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 월가에서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아케고스의 대표가 현대모비스의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 헤지펀드 아케고스는 투자은행으로부터 자본보다 몇 배 많은 부채를 조달해 투기적 투자를 했다가 대규모 블록딜로 시장혼란을 가져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아케고스에 돈을 빌려준 노무라 증권은 약 2조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고 또 크레딧스위스는 최대 40억 달러 규모의 손실이 예상되고, UBS 등도 대규모 손실을 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아케고스의 대표를 맡고 있는 브라이언 존스는 2019년부터 현대모비스의 사외이사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재무 전문가로 브라이언 존스 대표를 사회이사로 선임하며 글로벌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이사회 멤버로 선임해 급변하는 자동차 환경에 대응하겠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브라이언 존슨 대표는 이사회 내에서 감사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등에 참여하고 있는데 미국 월가에 큰 혼란을 자초하고 투자은행들에게 큰 손실을 입힌 인물이 감사위원회와 투명경영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다면 그런 곳에서 제대로된 경영진 견제가 가능할까요?
현대모비스는 아직 사외이사의 거취를 변경할 단계는 아니라고 밝혔는데 아주 한심하고 안일한 대응이라고 생각합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해당 사외이사의 개인 일탈 문제가 아니고 현재 아케고스에서도 투자업무가 아닌 경영지원 총괄 업무를 맡고 있다”며 “IB 분야에서의 경력과 전문성을 인정해 선임한 것이고 아케고스와 현대모비스 사외이사 업무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현 상황에서 거취에 대해 논의할 단계는 아니”라고 말했는데 경영지원 총괄이기에 아케고스 전반에 운영사항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위치에 있는 것입니다
다만 브라이언 존스가 직접 입장 표명을 할 가능성도 있는데 아케고스의 투자방식(TRS: 총수익 스와프)가 불법은 아니지만 시장에 파장이 큰 만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높고 조사 과정에서 불법성이 확인 될 경우 투명경영위원회 활동에 제약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대모비스가 브라이언 존스의 거취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현대기아차 그룹 지배구조 변경에 있어 아케고스와 모종의 거래가 있기 때문이 아닌지 의구심이 들 정도입니다
현대모비스가 현대기아차그룹의 실질적인 지주회사인데 그렇게 중요한 회사에 대형 금융사고를 친 인사를 사외이사로 둔다는 것은 상식 밖이라 생각됩니다
현대모비스 경영진과 이사회의 도덕성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는 생각마져 듭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성옵틱스 이재선 대표 바이오로그디바이스와 코렌 경영권 매각 불확실성 부각 하락세 (0) | 2021.04.05 |
---|---|
iHQ 디즈니 플러스 국내 시장 진출 수혜와 M&A 불확실성 제거 수혜 기대감 (0) | 2021.04.05 |
코스메카코리아 국내외 화장품시장 회복세 실적호전 기대감 (0) | 2021.04.05 |
신성델타테크 LG전자 애플 전기차 위탁생산 기대감에 동반 강세 (0) | 2021.04.05 |
효성첨단소재 한화솔루션과 고압용기에 쓰이는 고강도 탄소섬유 장기 공급 계약 체결 (0) | 2021.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