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중국 2위 부동산 개발 업체인 헝다(恒大·에버그란데)가 23일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를 가까스로 넘겼습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헝다가 '기술적'으로 공식 디폴트가 나지 않게 관리했을 뿐이지 실제로는 디폴트에 한 걸음 더 바짝 다가섰다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가 헝다의 핵심인 부동산 사업 부문을 분리해 국유화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중국 정부가 실제 개입에 나설 것인지에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23일 중국 매일경제신문 등에 따르면 헝다는 당초 23일 달러 채권 이자 8천350만 달러(약 993억원)와 위안화 채권 이자 2억3천200만 위안(약 425억원)을 지급해야 했는데 헝다는 전날 공고를 내고 2억3천200만 위안의 위안화 채권 이자 지급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헝다 측이 내놓은 '해결'이란 애매한 표현을 둘러싼 해석이 분분한 가운데 시장에서는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헝다가 온전히 이자를 지급하지 못하고 채권 보유 기관과 협상을 통해 이자 전체 또는 부분 지급 시한을 연장하는 등의 미봉책을 썼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헝다 측은 이날 지급해야 할 달러 채권 이자 지급 여부를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는데 다만 이 채권 계약서상으로는 예정일로부터 30일 이내까지는 이자 지급이 이뤄지지 않아도 공식 채무 불이행(디폴트)을 선언한 것으로 간주하지 않게 되어 있어 아직은 시간이 좀 있는 모습입니다.

 

결과적으로 헝다는 유동성 위기의 1차 고비로 여겨진 23일에 디폴트를 내지는 않고 시한폭탄에 불을 붙인 상태가 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헝다는 전날 밤 11시(현지시간) 창업자인 쉬자인(許家印) 회장 주재로 4천여명의 간부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온·오프라인 연계 회의를 열고 사업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는데 쉬 회장은 이번 회의에서 사업 정상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 건물을 완공해 인도하는 것은 회사가 반드시 이행해야 할 고객에 대한 의무이자 회사가 짊어져야 할 사회적 책무라고 강조했다고 알려졌습니다.

 

쉬 회장은 전력을 다해 사업을 건설과 판매를 재개해야만 부동산 고객들의 권익을 보장하고 자사의 부동산 프로젝트와 관련한 금융 상품에 투자한 고객들에게 순조롭게 투자금을 상환할 수 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전날 헝다가 일부 위안화 채권 이자 문제를 해결했다고 밝힌 이후 최고 경영자인 쉬 회장도 직접 나서 경영 정상화 의지를 피력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헝다 사태 우려가 다소 진정되는 모습이 나타냈습니다.

 

이날 홍콩 증시에서 헝다 주가는 17.18% 급등했는데 하지만 헝다 주가는 연고점 대비 여전히 80% 이상 폭락한 상태입니다.

 

이처럼 헝다가 이날 가까스로 고비를 넘기기는 했지만 업계에서는 당국의 구제가 없다면 헝다가 이미 많은 협력업체들에 공사 대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는 등 극도로 심각한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어 향후 350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대출을 갚지 못하고 결국 디폴트를 낼 것이라는 예상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당장 오는 29일에도 헝다는 다른 달러 채권의 이자 4천750만 달러를 지급해야 하는데 아직 유동성이 충분하다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당국이 아직 헝다 사태에 관한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꺼리고 있는 가운데 일부 외신은 당국이 헝다의 핵심인 부동산 사업 부분을 떼어 국유기업으로 만들 것이라고 보도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홍콩 명보(明報)는 온라인 경제 전문 매체 아시아 마켓스 보도를 인용해 중국 당국이 헝다를 부동산 부문 등 3개 법인으로 나누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수일 내에 관련 발표가 날 수 있다면서 이 경우 핵심인 부동산 개발 부문이 국유기업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헝다가 짓고 있는 부동산을 구입한 중국의 일반 투자자들을 보호하고 헝다 파산이 중국 경제에 주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아시아 마켓스는 전했습니다.

 

즉 헝다그룹의 부동산 개발 부분을 분리하여 LH(토지주택공사)같은 공공법인을 만들어 국유화하는 것으로 최소한 주택문제에 있어 돈을 내고 내집을 못받는 사태는 막을 수 있게 하겠다는 중국 당국의 고민이 엿보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나머지 헝다그룹 잔여부채의 디폴트는 피할 수 없는데 헝다그룹과 거래한 수많은 중소기업들이 연쇄도산에 내몰리게 되어 대량실업은 불가피해 보이기는 합니다

 

중국 당국이 개방화로 나선 이래로 가장 큰 기업부실이기에 이를 잘 처리할 수 있을 지 의문인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