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SK이노베이션이 미국 배터리 공장 건설을 위해 '그린론'(Green Loan) 방식으로 1조원을 조달하기로 했습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지난달 이사회를 열고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제2공장 건설 투자금으로 1조900억원(약 9억8천6백만 달러) 규모의 그린론을 조달하기로 했습니다.

그린론은 전기차나 신재생 에너지 등 친환경 분야로 용도가 제한된 대출제도로, 금융기관 인증을 통해 사업의 친환경성을 인정받을 수 있고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 조달이 가능합니다.

SK이노베이션의 미국 전기차 배터리 자회사 'SK배터리아메리카'(SKBA)가 금융기관과 1조원 규모의 그린론 계약을 체결하고, SK이노베이션이 채무보증을 서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그린론 계약은 이달 중 진행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린론을 통해 확보한 자금은 미국 조지아주 전기차 배터리 제2공장 건설을 위해 사용됩니다.

지난해 착공한 제2공장은 11.7GWh(기가와트시) 규모로 2023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건설비는 총 15억달러(약 1조8천억원)로 추산됩니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4월 SKBA 주식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미국 배터리 2공장에 8천944억원을 투자했는데 이번 그린론 계약을 통해 나머지 1조원 규모의 공사비를 충당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2019년 국내 기업 중 처음으로 그린론을 활용해 8천억원을 조달한 바 있는데 당시 자금은 해외 전기차 배터리 공장과 분리막 생산 공장 건설 투자금으로 활용됐습니다.

지난해 LG화학은 폴란드 전기차 배터리 공장 증설을 위해, 현대중공업은 친환경 연료 사용 선박 기술 개발을 위해 각각 7천억원, 4천800억원 규모의 그린론 계약을 맺었습니다.

SK이노베이션 관계자는 "그린론을 성공적으로 조달한 것은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사업이 친환경 미래사업으로서 가치와 성장성을 인정받은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먼저 공사에 들어간 9.8GWh 규모 미국 조지아주 배터리 1공장은 최근 시험생산을 위한 준비가 완료됐고, 올해 상반기 중 시운전에 들어갈 것으로 전해졌고 제1공장 양산 목표 시점은 내년 1분기입니다.

SK이노베이션은 미국 제 1·2공장을 바탕으로 2025년까지 연간 생산능력을 현재 19.7GWh 수준에서 100GWh까지 확대하고,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3위 안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SK이노베이션의 글로벌 전기차(EV, PHEV, HEV) 탑재 배터리 사용량은 6.5GWh로, 전체의 5.5%를 차지해 5위를 기록했습니다.

LG화학이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 화재 사건의 책임 공방으로 현대기아차그룹과 사이가 틀어지면서 SK이노베이션과 삼성SDI에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지금은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CALT과 글로벌 1위를 두고 경쟁하고 있지만 조만간 SK이노베이션과 삼성SDI에 역전당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