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국가부도 위기설까지 나왔던 러시아의 루블화 가치가 미 외환시장에서 초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인플레이션에 자원부국인 러시아의 존재가 재평가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통화 정책 여파로 한국의 원화를 비롯해 유로화, 스위스 프랑, 중국 위안화 등 세계 주요국 통화는 약세, 달러는 강세인 흐름이 펼쳐지고 있는데 반해 루블화는 홀로 역행하고 있습니다.
23일(현지시간) 미 CNBC, 블룸버그에 따르면 루블화 가치는 하루 전인 22일 달러 대비 7년 새 최고 가격을 찍었는데 장중 가격으로 52.3루블을 기록, 전날보다 1.3% 가량 올랐고 이는 2015년 5월 이후 7년 만에 최고치로 23일에는 54.4 루블로 전날 보다 약세였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달러 당 루블 환율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올해 2월24일)이 시작되고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스위프트)에서 러시아를 퇴출하는 등 전례 없는 제재에 나서면서 3월 7일 138.9루블까치 치솟았지만 러시아 중앙은행의 개입 이후 진정세를 보여 3월 말에는 100루블 밑으로 내려왔고, 제재 효과에 의구심이 나오면서 4, 5월에는 내리막을 탔고 환율하락을 두고 크렘린궁은 서방의 제재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증거라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CNBC는 루블화 강세의 배경으로 ▷에너지 가격 고공행진으로 인한 기록적인 석유·가스 수입 ▷정부의 엄격한 자본 통제 ▷‘포템킨’ 사례 ▷실물경제와 무관한 환율 구조 등을 꼽았습니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인데 국제유가 벤치마크인 브렌트유는 1년 새 60% 가량 올랐는데 러시아는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제재를 피해 우랄유를 값 싸게 시장에 내놔 주로 중국과 인도에 수출을 크게 늘렸습니다.
핀란드에너지청정공기연구센터(CREA)에 따르면 러시아는 개전 후 100일 간 화석연료 수출로 930억 유로(125조 3100억원)를 벌어들였습니다.
미 외교정책연구소의 맥스 헤스 연구원은 “루블화 가치가 급등한 것은 러시아가 에너지 수출을 통해 기록적인 경상수지 흑자를 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는데 러시아 중앙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러시아의 경상수지 흑자는 1100억달러(약 144조원)를 다소 웃돌았고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배 이상 많은 금액입니다.
정부가 외환 유출을 제한하는 등 엄격한 자본 통제도 환율을 끌어내렸는데 최근 러시아 정부는 자국 통화강세가 수출 경쟁력 약화 등 재정에 피해를 줄까 자본 통제를 일부 완화했습니다.
정부가 자본을 통제한다는 점에서 루블화 강세는 ‘포템킨 환율’일 수 있다고 CNBC는 지적했는데 포템킨은 1700년대 예카테리나 2세에게 번영의 ‘환상’을 심어주기 위해 건설된 가짜 마을로, 거짓 현상에 붙이는 말인데 즉 루블화 강세는 푸틴에게 보이기 위한 환상에 불과할 뿐이란 지적입니다.
루블화 강세가 러시아 경제의 펀더멘털을 반영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인데 미국 싱크탱크 외교정책연구소(FPRI)의 막시밀리안 헤스 선임 연구원은 “루블화는 더이상 러시아 경제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보기 힘들다”며 “루블이 당국의 개입에 가치가 고공행진하고 있지만, 당국은 사람들의 삶의 질에는 관심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루블화로 에너지를 살 수 있고 밀을 살 수 있는 한 루블화 가치는 무너지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 지금 글로벌 에너지대란과 식량대란에서 두가지를 다 갖고 있는 러시아의 자원이 루블화 가치를 지탱해 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러시아의 국가부도는 서방에 의해 만들어진 부도로 채권자들이 러시아의 보유외환으로 원리금을 상환받기를 원하고 있어 서방도 함부로 부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러시아의 최대 채권국인 프랑스가 러시아의 국가부도를 원치 않고 있어 루블화 가치는 지속적으로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는 모습입니다
유출되는 달러보다 유입되는 달러가 더 많기 때문에 러시아의 국가부도는 서방의 위협으로 끝날 뿐 현실화 되기 어려운 환상에 불과해 보입니다
인도와 중국이 러시아의 석유와 천연가스를 사주는 한 루블화 가치는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증시 낙폭과대에 저가매수세 유입 윈도우드레싱 (0) | 2022.06.25 |
---|---|
SM그룹 HMM 경영권 인수 욕심 장내 매수로 5% 지분 확보 (0) | 2022.06.25 |
보로노이 코스닥 시장 상장 첫날 공모가 하회 (0) | 2022.06.24 |
미국증시 경기침체 우려에 미 국채금리 하락 지수 반등 성공 (0) | 2022.06.24 |
삼성전자 미국시장 파격적인 재고떨이 폴더블스마트폰 ‘갤럭시Z폴드3’ 30만원에 살 수 있다 국내에선? (0) | 202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