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jVVaFm4axBE

안녕하세요

25일 LG에너지솔루션 주가가 8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시가총액 100조원을 회복했습니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7.6% 오른 43만9000원에 거래를 마쳤는데 지난 16일부터 이날까지 8거래일 동안 주가는 22.1% 올랐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1분기에 기존 컨센서스(시장 전망치)보다 좋은 실적을 달성할 거라고 예상한 증권사들이 목표주가를 일제히 상향 조정하면서 주가가 상승했는데 NH투자증권은 목표주가를 종전 43만원에서 55만원으로 28% 올리며 가장 큰 폭으로 조정했고 신한금융투자는 52만원에서 55만원으로, 삼성증권은 44만원에서 5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주요 고객인 테슬라의 전기차 판매가 중국에서 견고한 흐름을 보이면서 LG에너지솔루션의 원통형 전지 수요 역시 늘어나 올해 1분기 실적이 양호할 것이라고 증권가는 분석했는데 LG에너지솔루션이 생산하는 자동차전지(파우치형) 매출은 미국 제너럴모터스(GM), 독일 폭스바겐 등 전통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생산 차질 문제로 줄었지만 테슬라의 올해 1분기 중국 생산량(2월 누적 11만6000대)이 지난해 1분기(17만8000대)보다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면서 테슬라 차량에 들어가는 원통형 전지 매출이 늘어났습니다.

 


조현렬 삼성증권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은 전통 완성차 업체와 테슬라를 모두 주요 고객사로 삼고 있다"며 "고객 다각화에 따른 프리미엄을 누리며 경쟁사 대비 실적 방어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올해 1분기 매출액은 4조4230억원, 영업이익은 1700억원으로 각각 컨센서스를 1%, 6% 상회할 것이라고 NH투자증권은 전망했습니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니켈 가격이 최근 안정화되는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이 최종 고객사에 원자재 가격 인상 부담을 원활히 전가하고 있는 것도 주가 상승을 이끌었는데 니켈 가격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으로 급등했으나 최근 가격 조정에 들어갔습니다.

 

윤혁진 SK증권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이외 지역 생산이 늘어나면서 최근 급등한 니켈 등 배터리 소재 가격이 조정에 접어들었다"며 "배터리 원가에 대한 우려는 정점을 지났다"고 평가했습니다.

 


니켈, 코발트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희유금속의 가격 상승분을 기존 계약에 따라 최종 고객사에 넘기면서 가격 변동성이 낮은 알루미늄, 구리 등 범용 소재에 대해서는 판가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것도 LG에너지솔루션의 수익성 둔화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신한금융투자는 밝혔습니다.

 


가장 큰 북미 시장 투자를 늘리고 있는 것도 LG에너지솔루션 주가 상승의 원인 중 하나라고 증권가는 분석했는데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23일 4개 공시를 통해 미국, 캐나다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짓기 위해 총 6조50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상장 직후 발표한 GM 3공장 증설에 이어 이날은 글로벌 자동차 업체 스텔란티스와 손잡고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시에 합작 공장을 짓는다고 밝혔는데 양사 투자 금액은 4조8000억원으로, 올해 하반기에 착공해 2024년 상반기 양산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주 퀸크리크에도 1조7000억원을 투자해 자체 배터리 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라고 이날 밝혔는데 생산 능력은 총 11GWh 규모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지난 2021년까지 실적은 적자를 이어가고 있는데 그나마 적자폭이 줄고 있어 올 해 흑자전환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최근 외국인투자자들의 순매수 전환은 LG에너지솔루션의 실적호전 기대감에 기반한 것으로 10조원의 공모자금으로 이자수익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인데 금리인상 시기라 보유 현금이 많을수록 재무적 이익이 늘기 때문입니다

 

영업이익의 질을 따져 봐야 하는데 2차전지 판매를 통한 수익인지 아니면 공모자금의 이자수익이 증가한 것인지에 따라 기업가치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LG에너지솔루션20220120삼성증권.pdf
1.39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VhCQnWoVwz0

안녕하세요

LG엔솔은 전 거래일 대비 7.03%(2만7500원) 내린 36만3500원에 거래를 마쳤는데 장중 7.54%까지 낙폭을 기록하면서 36만1500원까지 하락하기도 했고 이는 상장 이후 최저치로 LG엔솔은 지난 1월27일 공모가인 30만원의 두 배에 가까운 59만7000원에 시초가를 형성한 뒤 줄곧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LG엔솔은 지난 11일에도 6%대 낙폭을 기록하며 39만원대로 추락했고 이틀간 날아간 시가총액만 12조6360억원에 이릅니다.

 

LG엔솔의 모회사인 LG화학의 주가도 동반 급락세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런 주가급락에 두 회사 소액주주들 모두가 분노하고 있는데 LG화학 최대주주측이 주주들의 돈으로 전기차배터리 사업에 투자하려고 분할상장한 것인데 두 회사 모두 주가가 급락하면서 소액주주들과 외국인투자자들도 분노하고 있습니다

 

LG엔솔과 LG화학의 주가 급락은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과 공매도에 원인이 있는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국제원자재 공급망에 불안감이 드리우고 실제 러시아 경제제재에 각종 원자제 가격이 급등하고 있어 원가부담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기차 배터리의 주요 소재인 니켈과 구리 가격이 급등세를 타고 있어 LG엔솔 실적에 우려를 드리우고 있는데 LG엔솔의 실적부진으로 고스란히 LG화학의 지분법 실적에 반영되기 때문에 실적이 연동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여기다 이런 분위기를 감지한 공매도 세력들이 LG엔솔과 LG화학에 대한 공매도를 집중시키고 있어 주가급락의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안정세를 나타내고 LG엔솔의 실적에 대한 불안감이 사라져야 공매도세력들이 숏커버링에 나설 것 같은데 그때까지는 악순환에 공모가까지 밀릴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tkTLqkFeh0

안녕하세요

7일(현지시간) 니켈 가격은 런던금속거래소(LME)에서 전거래일보다 62% 폭등한 4만6850달러를 기록했는데 이는 역사상 최고 상승폭입니다.

 

미국 의회가 러시아산 원유 수입 금지 결의안 초안을 통과시키자 다른 러시아산 원자재 수출도 제재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니켈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보이는데 러시아는 세계 니켈 수출의 10%를 차지하는 주요 생산국이라 러시아 경제제재에 니켈이 수출금지 종목이 되면 서방은 니켈공급망 문제에 큰 구멍이 나게 됩니다

 

미국이 러시아산 석유의 수출금지 정책을 들고 나왔을 때 독일이 반대하는 이유는 러시아산 석유수출의 금지조치가 러시아에 타격을 주기 전에 서방에 더 큰 타격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미국이 이를 들고 나온 것은 미국산 셰일오일과 러시아산 석유가 경쟁관계에 있기 때문에 러시아산 석유를 금수할 경우 미국 셰일오일 업체들이 반사이익을 받기 때문이고 독일은 에너지난이 가중 될 수 있기 때문에 반대한 것입니다

 

니켈도 동일한 사례로 우리나라는 니켈 소비가 많은 LG엔솔과 SK온, 삼성SDI 같은 회사들이 있어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국제공급망 문제에 니켈관련주들에도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국제유가와 천연가스의 뒤를 이어 밀과 옥수수 등 식량과 니켈같은 비철금속에 대한 종목찾기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니켈관련주

대신2X니켈선물ETF

대신니켈선물ETF

유에스티

티플랙스

황금에스티

현대비앤지스틸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의 비중이 2020년 기준 2%에서 2025년 27%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배터리 제조 업체들이 코발트, 니켈, 망간, 천연흑연 등 배터리 원재료 가격 급등에 원가부담으로 수익성 저하 우려가 대두되고 있고 주가도 급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 배터리 제조 업체들은 배터리 소재를 안정적으로 수급하기 위해 '재활용'과 '대체재 개발'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국내 전기차 배터리는 소재를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는데 배터리의 4대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만 해도 해외 의존도는 대략 64%로 배터리 비용 중 재료비가 약 44%를 차지기 때문에 해외에서 가격을 올리거나 수출을 막으면 전기차 시장이 크게 요동칠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양극재의 원료인 코발트는 최근 3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는데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로 인해 중국의 코발트 제련 공장이 가동을 멈춘 것이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한국광물자원공사가 이달 8일 발표한 바에 따르면 7일 기준 코발트 가격은 톤(t) 당 6만9000달러(약 8190만 원)으로 지난해 평균 가격과 비교하면 119% 올랐고, 최근 3년 중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다른 원료인 리튬 가격은 킬로그램(kg)당 190.5위안(약 3만5400원)을 기록해 지난해 평균 가격 대비 410% 올랐고 니켈 가격은 지난해 평균 가격보다 47% 올라 톤당 약 2만305달러(약 377만4293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전기차 배터리 제조 업체는 폐배터리에서 코발트, 니켈, 리튬 등을 회수해 재활용하는 사업에 주목하고 있는데 LG화학과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은 이달 15일 북미 최대 배터리 재활용 업체인 '라이-사이클'에 총 900억 원을 투자해 2.6%의 지분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는데 라이-사이클은 배터리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폐기물과 폐배터리에서 니켈을 추출해 2023년부터 10년에 걸쳐 니켈 2만 톤을 LG화학과 LG에너지솔루션에 제공할 예정으로 이는 고성능 전기차 30만 대분의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는 분량입니다.

 


SK이노베이션 역시 지난 8월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고 올해 말 BMR(Battery Metal Recycle) 대전 환경과학연구원에 데모 공장을 짓고 내년부터 가동한다고 밝혔고 데모 공장을 통해 생산성과 상업화가 검증되면 2024년 해외 배터리 생산기지에 정식 공장을 지을 계획인데 SK이노베이션은 폐배터리에서 수산화리튬을 회수하는 독자 기술을 개발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삼성SDI는 2019년 폐배터리 재사용 전문기업인 피엠그로우에 지분을 투자하고 를 하는 등 전문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배터리 재활용 방안을 검토 중이고 또 다른 폐배터리 재활용 기업인 성일하이텍과도 지속적으로 협력 중인데 음극재 소재인 천연흑연은 인조흑연과 실리콘으로 대체하는 방안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음극재에 쓰이는 흑연 플레이크의 가격은 톤당 4500위안(약 83만 원)으로 올해 초 평균 가격보다 40% 증가했고, 이는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가격으로 현재 전 세계 흑연의 60~70%를 중국이 생산하고 있는데 한국에서 사용하는 흑연의 88%도 중국산입니다.

 


천연흑연 대신 인조흑연으로 음극재를 만들면 용량이 더 큰 배터리를 만들 수 있지만, 가격이 비싼데 실리콘으로 만든 배터리 용량은 천연흑연으로 만든 배터리 용량의 약 3배지만, 충방전시 부풀어 오르는 기술적 이슈가 있어 첨가제로 쓰이고 있는데 하지만 배터리 제조사들은 이런 리스크를 감안해도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포스코케미칼은 포항에 연 8000톤 규모의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공장을 국내 최초로 준공하고 이달 2일 준공식을 개최했는데 오는 2023년 종합 준공까지 하면 연간 1만6000톤 규모의 인조흑연 음극재를 생산할 수 있고 또한 중국 인조흑연 음극재 회사 시누오사의 지분 15%를 인수하기도 했습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내년 GM과의 합작법인인 얼티엄셀즈에서 양산하는 배터리에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할 것으로 보이는데 삼성SDI는 배터리의 실리콘 함량을 최대 7%까지 올렸고, 향후 실리콘 함량을 더 높일 예정이고 SK온은 NCM(니켈코발트망간)으로 만든 양극재와 실리콘으로 만든 음극재로 배터리를 만들어 내년 미국 포드사의 전기차에 탑재한다는 계획입니다

 

중국의 전기차배터리 소재와 원재료 가격 상승이 결국 전기채배터리 제조사들의 수익성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인데 내년 전기차배터리 납품가격 인상에서 원재료와 소재 가격 인상분을 반영하지 못할 경우 전기차 배터리 업체들이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