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드라마 '조선구마사'를 둘러싼 역사 왜곡·친(親)중국 논란이 일파만파 번지면서 YG엔터테인먼트와 SBS 등 관련 종목들의 시가총액이 700억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에서 반(反)중국 여론이 한층 확산하면서 중국과 연관된 엔터테인먼트 등 종목들의 리스크가 한층 커질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조선구마사 제작사인 YG스튜디오플렉스의 모기업 YG엔터테인먼트와 방송사인 SBS의 시가총액은 26일 현재 1조2천297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조선구마사 1회가 방영된 지난 22일 종가 기준(1조3천14억원)보다 716억원 줄어든 것으로 이 기간 YG엔터테인먼트는 5.63%, SBS는 5.24% 각각 하락했으며, YG엔터테인먼트 자회사인 YG PLUS도 2.64% 내리면서 시총이 101억원 줄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엔터테인먼트 대장주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5.22%, JYP엔터테인먼트는 0.85% 각각 올랐습니다.
앞서 조선구마사 1회가 방영된 이후 역사 왜곡 및 친중국 논란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거세게 일었습니다.
이에 놀란 광고주들과 지방자치단체 등이 제작 지원을 줄줄이 철회하자 결국 지난 26일 SBS와 YG스튜디오플렉스 등은 조선구마사 제작과 방송을 전면 폐지했습니다.
이미 80%가량 촬영을 마친 조선구마사가 폐지됨에 따라 320억원에 이르는 제작비의 상당 부분은 손실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와 관련해 홍세종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SBS의 경우 조선구마사 남은 14회분을 아예 못 틀어도 손실은 최대 70억원 수준"이라고 추정했습니다.
문제는 이번 조선구마사 폐지 사태가 '끝'이 아니라 '시작'에 가까워 보인다는 점입니다.
분노한 네티즌들이 광고주 불매운동으로 드라마를 전면 폐지시키는 선례가생기면서 제2의 사례가 나올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입니다.
우선 YG엔터테인먼트의 간판스타인 걸그룹 블랙핑크의 지수가 주연을 맡아 6월 방영을 앞둔 JTBC 드라마 '설강화'도 민주화운동 역사 폄하, 간첩·국가안전기획부(안기부) 찬양 등 논란에 휩싸이면서 네티즌들이 불매운동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설강화 제작사인 JTBC스튜디오가 중국 텐센트에서 1천억원 투자를 받은 것과 드라마 내용을 결부시키는 반중 여론까지 온라인에서 나타나면서 한 가구회사가 설강화 협찬을 취소하는 등 이미 여파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앞으로 투자 유치, 간접광고(PPL) 등 중국과 관련된 모든 사업 방식이 반중 여론이라는 잠재적인 리스크에 노출된 '지뢰밭'이 된 셈입니다.
다만 관련 종목 주가나 실적에 당장 직접적인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현재 엔터테인먼트 등 관련 종목 주가에 한한령(限韓令·한류제한령) 해제 기대감이 크게 반영된 상태는 아니다"라며 "이번 사태가 업계에 영향이 없지는 않겠지만 시간을 좀 두고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드라마 '조선구마사'는 단순히 드라마 컨텐츠 소비를 하는 시청자들이 소비자로써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해 자본의 힘을 꺽어 버린 일대 사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중국 자본은 우리나라 연예시장에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고 있는데 중국의 뒤떨어진 연예오락 산업의 부족한 부분을 우리나라의 앞선 문화컨텐츠로 커버하려는 것으로 입도선매식 투자를 해 왔었습니다
우리나라 연예오락 산업도 중국 자본 투자로 더 많은 시도와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었지만 PPL형태와 중국자본의 눈치를 보면서 역사왜곡이라는 비판은 들을 수 밖에 없게 되었습니다
그냥 드라마 컨텐츠를 재미로 소비하면 별 문제가 없지만 역사왜곡과 반중정서와 엮겨버리면서 중국 자본은 기회가 아니라 패악이 되어버린 상황이 되었습니다
드라마 제작업계도 광고업계도 소비자들의 눈치를 살필 수 밖에 없고 주주들의 눈치를 보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창작의 창의성은 줄어들 수 밖에 없고 컨텐츠 생산에 제한이 갈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이번 사건이 우리 컨텐츠 시장의 성장 발목을 잡는 매카시즘이 되어 버린다면 손해는 우리에게 귀결될 것입니다
창작의 세계를 너그럽게 봐 줄 수 있는 여유가 필요해 보이기도 합니다
이제 중국자본은 PPL 어려움에 소송전에 들어갈 가능성이 크고 중국자본을 무턱대고 받아들인 책임을 지게 될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씨에스윈드 2021년 투자금 마련 글로벌 사업 확장 재개 기대감 (0) | 2021.03.28 |
---|---|
엔씨소프트 인기게임 리니지 관련 ‘확률형 아이템’ 롤백 사태 주가 하락의 이유 (0) | 2021.03.28 |
조선주 수에즈 운하 사고 반사이익 2021 수주 싹쓸이 기대감 (0) | 2021.03.28 |
SK바이오사이언스 상장 후 IPO대어 이름값 못했다 (0) | 2021.03.27 |
한국앤컴퍼니 경영권분쟁 국민연금 조현식 부회장 지지 그럼에도 조현범 대표 지분 우세 소액주주 캐스팅보드 (0) | 2021.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