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하원 발언이 전날과 크게 달라지지 않은 가운데 국채금리가 하락한 여파로 상승했습니다.
2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4.23포인트(0.64%) 오른 30,677.36으로 거래를 마쳤는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5.84포인트(0.95%) 상승한 3,795.73을 기록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79.11포인트(1.62%) 반등한 11,232.19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들은 파월 연준 의장의 하원 증언과 국채금리 움직임, 경기 침체 우려 등을 주목했는데 파월 의장은 전날 상원에서 인플레이션이 하락한다는 강력한 증거를 찾을 때까지 금리를 계속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여러 차례 금리 인상에도 여전히 경제가 강하다는 점을 강조했으나 경기 침체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연착륙'이 매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은 인정했습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열리는 하원 반기 의회 증언에서도 인플레이션을 2% 목표치로 되돌리는 데 매우 전념하고 있다며 이러한 연준의 노력은 '무조건적이다'라고 말했고 그만큼 인플레이션 억제에 대한 의지가 강하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파월은 하반기 경제 성장세가 꽤 강할 것이라면서 경기침체가 필연적인 것은 아니라고 말했는데 파월이 경기침체 가능성에서 한발 물러섰으나 시장은 여전히 미국 경제가 침체에 빠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는 이날 연설에서 7월에도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하는 것을 지지한다고 말했는데 그는 "현재의 인플레이션 수치로 볼 때 다음 회의에서 추가로 75bp 금리를 인상한 후, 들어오는 지표가 이를 지지하면 이후 몇 차례 연속된 회의에서 최소 50bp 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글로벌 긴축 흐름은 지속됐는데 이날은 노르웨이 중앙은행이 20년 만에 처음으로 금리를 50bp 인상했는데 노르웨이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되돌리기 위해 기준금리를 0.75%에서 1.25%로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유동성이 축소되면서 경제가 침체에 직면할 수 있다는 우려는 커지고 있는데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러한 우려를 반영해 전날보다 7bp(=0.07%포인트) 이상 하락한 3.08% 근방에서 거래됐고 이는 지난 10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2년물 국채금리는 3.03%까지 하락하면서 2년물과 10년물 금리 스프레드는 5bp까지 축소됐습니다.
2-10년물 금리 스프레드가 마이너스로 떨어지는 금리 역전은 경기 침체의 전조로 해석됩니다.
가파른 금리 상승세가 꺾인 것은 기술주나 성장주에는 환영할만한 소식이지만, 금리 하락이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면 주가에도 부정적인데 다만 이날 나스닥지수는 금리 하락세를 반영해 1% 이상 올랐습니다.
주간 실업 보험청구자수는 전주보다 줄었으나 5개월 만에 최고치에서 크게 줄지는 않았는데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8일로 끝난 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2천 명 감소한 22만9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2만5천 명을 웃돌았고 변동성이 덜한 4주 이동평균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22만3천500명으로 직전 주보다 4천500명 증가했는데 이는 1월 말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미국의 1분기 경상적자는 상품수지 적자 확대로 전분기보다 증가했는데 미 상무부는 올해 1분기 경상 적자가 2천914억2천만 달러로 집계됐다고 발표했고 이는 전 분기 대비 666억 달러(29.6%) 증가한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인 2천737억 달러도 웃돌았습니다.
S&P 글로벌이 발표한 6월 미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2.4로 잠정 집계됐고 이는 2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이날 수치는 전월의 57과 월스트리트저널(WSJ) 예상치인 56을 모두 밑돌았습니다.
6월 서비스업 PMI 예비치는 51.6으로 집계돼 5개월 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는데 전월에는 53.4, WSJ 예상치는 53.3이었습니다.
S&P500지수 내 11개 업종 중에서 에너지, 자재(소재), 산업, 금융 관련주가 하락하고, 유틸리티, 헬스, 부동산, 필수소비재, 임의소비재, 기술, 통신 관련주가 올랐습니다.
개별 종목 중에 올리브가든의 모기업인 다든 레스토랑의 주가는 시장의 예상치를 웃도는 분기 순이익과 매출을 발표했음에도 0.4% 오르는 데 그쳤습니다.
컨설팅 업체 액센추어의 주가는 회사의 분기 매출은 예상치를 웃돌았으나 순이익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0.2%가량 하락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현재의 반등은 낙폭 과대에 따른 일시적 반등에 불과하다며 주가가 추세적으로 오르기 위해서는 경제 지표가 개선되고 인플레이션이 완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래투스 캐피털의 토드 존스 최고투자책임자(CIO)는 CNBC에 "이번 반등은 확실히 매우 과매도된 환경에서 따라오는 일시적 반전을 연상시킨다"라고 말했는데 그는 "이것이 더 지속적인 움직임이 되려면, 경제 지표에서 일부 개선이 나오는 것을 봐야 할 뿐만 아니라, 더 구체적으로는 인플레이션이 개선되는 것을 확실히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호리즌 인베스트먼트의 스콧 래드너 CIO는 CNBC에 "어제와 오늘 나타난 시장의 움직임은 미국 국채수익률 곡선에서 단기물이 크게 하락했다는 사실이 주목받으면서 투자자들이 점차 세계 경제 성장을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7월 회의에서 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95.7%로 전일의 90.9%에서 상승했고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0.10포인트(0.35%) 오른 29.05를 기록했습니다
시장이 점차 금리인상에 적응해 가는 분위기로 경기침체를 말하면서도 개별종목 중 소비둔화에도 견조한 실적을 낼 수 있는 경기방어주와 시장 독과점 업체들을 중심으로 주가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러시아 루블화 사상 최고치 급등 러시아 경제제재 효과 있나? (0) | 2022.06.25 |
---|---|
보로노이 코스닥 시장 상장 첫날 공모가 하회 (0) | 2022.06.24 |
삼성전자 미국시장 파격적인 재고떨이 폴더블스마트폰 ‘갤럭시Z폴드3’ 30만원에 살 수 있다 국내에선? (0) | 2022.06.24 |
미국 식품의약국(FDA) 미국 전자담배 브랜드 '쥴(JUUL)' 판매금지 조치 (0) | 2022.06.24 |
한미약품 고혈압치료제 아모잘탄 중국 고혈압시장 도전 (0) | 2022.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