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OGTdLzxhwzU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6월 첫 거래일을 맞아 물가 상승세와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며 하락했습니다



1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6.89포인트(0.54%) 하락한 32,813.23으로 장을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0.92포인트(0.75%) 떨어진 4,101.23으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86.93포인트(0.72%) 밀린 11,994.46으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주시했는데 최근 들어 인플레이션이 고점에 이르러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가 나오고 있으나, 유가가 여전히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고, 고용시장은 타이트해 긴축 강도가 약해지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여기에 경제 성장세에 대한 우려도 계속되고 있는데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이날 경기 평가보고서인 베이지북에서 대다수 지역은 '약간 혹은 완만하게(slight or modest)' 성장했으며, 4개 지역은 '보통(moderate)의' 성장세를 보였다고 평가했습니다.



연은 담당 지역이 모두 12개인 점을 고려할 때 이전 베이지북에서 미국의 경제활동이 '보통의' 속도로 확장했다는 표현에서 경기 평가를 하향한 것이고 특히 4개 지역은 직전보다 성장 속도가 둔화했다고 명시했습니다.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경제에 닥칠 허리케인(태풍)에 대비하라고 조언했는데 다이먼은 이날 한 콘퍼런스에서 연준의 긴축과 전쟁에 따른 유가 상승 등으로 경제에 앞으로 태풍이 몰아닥칠 수 있다며, 이에 대비할 것을 주문했습니다.



이날 발표된 4월 채용공고는 전달보다 감소했으나 여전히 1천만 건을 웃돌아 고용시장이 타이트하다는 점을 시사했는데 
미 노동부가 발표한 4월 채용공고는 1천140만 건으로 직전 달보다 45만5천 건 줄었고 자발적 퇴직 비율은 440만 명으로 집계됐고, 해고는 120만 명으로 대폭 감소했습니다.



S&P글로벌이 집계하는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확정치는 57.0으로 4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는데 지수는 전월치인 59.2보다 하락했으며, 예비치인 57.5보다도 낮았는데 다만 지수는 여전히 50을 웃돌아 경기가 확장 국면임을 시사했습니다.



ISM이 발표하는 5월 제조업 PMI는 56.1을 기록해 전달의 55.4와 시장의 예상치인 54.5를 모두 웃돌았습니다.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도 이어졌는데 최근 9월에 금리 인상을 한 차례 쉬어가는 것도 타당하다고 언급해 증시에 안도감을 줬던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자신의 발언이 시장을 떠받치기 위한 '연준 풋(fed put)'이라고 해석되는 것은 경계했습니다.



그는 앞서 마켓워치와의 인터뷰에서 그것은 "내가 정책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라고 말했는데 '연준 풋'은 금융시장이 어려울 때마다 연준이 나서서 자산 가격을 떠받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기대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없는 위험에 처해 있는 만큼 신뢰할 수 있는 정책을 구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연준 내 매파 위원으로 통화는 불러드 총재는 미국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신뢰할만한 연준의 정책 없이는 고정되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이 억제될 때까지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는데 이날부터 연준의 대차대조표 축소 과정인 양적긴축(QT)이 시작됩니다.

 

연준은 매달 국채와 주택저당증권(MBS)을 475억 달러씩 축소하고 이후 3개월간 매달 950억 달러까지 축소할 계획이고 이는 만기도래하는 채권을 재투자하지 않고 그대로 흡수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QT에 따른 채권시장의 영향과 금리 상승 압박을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웰스파고는 2023년 말까지 대차대조표에서 1조5천억 달러가량이 축소되면 0.75%~1%포인트의 금리 인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S&P500 지수 내 에너지 관련주만이 1% 이상 오르고 나머지 10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는데 금융과 헬스, 필수 소비재, 부동산, 자재(소재) 관련주가 1% 이상 하락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변동성이 지속될 것이라면서도 주가가 크게 하락한 상황이라 저점 매수 기회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금리인상과 함께 양적긴축이 실시되면서 시장내 유동성이 더 빠르게 고갈되어 갈 것으로 투자자들은 우려하고 있는 데 고점에서 빨리 팔아 차익실현에 나서려는 투자자들이 급증한 것을 알 수 알 수 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50포인트(1.91%) 하락한 25.69를 기록했습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준이 금리인상과 양적긴축을 통해 과잉 유동성을 빠르게 빨아들이겠다고 했고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줄이기 위한 정책으로 11월에 있을 조 바이든의 중간선거에도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국대통령과 파월 연준의장의 만남은 그런 면에서 의미가 있는데 조 바이든 미국대통령은 연준의 독립성을 존중한다고 했지만 이런 만만이 갖고 있는 의미를 미국인들이 모를 리 없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정부 정책과 연준의 정책이 동조화되어 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국제유가를 잡아야 인플레이션이 안정화될 수 있는데 지금의 국제유가는 미국 월가가 투자한 셰일오일에 막대한 이익을 가져다 주고 있어 내리는 것이 쉽지 않아 보입니다

 

EU가 제한된 수준이지만 러시아산 석유와 천연가스를 금수조치하겠다고 선언하고 이의 대안으로 미국산 셰일오일과 중동산 두바이유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면서 우리도 석유와 천연가스 수입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할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미국은 셰일오일에 투자한 월가가 샴페인을 터뜨리며 흥청망청해지고 있는데 인플레이션의 수익이 석유회사들의 수익을 통해 월가로 흘러들어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3월 버크셔 헤더웨이 정기주총에서 워런버핏이 투자포트폴리오를 공개했을 때 미국 석유회사 셰브론의 지분을 대폭 늘린 것을 시대착오적이라고 비판했던 전문가들이 머쓱해 질 정도로 석유회사들의 수익은 급증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결국 워런버핏이 또 맞았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