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2n2h3l79Kc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티아이는 국내 강화유리 가공 1위 업체로 삼성전자 1차 협력업체인데 갤럭시 스마트폰 카메라모듈과 터치패널의 보호를 위한 기구물을 주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유티아이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용 카메라 윈도우 커버 글래스를 주로 납품하는데 삼성전자 스마트폰 디자인 단계부터 함께 참여하여 개발하고 있습니다

 

유티아이는 2015년 하반기 갤럭시 노트5를 시작으로, 삼성전자의 1차 협력업체로서 프리미엄급 모델과 보급형 모델의 카메라 윈도우 커버 글래스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2016년 5월에는 베트남 생산법인인 UTI VINA CO.,LTD를 설립해 베트남 삼성전자 스마트폰 공장에 직접 대응하고 있으며 최근 생산케마 증설을 통해 고객사 다변화에 나서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부문에서 글로벌 히트작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에서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점유율을 키워오고 있어 유티아이는 중국 스마트폰 공급망에 들어가기 위해 중국 화웨이, 오포 비포 등과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기다 2026년 애플 아이폰의 폴더블폰 시장 참여는 폴더블폰 대중화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어 삼성전자 단일 공급망에 성장성과 수익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유티아이에게는 고객사 다변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최근 유티아이는 1회차 전환사채를 발행하여 재무적으로 큰 위기에 내몰리고 있는데 전환사채 전환가격 조정을 통해 최저가격을 만족해 주어 이제는 주가를 끌어올려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을 유도해야 할 타이밍에 와 있습니다

 

유티아이는 전환사채 발행으로 모은 자금을 베트남 공장 증설에 투자하고 있는데 이는 삼성전자 단일 공급망에서 고객사를 다변화하기 위한 수순으로 중국 스마트폰 업체 뿐 아니라 애플의 폴더블폰에도 커버글라스를 납품하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의 폴더블폰 시장 참여로 폴더블폰 대중화가 성큼 다가온 상황이라 유티아이는 규모의 경제 달성을 통해 수익성을 빠르게 개선하고 재무구조 개선에도 기대감을 갖게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유티아이 2024 DS투자증권.pdf
0.73MB
폴더블폰 희망을 찾아서 20240711 삼성증권.pdf
0.96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EcSldhwDjTU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티아이는 삼성전자 1차 협력업체로 대부분의 매출은 스마트폰용 카메라 윈도우 커버글라스에서 나고 있지만, 폴더블폰 화면에 적용되는 강화유리 기술도 보유하고 있고 초박형 강화유리(UTG) 기술과 함께 최근엔 플렉서블유리(UFG) 기술 개발도 완료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유티아이는 주력 사업인 강화유리 가공부문에서 국내 최고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신사업인 UTG와 UFG 개발이 완료됨에 따라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중국 시장점유율 50%가 무너지면서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의 폴더블폰이 쏟아져 나오고 있어 유티아이의 강화유리 수요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티아이의 플렉셔블 글라스 사업은 23년이후 영업중단이 되어 있는 상황인데 이번에 베트남에 플렉셔블 글라스 공장을 새로 마련하면서 다시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유티아이의 주력사업은 카메라 커버글래스로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전면에 부착돼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 부품으로 카메라 기능이 있는 모든 휴대폰에 반드시 필요한 부품입니다

 

Flexible glass의 경우 원천기술부터 대량생산까지 많은 특허를 출원함으로써 기술 완성도 뿐만 아니라 양산 경쟁력을 전략적으로 높여가고 있습니다.



Flexible Cover Glass 가공기술을 바탕으로 상표등록제품인 UFG(UTI Flexible Glass_폴딩영역만 얇은 제품), UTI Cobra Glass(Glass Surface texturing를 통해 강도향상)의 기술개발을 완료 하였습니다.

 

유티아이의 또 다른 핵심 기술은 Laser Cutting으로 강화된 Glass를 정밀 절단하는 기술로 경쟁사들이 주로 사용 중인 CNC 기술에 비해 보다 정밀하고, 생산성 높은 기술입니다.

 

유티아이의 이런 기술력에도 불구하고 주요 고객사인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이 줄어들고 있어 실적 부진에 어려움을 겪어 왔고 최근 1000억원대 신규자금 마련을 통해 과거 부실을 떨어낼 수 있는 신규자금 마련에 성공했습니다

 

지난 해 실적부진과 차입금 증가로 부채비율이 485.68%까지 커졌는데 올 해 전환사채 발행으로 부채총계는 1377억원을 기록해 부채비율은 800%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유티아이는 폴더블폰 대중화가 성큼 다가오고 애플도 폴더블폰 발매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신규사업인 UTG에서 실적이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유티아이의 실적은 내년 흑자전환이 예상될만큼 비약적인 외형성장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 향후 전환사채의 주식전환을 위한 주가 끌어올리기가 전환가격 조정 후 일어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유티아이 2024 DS투자증권.pdf
0.73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애플이 드디어 폴더블폰을 내놓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폴더블폰 부품사들의 몸값이 급등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독주 무대라 폴더블폰 성장의 한계를 드러내고있을 때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에 뛰어들어 판이 커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애플 부품사들은 폴더블폰에도 그대로 사용될 수 있어 시장 외연이 커지는 게기가 될 것으로 보여 애플 부품사들에게는 성장의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애플의 폴더블 아이패드가 2026년 상반기, 폴더블 아이폰은 2027년 출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이해되고 있어 애플 부품사들에게는 성장의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으로 외연을 확장할 경우 삼성전자가 노력해 왔던 폴더블폰 대중화에 한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 애플에서 개발 중인 폴더블 디바이스는 아이패드와 아이폰 형태로 2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이패드가 먼저 런칭되고 여기에 디스플레이는 삼성디스플레이가 공급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폴더블 아이폰의 경우 지난해 10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6.8인치(플립형)와 8인치(폴드형) 두 타입으로 샘플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경쟁이 치열한 것 같습니다

 

애플 아이폰 부품사들은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 진출을 미루면서 성장이 둔화된다고 우려해 왔는데 삼성전자가 키워놓은 폴더블폰 시장에 애플은 단번에 시장의 주요 마켓플레이어로 등장할 것 같아 실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애플은 중국시장 점유율이 급감하면서 가격인하라는 카드를 내놓고 점유율 증가를 가져왔는데 폴더블폰 아이폰의 런칭도 삼성전자가 만들어 놓은 폴더블폰 시장에 무임승차할 만큼 애플도 실적이 아쉬운 상태입니다

 

애플의 폴더블폰 런칭은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에게도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애플 폴더블폰 부품사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세경하이테크

파인엠텍

유티아이

KH바텍

디케이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플래그십(최고급 사양) 스마트폰 갤럭시S23 시리즈를 1000만대 이상 판매한 것으로 보이는데 오래간만에 스마트폰 사업이 흥행하면서 삼성전자 실적을 적자로부터 지켜주고 있습니다.

 

11일 증권가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1분기 갤럭시S23 시리즈를 1100만대 판 것으로 알려졌는데 전작인 갤럭시S22이 지난해 판매량 3000만대를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갤럭시S23의 1분기 실적은 흥행성공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매출 63조원, 영업이익 6000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는 전년과 견줘 각각 19%, 96% 급감한 것으로 삼성전자 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을 하회한 것은 지난 2009년 1분기 이후 14년 만입니다.



삼성전자는 지난 6일 "갤럭시S23 시리즈가 같은 기간 동안 전작 S22 시리즈 대비 전세계적으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했다"며 "특정 지역의 경우 전년 동기 최대 70%까지 더 높은 판매를 기록하는 등 기대 이상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했습니다.



갤럭시S23, 갤럭시S23플러스, 갤럭시S23울트라 등 3종으로 구성된 갤럭시S23 시리즈는 지난 2월17일 글로벌 출시됐는데 영업일로 따지면 반분기로 1100만대 판매라 흥행에 성공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갤럭시S23 시리즈는 국내서 100만대 판매됐고 브라질, 멕시코 등 중남미 주요 국가에선 글로벌 출시일(2월17일)보다 일주일 늦게 출시됐지만 전작 대비 1.7배 많이 팔렸고 갤럭시S23 울트라, 플러스, 기본의 글로벌 판매 비중은 각각 6대 2대 2로 집계돼 울트라 제품의 인기가 압도적인 상황이라 갤럭시노트 수요가 갤럭시S23울트라로 옮겨간 것으로 보입니다.



프리미엄 모델 판매 비중이 높은 유럽에선 판매량이 전작과 비교해 1.5배, 인도에서는 전작 대비 1.4배, 중동은 1.5배 높았습니다.



갤럭시S23 시리즈는 가장 하위 모델인 S23이 미국에서 799달러부터, 한국에서 115만5000원부터 가격이 시작되는 플래 그십 스마트폰인 만큼 수익성이 보급형 스마트폰보다 높은 상황입니다.



증권가 평균 전망치를 취합한 결과 1분기 MX 사업부 매출액은 32조원, 영업이익은 3조3000억원으로 추정되는데 반도체를 담당하는 DS 사업부가 4조원대의 적자가 예상되지만 삼성전자는 MX 사업부의 선전으로 적자를 모면한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의 갤러시S23시리즈의 성공은 원달러환율의 상승에 따른 환율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갤럭시S23시리즈의 가격이 싸보이는 특징에 100줌 카메라에 대한 홍보가 판매에 들어맞았다는 평가입니다

 

삼성전자가 오랜만에 프리미엄스마트폰에서 히트작을 내놓을 것으로 보여 관련 부품사들도 추가주문에 신이난 모습인데 스마트폰 부품사들도 오랜만에 공장가동율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스마트폰 부품주

KH바텍

삼성SDI

삼성전기

세경하이테크

PI첨단소재

한솔케미칼

이녹스첨단소재

코오롱인더스트리

SKC

비에이치

티에스이

인탑스

하이비젼시스템

디케이티

파인텍

덕산네오룩스

뉴파워플라즈마

모다이노칩

파인테크닉스

유티아이

나무가

해성옵틱스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인터플렉스

코리아써키트

이녹스

탑엔지니어링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해 하반기에는 화면을 접고 펼 수 있는 폴더블폰 부품을 생산하는 종목들은 고전하고 있는데 코로나19 영향으로 시장이 예상만큼 빠르게 성장하지 못한 까닭입니다

하지만 지난달 애플이 폴더블폰 테스트를 의뢰했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관련 부품주가 반등할 것이란 기대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난달 16일 대만 매체 이코노믹 데일리뉴스는 애플이 대만의 제조업체인 폭스콘에 폴더블 아이폰 테스트를 의뢰했다고 보도했는데 2022년 9월 공개될 예정인 폴더블 아이폰의 개발이 본격화됐다는 의미로 이에 더해 LG디스플레이는 지난달 30일 강화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특허를 냈는데 이 특허가 향후 아이폰에 패널을 납품하기 위한 준비 단계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애플까지 폴더블폰 시장에 진입하면 관련 부품주도 수혜를 볼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올해 초까지만 해도 폴더블폰 부품주는 급격한 상승세를 그렸는데 힌지를 공급하는 KH바텍은 지난해 9월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갤럭시 폴드를 출시한 후 6개월 새 주가가 150% 뛰었는데 지난해 9월 5일 9390원이던 주가가 올 2월에는 2만5950원까지 올랐고 폴더블폰용 보호필름을 생산하는 세경 하이테크도 같은 기간 134% 올랐습니다.

그러나 하반기 들어 주가가 추락하기 시작했는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폴더블폰 출하량이 줄어든 탓입니다.

KH바텍은 2일 전일대비 0.81% 떨어진 1만8350원에 거래를 마쳤는데 연초 고점보다 30.3% 하락한 값입니다.

세경하이테크 역시 4월 이후로는 2월 고점보다 40% 하락한 2만원 중반에서 횡보하고 있는데 10일에는 전일대비 1.13% 오른 2만24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증권업계는 중장기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고 내다봤는데 올해보다 내년에 폴더블폰 출하량이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입니다.

폴더블폰의 가장 강력한 수혜주로 꼽히는 KH바텍은 내년에 매출 3565억원, 영업이익 37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올해보다 각각 76.7%, 459.7% 성장한 수치로 올해는 원화가 강세를 띄면서 영업외비용이 증가해 6억원 안팎의 순손실을 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규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이 기대만큼 빠르게 성장하지 못했으나 중장기 성장성은 유효하고, 앞으로도 KH바텍을 제외한 다른 업체의 힌지 납품 가능성이 낮다”고 설명했습니다.

세경하이테크도 내년 매출 3105억원, 영업이익 167억원을 달성해 올해보다 각각 40.5%, 1137.0% 성장할 전망입니다.

박종선 유진증권 연구원은 “내년에는 폴더블폰 및 5G 단말기 출시가 확대되면서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이밖에도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특허를 낸 LG 디스플레이도 내년 전망이 밝아 보입니다.

증권업계는 LG디스플레이가 내년에 영업이익 5443억원을 기록하며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했고 삼성전기는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데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한 양만 일정하게 공급하는 장치로, 스마트폰에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한솔케미칼은 폴더블폰에 들어가는 광학용 투명접착필름을 만드는데 내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4.0%, 20.6% 늘어날 전망입니다.

폴더블폰 가격을 빠른 시간안에 떨어뜨리거나 폴더블폰의 장점을 사용할 수 있는 컨텐츠가 개발되어야 판매가 촉진될 수 있어 보여 단기간에 판매가 급증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하지만 올 해보다 내년에는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에 뛰어들어 판매량 자체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폴더블폰 부품주

KH바텍

삼성SDI

PI첨단소재

이녹스첨단소재

SKC

코오롱인더스트리

세경하이테크

비에이치

티에스이

인탑스

하이비젼시스템

디케이티

파인텍

덕산네오룩스

뉴파워플라즈마

모다이노칩

파인테크닉스

유티아이

해성옵틱스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인터플렉스

코리아써키트

이녹스

탑엔지니어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