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자매 스테이블 코인 테라USD(UST)가 연일 폭락하면서 전 세계 가상화폐 시장을 혼돈으로 몰아넣고 있습니다.
11일(현지시간) 가상화폐 정보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루나는 1달러대, 테라는 60센트 수준으로 폭락했습니다.
경제 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죽음의 소용돌이(death spiral) 현상을 피하지 못하면서 테라가 폭락하고 루나도 97% 추락했다"고 보도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도 "모든 것이 무너졌다"며 "테라가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세계에서 애정의 대상이었으나 죽음의 소용돌이로 향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루나와 테라는 애플 엔지니어 출신인 30살 권도형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블록체인 기업 '테라폼랩스'가 발행하는 가상화폐로 테라폼랩스 본사는 싱가포르에 있지만, 한국인 대표의 블록체인 기업이 발행한 코인이라는 점에서 국산 가상화폐인 이른바 '김치 코인'으로 분류됐습니다.
루나는 지난달 119달러까지 치솟으며 가상화폐 시가총액 순위 10위권 내에 들었지만, 최근 일주일 새 97% 폭락해 32위로 미끄러졌습니다.
테라는 한때 스테이블 코인(달러 등 법정화폐에 연동하도록 설계된 가상화폐) 가운데 3위 규모로 시총 180억 달러에 달했지만 테러는 현재 그 가치가 거의 반 토막이 났습니다.
금리 인상과 미국 증시 추락이 가상화폐 시장에 찬물을 끼얹은 상황에서 루나와 테라의 특이한 거래 알고리즘은 두 코인에 대한 '패닉 셀'(투매)을 촉발했습니다.
루나는 디파이 등에 쓰이는 스테이블 코인 테라를 뒷받침하는 용도로 발행되는 가상화폐로 테라는 코인 1개당 가치가 1달러에 연동되도록 설계됐습니다.
문제는 최근 테라의 급락에서 시작됐는데 테라 시세가 1달러 밑으로 떨어지면서 자매 코인인 루나가 급락하고 다시 두 코인의 가격 하락을 촉발하는 악순환인 '죽음의 소용돌이 현상'에 빠져든 것입니다.
테라는 테더나 USDC 등 다른 스테이블 코인과 구별되는 알고리즘을 채택했는데 현금이나 국채 등 안전자산을 담보로 발행한 것이 아니라 루나로 그 가치를 떠받치도록 한 것입니다.
테라 가격이 하락하면 투자자는 테라폼랩스에 테라를 예치하고 그 대신 1달러 가치 루나를 받는 차익 거래로 최대 20% 이익을 얻도록 설계 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테라 가격 하락 시 유통량을 줄여 가격을 다시 올림으로써 그 가치를 1달러에 맞출 수 있는데 하지만, 오로지 투자자들의 신뢰로만 유지되는 이 메커니즘은 최근 작동 불능 상태에 빠졌습니다.
리서치업체 펀드스트랫은 "루나와 테라의 극적인 가격 하락은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신뢰가 완전히 증발해버릴 수 있는 데스 스파이럴(죽음의 소용돌이)"이라고 진단했는데 스테이블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달러가치에 연동하도록 설계되어 누구든 가상화폐에 투자하는 사람들이 신뢰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지만 이 신뢰가 무너질 때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지 잘 보여준 것 같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테라와 루나 모델은 이 가상화폐를 지원하는 사람들의 집단적 의지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다"고 비판했고, 블룸버그 통신은 "가상화폐 몽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권 대표는 테라와 루나 폭락 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테라를 담보로 15억 달러 구제금융 조달에 나섰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는데 이번 사태는 가상화폐 시장의 최대 뇌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가상화폐 업계는 권 대표가 테라를 지원하기 위해 만든 비영리단체 '루나파운데이션 가드'가 수십억 달러어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데 테라 유동성 공급을 위해 비트코인을 처분하는 사태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루나·테라 폭락이 충격파를 던지면서 이날 비트코인 가격은 3만 달러선이 무너졌는데 디파이 프로젝트와 연관된 가상화폐 아발란체(30%↓), 솔라나(20%), 에이브(24%↓)도 일제히 폭락했습니다.
투자회사 파이퍼샌들러는 "시장이 테라 상황에 겁을 먹고 있는가라고 질문한다면 대답은 그렇다"라고 말했습니다.
암호화폐 거래소 mgnr는 "다른 가상화폐 업체들이 테라폼랩스에 (구제금융을) 지원할 리스크를 떠안을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며 "알고리즘의 안전성은 일종의 신뢰 게임인데, 그 신뢰가 무너지면 끝난 게임"이라고 분석했습니다.
CNBC 방송은 "가상화폐 매도 압박에 테라 가격이 무너졌고 시장에 더 큰 패닉을 초래하고 있다"고 설명했는데 일부 외신은 루나·테라 폭락의 파장을 리먼브러더스 사태로 촉발된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했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 사태에 대해 2008년 금융위기와 비교하는 것이 시작됐다"며 "극단적으로 높은 레버리지와 물고 물리는 순환적 메커니즘 등 그림자 금융(건전성 규제를 받는 않는 금융기관)의 특징을 테라 생태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테라의 추락이 가상화폐 시장에서 리먼브러더스 모멘텀이 되는가"라면서 "많은 투자자가 이제 거의 모든 돈을 잃었다는 것을 깨달았고 일부는 권 대표의 구제 패키지를 기다리지만, 다른 사람은 이 프로젝트에 전적으로 신뢰를 잃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번 사태는 어느 한 순간 이뤄진 것이 아니라 오랜동안 준비되어 온 폭락으로 보이는데 가상화폐가 우리나라에서 유행한 것이 청년세대에게 반문재인 정서를 심어주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기 때문에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이상 폭탄을 들고 있을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일 겁니다
지난 20대 대선과 연계되어 있는 가상화폐 투자붐의 끝을 잘 보여준 것 같습니다
경제적 이유가 아닌 다른 이유에 의해 만들어진 경제적 이벤트는 그 목적을 다하면 사라지게 되어 있다는 사실을 잘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펄어비스 1분기 실적발표 어닝쇼크 주식소각도 실적부진 우려 못 넘긴다 (0) | 2022.05.12 |
---|---|
쿠팡 1분기 실적발표 사상 최대 분기 매출에 적자 지속 도데체 수익은 언제나나? (2) | 2022.05.12 |
윤석열 정부 주식 양도소득세 전면 폐지 증권거래세 유지 부자감세 서민증세 개시 Again 이명박2기 (0) | 2022.05.11 |
KG그룹과 파빌리온PE 컨소시엄 구성 쌍용차 인수제안서 제출 (0) | 2022.05.11 |
LG생활건강 1분기 실적발표 어닝쇼크 중국 봉쇄정책 영향 (0) | 2022.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