수출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는데 이는 고스란히 무역수지적자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은 내년 대선을 앞두고 있어 기업실적을 개선시켜 경기침체를 피해야 하는 상황이고 일본은 30년만에 잃어버린 세대들이 깨어나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 경제성장을 할 수 있다는 부푼 꿈에 사로잡혀 있습니다

 

환율전쟁은 개별 국가 상품의 경쟁력을 대변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원화가치가 오른다는 것은 경제호황이라 오르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외환시장의 수급에 의한 변화와 미국과 일본의 자국 기업들의 수출가격경쟁력을 위한 노력의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6월말 원달러환율에 따라서는 우리 기업들은 대규모 환차손을 보게 될 위험도 있는데 급격한 원달러환율 변동은 이익보다 손해의 위험을 키우게 되는 것입니다

 

원화가치가 살아나고 있다고 호들갑을 떠는 언론들을 보면 멍청해도 수준이 있다는 말이 생각나는데 너무 한심한 수준에 욕마져 아깝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원화가치가 일본 엔화에 강세를 나타내면서 우리 기업들이 국제무역시장에서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고 일본기업들은 오랜만에 만난 호기를 이용해 우리 기업들이 잃어버린 시장을 줍줍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외환시장에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들은 윤석열 정부의 무능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로 국가경영 능력이 없다는 반증이 되고 있습니다

 

FTSE선진지수와 MSCI선진지수에 못 들어가는 단골이유가 국내의 작은 외환시장 규모 때문인데 개방화를 통해 이를 키울수도 없어 국내 대기업의 외환수요에 따라 이리저리 휘둘리는 모습입니다

 

정부가 외국환평형기금이나 외환시장 개입을 통해 조절할 수도 있지만 무역수지 적자가 15개월 연속으로 이어지고 있고 경상수지 마져 적자로 돌아서고 우리 투자자들의 해외 부동산 펀드 투자의 전액손실이 이제 시작되고 있어 외환시장 직접 개입은 엄두도 못내고 있어 자칫 우리나라 외환시장이 해외투기꾼들의 먹잇감이 되는 것이 아닌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이럴 때 문재인 정부 시절의 무역수지 흑자가 이어졌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상상하는 것으로 위안을 삼을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우리 기업들의 제2에 내수시장이었던 중국가 홍콩시장의 영화를 추억하며 이제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말했듯이 무역수지 적자와 경상수지 적자를 일상적인 것으로 달고 살아야 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

 

항상 보수정권이 들어서면 "각자도생"을 가슴에 새기고 살아야 한다고 누군가말했는데 새삼스럽게 다시 실감케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rB5UNn2MApk

안녕하세요

국제유가는 7일(현지시간) 미국의 금리인상 우려 완화와 중국의 원유수요 회복 기대감 등 영향으로 상승했습니다.

 

이날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에 따르면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미국텍사스산중질유(WTI) 3월물 가격은 4.1%(3.03달러) 오른 배럴당 77.14달러에 마감됐고 북해산 브렌트유 4월물은 3.3%(2.70달러) 상승한 배럴당 83.69달러에 거래됐습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이날 워싱턴D.C. 이코노믹 클럽에서 열린 대담에서 “1월 고용 지표는 우리에게 왜 이것(긴축)이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과정이 될 것인지를 보여준다"고 언급했는데 파월 의장은 또 인플레이션이 내려오는 과정인 디스인플레이션도 시작됐다면서도 갈 길이 멀다며 지금은 디스인플레이션의 매우 초기 단계라고 말해 금리인상이 지속될 것이라는 사실을 예고했습니다.

 

파월 의장의 이같은 발언이 지난주와 큰 차이가 없다는 점을 재확인하면서 미국 뉴욕증시는 오르고 달러화가 하락하면서 유가도 상승했습니다.

 

중국의 원유 수요 증가 기대감도 국제유가 상승에 일조했는데 애널리스트들은 사우디아라비아가 3월 인도 아시아 수출 원유 판매 가격을 인상한 점이 중국의 원유수요가 늘어날 것을 반영한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액티브 트레이즈의 리카르도 에반젤리스타 선임 애널리스트는 "유가는 중국의 경제 재개로 올해 원유 수요가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지를 받고 있다"라고 말했고 또한 튀르키예 지진 여파도 유가에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강타한 지진으로 세이한 원유 수출 터미널은 오는 8일까지 운영이 중단될 예정인데 해당 터미널은 하루 100만 배럴의 원유를 운송하는데 전체 원유의 1%가 이 터미널을 통해 거래되기 때문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은 이날 월례 보고서에서 올해 WTI와 브렌트유 전망치를 상향했는데 EIA는 올해 브렌트유는 평균 배럴당 83.63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고 이는 1월 전망치보다 0.6% 높아진 것으로 WTI 가격 전망치는 0.9% 올린 배럴당 77.84달러로 상향했습니다.

 

한편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국제금값은 달러약세 등에 상승세를 이어갔는데 이날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물 금가격은 전거래일보다 0.3%(5.30달러) 오른 온스당 1884.80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미연방정부의 부채한도 협상이 진척이 없어 미국 연방정부에 대한 신뢰에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데 이는 시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요인이자 달러약세의 이유가 되고 있고 이것이 국제유가를 밀어올리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fowdv1PDye0

안녕하세요

국제유가가 수요측면에서 중국의 제로코로나정책 폐기와 재개방으로 인해 수요가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상승전환되는 모습입니다

 

중국이 코로나19재확산으로 제로코로나정책 포기에도 아직 본격적인 리오프닝에 나서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데 일단 중국 입국 시 PCI검사 면제와 격리면제로 리오프닝에 시동을 건 상태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에 대해서만 입국 규제측면의 단기비자 발급 중단을 통보해와 우리 정부의 중국인 OCI검사와 격리제도에 반발하는 모습입니다

 

중국은 홍콩과 함께 우리나라에게 매년 약 600억달러 규모의 무역흑자를 안겨주던 나라인데 제로코로나정책으로 지난해에 중구과의 무역흑자는 급감하여 겨우 적자를 면하는 수준으로 가모한 상태입니다

 

중국이 본격적으로 리오프닝을 하고 한한령 철회를 할 것이라고 기대하며 중국소비주를 담았던 투자자들은 뒷통수를 제대로 맞은 상황입니다

 

중국이 우리정부를 콕찝어 단기비자발급을 중단한 것은 EU와 미국 보다 만만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중국인들에게 아직 한한령이 풀리지 않았다는 신호를 주는 것으로 인식되기도 합니다

 

중국이 본격적으로 리오프닝에 나서기 위해 우리나라의 중간재가 반드시 필요한 산업구조를 갖고 있어 국제유가 소비증가도 우리나라와의 관계정상화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여 국제유가의 상승은 제한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달 21일부터 27일까지 중국 춘제(설) 연휴 기간 중국 여행 수요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중국 당국은 여행 수요가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수준의 70%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중국의 리오프닝이 본격화될 시점이라고 기대하고 있던 터였습니다

 

국제유가는 중국 리오프닝이라는 수요측면에 기대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직전까지 국제유가가 흘러내린 것은 중국수요가 부족한 가운데 석유감산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춘절이후 중국정부의 리오프닝 정책이 어떻게 변할지가 국제유가의 방향을 정하는 바로미터가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iXYlMO8RiJE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어제의 급등에 피로감을 나타내며 이번 주 예정된 물가 지표와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로 마감했습니다. 



9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12.96포인트(0.34%) 하락한 33,517.65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99포인트(0.08%) 떨어진 3,892.09로, 나스닥지수는 66.36포인트(0.63%) 상승한 10,635.65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12일 나올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주 후반 예정된 기업들의 분기 실적을 주시하고 있는데 지난 주 발표된 고용 보고서에서 임금 상승률이 둔화하는 것을 확인한 투자자들은 지난해 12월 CPI에서 인플레이션이 추세적으로 둔화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려 할 것으로 보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바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은 12월 CPI가 전년 같은 기간보다 6.6% 올라 전달의 7.1%에서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전월 대비 상승률은 보합(0.0%)으로 전달의 0.1% 상승보다 완화됐을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물가 상승 압력이 완화하면서도 고용이 탄탄하고 기업들의 실적이 크게 악화하지 않는다면 경제의 '연착륙' 가능성에도 힘이 실리고 있는데 대형IT 업체들의 대량해고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재취업이 가능한 중소형사들이 버티고 있기 때문에 대량해고가 실업자급증으로 연결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날 발표된 뉴욕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집계한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전보다 하락하거나 같은 수준을 유지했는데 12월 조사에 따르면 1년 후 소비자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5.0%로 전월의 5.2%에서 추가 하락했고 해당 수치는 2021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것으로 3년 후 기대 인플레이션은 전월과 동일한 3%로 집계됐습니다.

 

연준이 오는 2월 회의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전보다 더 커졌는데 연준의 긴축정책이 멈춰설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여전히 연준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5%를 웃도는 수준으로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데일리 총재는 이날 한 인터뷰에서 오는 1월 31일~2월 1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지 0.50%포인트 인상할지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며 두 가지 모두 테이블 위에 있으며 앞으로 나오는 경제지표를 면밀히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연준위원들이 기준금리의 상단을 연 5.0%대 초반으로 보고 있고 여기서 더 오르지 않는다면 소비가 살아 있어 기업들의 수익성훼손이 크지 않아 경기침체 없이 경기회복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주 후반에는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씨티, 델타 항공 등의 분기 실적을 시작으로 지난해 4분기 어닝시즌이 시작되는데 팩트셋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지난해 4분기 S&P500지수 상장 기업들의 순이익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1% 감소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분기 순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과 비해서 줄어드는 것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였던 그 해 3분기(5.7%↓) 이후 처음으로 금리인상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입니다



S&P500 지수 내 11개 업종 중에서 헬스, 필수소비재, 에너지, 금융 관련주가 하락하고, 기술, 유틸리티, 자재(소재) 관련주가 올랐습니다.

 

테슬라 주가는 지난주 중국에서의 차량 가격 인하 소식에도 이날도 6% 가까이 올르고 있는데 가격인하로 판매량 증가가 나타나 재고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저가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습니다.

 

지난주 파산에 대한 우려로 폭락세를 보였던 생활용품업체 베드배스앤드비욘드 주가는 23% 이상 올랐는데 최악은 피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보험기술업체 더크 크릭 테크노롤지의 주가는 비스타 에쿼티 파트너스와의 인수 합의 소식에 46% 이상 폭등했습니다.



우버의 주가는 '파이퍼 샌들러'가 목표가를 인상했다는 소식에 3% 이상 올랐고 룰루레몬의 주가는 회사가 4분기 이익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9% 이상 하락했습니다.



골드만삭스의 주가는 이번 주 대규모 감원을 단행할 것이라는 소식에 1.4%가량 올랐는데 인원감축이 수익성 회복에 도움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입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시장의 분위기가 지난해 말보다 낙관적인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연착륙에 대한 기대도 살아나고 있다고 말했는데 미연준의 기준금리인상이 연 5.0%대 초반에서 멈출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인데 소비시장이 살아 있기 때문에 기업실적 악화도 그리 심하지 않아 경기침체에 빠지지 않고 경기회복에 성공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연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으로 경기침체 직전에 인플레이션을 잡는데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 긴축정책이 올 해 안에 끝나고 다시금 금리인하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미국경제가 진정한 의미에서 완전고용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인플레이션 고통이 없는 골드락스에 들어갈 수 있다는 희망도 대두되고 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미 연준이 오는 2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9.2%로 전장의 75.7%에서 상승했는데 연준이 해당 시점에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20.8%로 전장의 24.3%에서 하락했습니다.

 

미연준이 금리인상의 속도조절에 나서 올 하반기 금리인상을 멈출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여전히 상반기에는 금리인상을 지속할 것이라는 현실에 직면해 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84포인트(3.98%) 오른 21.97을 나타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mp15kt_s5So

안녕하세요

미국 중간선거를 앞두고 원달러환율이 급락하고 있습니다

 

미국 공화당이 상하원을 모두 장악해 조 바이든 대통령의 증세정책에 브레이크를 걸고 미 연준의 통화정책도 속도조절에 들어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달러강세를 급격하게 누그러뜨리고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해외로 수출한다는 말까지나올 정도였는데 이번 중간선거를 통해 친기업적인 정책의 공화당이 하원을 장악하면서 증세정책에 브레이크를 걸고 재정지출도 점차 줄여갈 가능성이 커 졌기 때문에 달러강세가 점차 누그러뜨려질 것이라는 기대감이 원달러환율에 선반영되는 모습입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도 연7%대로 하락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미 연준의 금리인상에 속도조절론이 힘을 얻도록 하고 있습니다

 

미국이 수출하던 인플레이션이 달러약세와 함께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때마침 중국 경제도 기존의 제로코로나정책을 완화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우리나라는 수출증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기획재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으로 의심되는 외환보유액 감소가 안타까울 따름인데 너무 섣부르게 외환시장에 개입해 쓸데없이 수백억 달러의 외환보유액을 날려먹었기 때문입니다

 

공화당이 상하원을 장악할 경우 달러약세를 통해 미국 기업들의 수출경쟁력 강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IiQR37gta38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여전히 강한 모습을 보이자 급락한 후 다시 급반등하는 등 변동성이 큰 모습을 보였습니다.



1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827.87포인트(2.83%) 오른 30,038.72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92.88포인트(2.60%) 뛴 3,669.91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232.05포인트(2.23%) 상승한 10,649.15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S&P500지수는 6거래일 연속 하락세를 마감하고 7거래일 만에 반등했는데 지수는 CPI 발표에 장중 올해 들어 최저치를 경신했으나 기술적 매수세가 나오며 반등에 성공했고 S&P500지수의 하루 등락폭은 2020년 3월 이후 최대였습니다.



투자자들은 9월 CPI 발표 이후 인플레이션 장기화 가능성을 우려했습니다.



개장 전 발표된 9월 CPI가 예상치를 웃돌자 주가지수선물은 곧바로 큰 폭으로 밀렸고 개장 후 주가는 낙폭을 최대 3%까지 키웠으나 이후 급반등세로 돌아섰는데 국채 금리는 이날 상승분을 상당 부분 되돌렸고 달러지수도 하락세로 급반전했습니다.



일각에서는 S&P500지수가 크게 하락하면서 기술적 반등이 나왔다고 분석했고 또한 주거비가 하락하고 있어 인플레이션이 고점에 다다랐다는 기대도 다시 살아났습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9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2% 오르고, 전월보다는 0.4% 올랐습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 예상치인 8.1% 상승과 0.3% 상승을 모두 웃도는 수준으로 9월 CPI는 지난 8월 기록한 8.3% 상승보다는 소폭 하락했으나 지난 6월 9.1%, 7월 8.5%, 8월 8.3%, 9월 8.2%로 인플레이션은 8%를 웃도는 수준에서 좀처럼 내려오지 않고 있고 여기에 9월 CPI는 전월 대비로 0.4% 올라 전달의 0.1% 상승을 웃돌았습니다.



변동성이 큰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1982년 8월 이후 40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9월 근원 CPI는 전년 대비 6.6% 올랐고, 전월 대비 0.6% 상승했는데 월가 예상치인 6.5%와 0.3%를 모두 웃돌았고 전달 수치는 각각 6.3%, 0.6%였습니다.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올해 3%포인트가량 금리를 인상했음에도 연준의 목표치를 몇 배 웃도는 물가 상승세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어 당분간 긴축정책은 이어질 가능성이 더 커졌습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4.07%까지 올랐다가 4% 아래로 떨어졌는데 연준의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물 국채금리는 4.53%까지 상승했다가 4.46%로 오름폭을 축소했습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지수는 113.921까지 올랐다가 112.454까지 떨어졌습니다.



미 금리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11월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97%에 육박했고 또한 11월 회의에서 1%포인트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3% 수준으로 처음으로 1%포인트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등장했습니다.



바클레이즈는 이날 CPI 발표 이후 내년 2월까지 연준이 기준금리를 5.00%~5.25%까지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는 11월과 12월에 각각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하고, 내년 첫 회의인 2월에도 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할 것을 가정한 것입니다.



실업자가 늘고는 있지만, 여전히 실업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연준의 고강도 긴축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 8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9천 명 증가한 22만8천 명으로 집계됐고 실업보험 청구자수 증가세는 완만한 수준입니다.

 

미연준이 금리인상을 하기 좋은 환경이 유지되고 있어 당분간 통화긴축은 이어질 가능성이 더 높아졌습니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올랐고, 금융주와 에너지 관련주가 4% 이상 오르며 상승을 주도했고 기술주와 자재(소재) 관련주도 3% 내외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장중 1만9천 달러 아래로 떨어졌으나 이후 반등에 성공했는데 코인베이스의 주가도 이 영향으로 장중 10% 이상 하락했다가 보합권으로 낙폭을 줄였습니다.



델타항공의 주가는 분기 매출이 팬데믹 이전 수준을 웃돌았다는 소식에 4% 이상 올랐고 월그린스부츠얼라이언스의 주가는 분기 매출과 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5% 이상 올랐습니다.



도미노스피자의 주가는 매출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10% 이상 상승했습니다.

 

미국의 소비주들이 코로나19엔데믹에 따라 소비가 살아나면서 전반적으로 기저효과를 누리며 주가도 살아나는 모습입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인플레이션이 너무 강하다며 연준이 인플레이션이 둔화한다는 신호가 나올 때까지 금리를 올리고 높은 금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고 이는 기존 시장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단기적으로 시장 급락을 발생시킬 거시경제 지표는 다 나왔다는 사실에 저가매수세가유입되며 시장을 드라마틱하게 끌어올렸지만 이는 역실적장세를 앞두고 그나마 개인투자자들의 추격매수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구로 보이는데 기관투자자들이 매도할 주식이 아직도 많은 상황에서 이를 개인투자자들이 받아주지 않으면 시장은 파국을 맞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11월에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96.6%를, 금리를 1%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3.4%를 기록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63포인트(4.86%) 하락한 31.94를 나타냈습니다

 

미국시장의 패턴이 반복되고 있는데 급락 후 저가매수세가 유입되어 반등이 나오면 어김없이 차익실현 매물에 더 큰 폭락이 나타나는 양상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 동안 유동성 장세가 만든 주가버블이 그 만큼 컸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고 이를 다시 정상가격으로 되돌리기 위한 바닥탐색은 미연준의 긴축정책이 언제 끝나느냐를 알아야 예상할 수 있을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