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gEbMoUNu6o

안녕하세요

미국 뉴욕증시가 24일(현지시간) 폭락과 폭등을 한꺼번에 보여주며 투자자들의 간담을 쓸어내리게 했습니다



장중 한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초기 이후 최악의 하루를 예고했다가 막판 급반등으로 하락분을 모두 만회하고 반등에 성공하는 기적같은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날 뉴욕증시의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9.13포인트(0.29%) 오른 34,364.50에 거래를 마쳤는데 점심 무렵 1,115.04포인트(3.3%)까지 폭락했던 다우 지수는 이후 1,200포인트 이상을 반등하며 플러스로 마감하는 기적같은 회복력을 보여주었습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 변동폭은 더 드라마틱했는데 장중 최대 4.9% 급락했다가 오후 들어 매수세가 다시 유입된 데 힘입어 86.21포인트(0.63%) 상승한 13,855.13에 장을 마치는 괴력을 보여주었습니다.



나스닥 지수가 장중 4% 이상 급락했다가 결국 상승 마감한 것은 지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라고 CNBC방송이 보도했습니다.



한때 전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을 의미하는 조정장에 발을 담갔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도 이날 최대 4%의 급락세를 극복하고 12.19포인트(0.28%) 오른 4,410.13에 마감했습니다.



지난 2020년 3월 이후 최대폭 하락을 걱정하던 뉴욕증시는 오랜만에 하락세를 멈추고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다우 지수의 경우 7거래일 만의 상승 마감입니다.



새해 들어 금리 인상 공포에 휩싸인 투자자들은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예상보다 빠른 긴축 움직임에 긴장하면서 장 초반 대량 투매가 쏟아져 나왔는데 골드만삭스는 주말 사이 연준이 시장 전망치인 연 4회 이상의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고, 양적긴축도 7월부터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을 내놨고 여기에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지정학적 긴장 고조가 투자 심리를 얼어붙게 만들었습니다.

 

러시아가 최근 우크라이나 국경에 12만 명 이상의 병력을 집결시킨 가운데 미국과 영국 정부가 우크라이나 주재 대사관 직원 가족에 철수를 명령하면서 전쟁불안감을 키우고 있는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동유럽에 미군 병력 증파를 고려한다는 전날 뉴욕타임스(NYT) 보도 역시 시장에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실제로 미 국방부는 이날 오후 미군 8천500명의 동유럽 배치를 위해 상향된 대비태세에 돌입했다고 밝혔으나, 오히려 이후 증시는 급반등세로 전환되었는데 1월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감이 헤프닝으로 끝나면서 안도랠리가 펼쳐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습니다



CNBC방송에 따르면 JP모건의 최고 주식전략가인 마코 콜라노비치는 이날 투자자 노트를 통해 "최근 위험자산 회피 현상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면서 "과매도 구간에 가까워졌다는 기술적 지표와 약세로 전환한 시장 심리를 고려할 때 우리는 이번 조정장의 막바지 단계에 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는데 미FRB의 기준금리 인상 우려가 점점 높아지면서 인상 시기가 올 해 9월에서 6월로 다시 3월로 앞당겨지고 급기야 어제는 1월 금리인상설이 유포되며 투자자들의 패닉을 불러온 것으로 보입니다.



골드만삭스와 넷플릭스 등 몇몇 주요 기업이 예상을 하회하는 작년 4분기 실적을 내놓은 것도 투자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의 74%는 월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고 CNBC는 지적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오는 25∼26일 연준의 통화정책 결정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와 금주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 발표, 우크라이나 사태의 진행 경과를 주시하면서 향후 움직임을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시장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보다 미FRB가 언제 금리인상이라는 카드를 꺼내들 것인가에 촉각을 곤두서고 있는데 아직까지 증시에 작년의 과잉 유동성이 만든 주가버블이 여전하다는 사실을 어제 장 초반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의 폭락에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런 폭락을 목격했으니 미FRB도 무리해서 1월 금리인상에 나서지는 못할 것으로 보여 미국 월가가 미FRB에 일종의 경고를 날린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금리인상과 같이 시장 유동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안은 시장참여자들이 예상할 수 있게 움직여야 시장충격이 덜한 법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