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om/shorts/rF7QJIgaDtU?feature=share 

 

안녕하세요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은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를 계기로 은행이 대출 심사를 대폭 강화함에 따라 시중에 유동성이 줄어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추가로 금리를 올릴 필요가 없을 수 있다고 말해 사실상 미연준의 금리인상이 끝났음을 간접적으로 인정했습니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옐런 장관은 16일 방영될 예정된 CNN과 인터뷰에서 지난달 발생한 SVB와 시그니처 은행 파산 이후 나타났던 일부 은행에서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진정됐다고 밝혔습니다.

 

옐런 장관은 “은행들이 현재와 같은 환경에서 매우 조심할 것이고, 이런 일(은행 파산)이 발생하기 전부터 대출 기준을 강화하기 시작했으나 앞으로 더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고 옐런 장관은 은행이 대출을 줄이면 이것이 연준의 금리 인상을 대체하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옐런 장관은 미국 경제 진로에 대해 “아직 극적이거나 충분히 중요한 어떤 변화를 보지 못했다”면서 “미국 경제가 한 번 더 완만하게 성장할 것이고, 노동 시장의 지속적인 강세 속에서도 인플레이션이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는데 옐런 장관은 은행위기에도 불구 미 경제가 아직 경착륙을 피할 여지가 남아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지난달 시작된 금융 혼란으로 인해 은행이 대출을 줄일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은 옐런 장관뿐이 아니다”면서 “연준 관계자들도 향후 몇개월 동안 은행의 대출 제한을 고려해 신중하게 (금리 인상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고 전해 사실상 미연준의 금리인상을 중단해 달라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보입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은행권 불안에 따른 대출 감소로 올해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0.44% 포인트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IMF는 6개월마다 내놓는 '세계 금융안정' 보고서를 통해 SVB 파산에 따른 대출 여력 감소로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IMF는 "지역은행과 소형은행이 미국 전체 은행권 대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한다"면서 "이들의 대출 감소는 경제 성장과 금융안정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밝햐 미국 지방은행이 대출을 줄이면 그 만큼 시장내 유동성이 줄어들어 미연준의 금리인상과 비슷한 효과가 나올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IMF는 이날 별도의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미국과 전 세계 경제성장률을 각각 1.6%, 2.8%로 예상하면서 세계 경제에 대한 위험 요인으로 은행권 변동성, 높은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 등을 꼽았습니다.

 

미국은 그 동안 금리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해외로 수출하는데 성공했고 이번 미국은행위기로 민간분야 유동성을 줄이는데 성공하고 있어 경기침체 없이 연착륙이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미국이 수출한 인플레이션은 우리나라에게 쥐약이 되고 있고 특히 미국의 대외안보정책으로 미중패권전쟁이 발생하면서 윤석열의 친미사대외교가 우리 경제의 탈중국화 이미지를 만들어 대중국 무역적자를 기록하게 만들어서 가장 큰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이 금리인상을 멈추고 경기진작에 나선다고 해도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의해 현대차와 기아의 전기차 미국 수출이 2024년 하반기 미국내 생산이 이뤄지기 전까지는 위축될 수 밖에 없고 올 해부터 시행되는 반도체지원법Chips로 인해 메모리반도체시장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장 주도적 지위가 위협받고 있어 동맹국인 미국의 정책으로 우리나라가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증시와 우리나라 증시가 디커플링 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