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증시는 러시아산 원유에 대한 서방의 제재 가능성에 국제 유가가 폭등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와 경기 충격 우려가 커져 폭락했는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침략에 대해 미국이 더 히스테리를 부리는 것 같습니다
7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97.42포인트(2.37%) 하락한 32,817.38로 장을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27.78포인트(2.95%) 떨어진 4,201.09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482.48포인트(3.62%) 밀린 12,830.96으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최근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고, 나스닥지수는 지난해 11월 기록한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며 S&P500지수도 이전 고점 대비 12% 이상 떨어져 투자자들을 망연자실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달러 수준으로 오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는데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이 예고된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급등에 따른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도 커진 것입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성장률이 둔화하고 실업률은 치솟는 상황을 말하는데 아직까지 미국고용동향은 완전고용에 가깝게 유지되고 있지만 금리인상 후는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과 브렌트유 가격이 아시아 시장에서 한때 130달러를 넘어서는 등 고공행진을 지속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는데 에너지가격 상승은 모든 분야에 가격인상 요인을 자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 방안으로 러시아산 석유 수입 금지를 유럽 동맹국들과 논의 중이라고 밝힌 것이 유가 폭등을 불렀는데 다만 독일이 러시아산 원유 의존도를 고려해 러시아산 원유는 제재 대상에서 제외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유가 상승률이 낮아졌으나 여전히 120달러를 웃도는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AAA 협회에 따르면 미국 전국 휘발유 평균 가격은 갤런당 4.06달러를 돌파해 2008년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는데 지금 당장은 미국인들이 우크라이나를 불법 침공한 러시아를 응징해야 한다는 점에서 고통분담에 동의하지만 평소같으면 조 바이든 정부의 중간평가에서 낙제점을 받을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 금지 조치와 관련해 "어떤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다"고 말했는데 알렉산드르 노박 러시아 에너지 담당 부총리는 서방의 러시아 원유 수입 금지 조치는 원유 시장에 재앙적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유가가 배럴당 300달러도 돌파할 수 있다고 경고했고 그는 유럽이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제재를 가할 경우 현재 가동 중인 '노르트 스트림-1' 가스관을 통한 독일로의 가스 공급을 중단할 수도 있다고 위협했습니다.
인플레이션 우려에 국채금리는 오름세를 보였는데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 장중 1.80% 올랐으며, 증시 마감 시점에 1.77% 수준에서 거래됐습니다.
미국 소매업체 베드 배스 앤드 비욘드의 주가는 라이언 코헨 게임스톱 회장이 베드 배스의 지분 9.8%가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공개하면서 34% 올랐고 우버 주가는 회사가 올해 1분기 순익 전망을 상향했다는 소식에도 4% 이상 하락했습니다.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의 주가는 행동주의 투자자 칼 아이컨이 남은 보유 지분을 모두 처분했다는 소식이 나온 가운데 1% 이상 하락했습니다.
유가 상승에 원유 시추업체 베이커 휴스의 주가가 4% 이상 오르고, 셰브런과 엑손모빌의 주가가 각각 2%, 3% 이상 올랐는데 국제유가 급등에 서방의 석유관련 회사들 주가가 랠리를 펼치고 있습니다
지금의 국제유가 상승은 미국 셰일오일 회사들에게 축복이 되고 있고 여기다 러시아산 석유금수 조치는 미국 셰일오일회사들의 수출길에 빨간 융단을 깔아준 꼴이라 여기에 많은 투자를 해 놓은 미국 월가를 흥분시키기에 충분해 보입니다
국제유가 급등으로 모두가 괴로워하지만 미국 월가는 오히려 그 동안 골머리를 앓고 있던 미국 셰일오일의 가치가 폭등하면서 투자금 회수의 호기를 맞고 있습니다
S&P500지수 중에 임의소비재와 통신, 기술, 금융, 자재(소재) 관련주가 모두 3% 이상 하락했는데 에너지와 유틸리티 관련주만이 상승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올해 3월 연준이 금리를 25bp 인상할 가능성은 92%에 달했고 금리 동결 가능성은 8.0%, 50bp 인상 가능성은 0%로 나타났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4.47포인트(13.98%) 오른 36.45를 기록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유가 폭등으로 인해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는데 국제유가 급승으로 금리인상 속 경기침체인 스테크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팬데믹의 뒤를 이어 공급망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것은 선진국과 자원부국인 후진국들 간에 코로나19 극복의 시간차기 존재하기 때문인데 코로나19백신과치료제를 부유한 선진국들이 독과점하면서 코로나19엔데믹으로 먼저 건너갈 수 있었지만 각종 자원을 공급하는 후진국은 일할 인력이 부족해 회복한 수요를 맞추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다 자원부국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은 이런 공급망 문제를 더 심화시키고 있는데 오직 미국만 미국산 셰일오일과 미국 밀 등의 가격 폭등으로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는 꼴입니다
조바이든 미국 정부는 중간평가에서 미국 월가의 지지와 미국인들의 지지를 모두 받아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 러시아라는 확실한 악당을 등장시켜 미국인들이 인플레이션이 외부의 적인 러시아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만드는데 성공한 모습입니다
러시아산 육상유전에서 생산된 석유가 유럽과 우리나라, 일본 등에 수출되지 못하면 그 빈자리는 미국 셰일오일이 차지하게 되고 우크라이니와 러시아산 밀의 수출이 중단되면 이집트와 아프리카, 서남아시아의 빈국들은 미국산 밀에 대한 의존도를 높일 수 밖에 없습니다
미국산 상품들은 다 비싸지만 공급망에 문제가 있는 한 쓸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만들어져 미국은 남의 고통 속에 큰 폭리를 취할 수 있는 것입니다
미국 주도의 러시아산 석유금수조치를 독일이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은 러시아산 석유마져 공급망에서 퇴출 될 경우 독일과 서유럽이 직면한 에너지 부족을 당장 메워줄 곳이 미국산 셰일오일 밖에 없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옛날 말 대로 부르는게 값이고 땅 짚고 수영하는 식으로 미국이 너무 탐욕을 부린다고 생각하는 선진국들이 늘고 있고 우리나라는 미국산 셰일오일을 가져다 쓰고 있어 피해가 더 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켈관련주 러시아 우크라이니침공 여파 가격 급등에 동반 강세 (0) | 2022.03.08 |
---|---|
에스디바이오센서 조영식 의장 바이오업계 배당금 1위 기록 (0) | 2022.03.08 |
국제유가 급등세 미국 러시아 석유 수입금지 결정 (0) | 2022.03.08 |
삼성전자 사이버 범죄 집단 랩서스 해킹 사실 인정 국정원은 국가 주요 핵심기술 유출 여부는 부인 (0) | 2022.03.07 |
신송홀딩스 우크라이나 농산물 수출허가제 도입 소식에 상한가 (0) | 2022.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