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지난해 출시된 삼성전자 프리미엄폰 ‘갤럭시S20 울트라’ 모델의 최저 구매가격이 40만원 초반까지 뚝 떨어졌습니다.
신형 폴더블폰 ‘갤럭시Z 폴드3’, ‘갤럭시Z 플립3’이 역대급 흥행 기록을 새로 쓰고 있는 가운데, ‘갤럭시S20 울트라’의 몸값을 크게 낮춰, 막판 재고 소진에 나섰는데 폴더블폰이 아닌 바(Bar) 형태의 스마트폰을 찾는 소비자들에게, 폴더블폰의 대안이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SK텔레콤은 27일 삼성전자 ‘갤럭시S20 울트라’ 모델의 최대 공시지원금을 기존 58만원에서 65만원으로 상향했는데 지난해 상반기 출시된 해당 제품의 초기 출고가는 159만5000원에 달해 갤럭시S20 시리즈 중 최고가로 출시 약 6개월 뒤에 145만2000원으로 가격이 낮아진 데 이어, 129만8000원, 114만8400원으로 출고가가 떨어진 상태입니다.
여기에 SK텔레콤의 최대 공시지원금 65만원을 적용할 경우, 추가지원금(9만7500원)을 더해 실제 최저 구매가가 40만900원까지 떨어지는데 SK텔레콤은 8만원대 이상 요금제에 최대 공시지원금을 책정했습니다.
앞서 KT도 같은 제품의 최대 공시지원금을 70만원까지 상향한 상태입니다.
출고가가 150만원을 훌쩍 넘었던 ‘갤럭시S20 울트라’ 모델의 구매 가격은 신형 폴더블폰 ‘갤럭시Z 플립3’의 최저가 보다 약 30만원이 저렴하고 125만4000원에 출시된 ‘갤럭시Z 플립3’은 최대 지원금이 50만원이 책정돼, 최저 67만9000원에 구매할 수 있습니다.
통신업계는 바 형태의 신형 프리미엄폰이 뚝 끊긴 상황에서, 몸값이 크게 낮아진 ‘갤럭시S20 울트라’가 갤럭시노트 소비자들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업계 관계자는 “올 초 출시된 갤럭시S21의 공시지원금은 10~20만원대에 그치고 있어 가격 장점이 크지는 않다”며 “폴더블폰을 선호하지 않는 소비자들이라면 갤럭시S20 시리즈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갤럭시S20 울트라’ 모델은 출시된 지 1년 반이 지난 제품인 만큼, 공시지원금 인상 폭이 더 커져야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갤럭시Z 플립3’이 출고가가 전작보다 40만원이나 낮게 책정된데다, 초반부터 통신사들이 최대 50만원에 달하는 공시지원금이 제공되고 있어 실제 LG유플러의 경우, ‘갤럭시S20 울트라’와 신작 ‘갤럭시Z 플립3’의 공시지원금이 50만원으로 동일한 상태입니다.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갤럭시Z 플립3의 가격 조건이 워낙 좋다”며 “30만원 차이라면 최신 폴더블폰을 써보려는 소비자들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를 내놓을 타이밍에 폴더블폰을 내놓아 갤럭시노트의 단종 가능성을 소비자들에게 인식시켰는데 기다리는 갤럭시노트는 폴더블폰의 성공으로 내년에도 신제품이 나올지 의문인 상황입니다
신형 폴더블폰 ‘갤럭시Z 폴드3’, ‘갤럭시Z 플립3’이 역대급 흥행 기록을 세우면서 갤럭시노트는 단종이 확실해 지는 모습입니다
이와 함께 갤럭시노트의 대화면을 선호하면서 가격이 저렴한 플리미엄폰을 찾는 고객들은 ‘갤럭시S20 울트라’ 모델에 몰려 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사 2021 상반기 신용거래융자 이자수익 급증세 (0) | 2021.08.29 |
---|---|
mRNA백신 계열 미국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 항체 지속성 우수 논문 공개 (0) | 2021.08.29 |
엔씨소프트 '블레이드 & 소울 2(이하 블소2)' 서비스 개선 방안 발표, 이용자 불편에 대해 공식 사과 (0) | 2021.08.28 |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Rivian)' 드디어 미국 주식 시장 상장 추진 삼성SDI 수혜 기대감 (0) | 2021.08.28 |
미국증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비둘기적 통화정책 유지 발언에 일제히 반등세 (0) | 2021.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