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롯데그룹의 유동성 문제가 이슈가 되면서 2023년은 롯데그룹에게 힘든 한해로 기억될 것 같은데 롯데건설의 유동성 위기가 그룹 전체로 확산될 뻔하면서 무엇보다 재무구조 안정이 가장 큰 당면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올해 롯데그룹은 전반적으로 힘든 한 해를 보냈는데 재계순위 5위를 유지하던 롯데는 올해 13년 만에 6위로 밀려났고 또 올 상반기엔 롯데그룹 계열사들이 무더기로 신용등급이 하향했습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올해 6월 롯데케미칼은 ‘AA+(부정적)’에서 ‘AA(안정적)’로, 롯데지주는 ‘AA(부정적)’에서 ‘AA-(안정적)’, 롯데렌탈은 ‘AA-(부정적)’에서 ‘A+(안정적)’, 롯데캐피탈은 ‘AA-(부정적)’에서 ‘A+(안정적)’로 일제히 하향 조정했습니다.

 

롯데쇼핑은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420억3700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3% 감소했고, 같은 기간 매출액은 6.8% 줄어든 3조7391억2100만원을 기록했는데 경기침체를 감안하면 선방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룹의 주력사라는 측면에서 캐시카우 역할을 해 주지 못하고 있습니다

 

롯데쇼핑에는 김상현 롯데유통군 총괄대표 부회장, 정준호 롯데백화점 대표, 나영호 롯데온 대표 등 내년 3월 임기가 끝나는 임원들이 있어 교체사유가 발생한 측면이 있어 이번에는 큰 폭의 임원인사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영준 롯데케미칼 대표, 최홍훈 호텔롯데 월드사업부 대표 등도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 교체여부가 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신동빈 회장은 장남 신유열 롯데케미칼 상무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어 신유열(일본명 시게미쓰 사토시) 상무의 승진 여부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데 이번에 유통으로 자리를 옮겨 경영전면에 조기에 나서는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데 지금까지 시세미쓰 사토시의 경영권 승계 과정은 아버지 신동빈 회장과 동일한 루트를 걷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경기침체로 유통 부문이 어려운데 이럴 때 오너일가가 책임경영의 모습을 보인다는 차원에서 시게미쓰 사토시를 전면에 내세울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럴 경우 유통계열사들을 중심으로 큰폭의 인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세대교체가 핵심 화두가 될 수 있습니다

 

롯데그룹은 내년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들을 상환하거나 차환발행해야 하는데 경영성과가 비용부담 뿐 아니라 차환 성공 여부를 가리는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그룹들이 오너일가의 경영권승계에 따라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를 하고 있어 재계 세대교체가 빠르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WJlzhlZccbI?si=CFBuKjZlu1iHdzjv 

안녕하세요

롯데그룹 '시게미쓰 사토시' 롯데케미칼 상무는 신동빈 회장의 1남 2녀 중 장남으로 일본 아오야마 가쿠인에서 유치원과 초중고를 모두 나오고 게이오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노무라 증권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미국 컴럼비아대학에서 MBA를 하고 2020년 일본롯데와 일본홀딩스 부장으로 롯데그룹에서 후계자 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2021년 롯데상사를 거쳐 2022년 한국 롯데케미칼 상무로 승진하면서 국내 재계에도 얼굴을 알렸는데 아직 군복무 대상 나이이기 때문에 일본국적만 갖고 있어 국내에는 세금을 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에서 나고 자라서 한국어를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국내 롯데케미칼에서상무 직함으로 활동하며 한국어를 배울 것 같습니다

 

 '시게미쓰 사토시'가 신유열이라는 한국인이 되기 위해서는 38살이 넘어 일본국적을 포기하고 한국국적을 가지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국방의 의무를 벗어나기 위한 편법으로 예전 신동빈 회장도 그런 과정을 거쳐 군복무를 하지 않고 롯데그룹 회장 자리에 올랐습니다

 

 '시게미쓰 사토시'가 롯데그룹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롯데파이낸스의 최대주주 LSI(롯데스트래티직인베스트먼트)의 주요주주에 이름을 올리고 있어 아버지 신동빈 회장과 함께 롯데그룹의 공동지배자가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시게미쓰 사토시'가 롯데그룹의 명실상부한 경영권 승계자가 되기 위해 한국어를 아버지만큼 사용할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하는데 어린시절부터 일본인 엄마 손에 커 왔기 때문에 쉽지 않아 보입니다

 

'시게미쓰 사토시'가 우리나라에서 국방의 의무를 하지 않는 것이 뻔해 보여 우리나라에서는 활동명을 "신유열"로 쓰겠지만 그의 육성으로 한국어로 인터뷰하는 동영상은 좀처럼 보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2019년7월 일본우익 아베정부가 반도체 소재수출규제로부터 시작된 일본보이콧운동 때 롯데타워에 거대한 태극기를 갖다 걸며 롯데그룹은 한국기업이라고 주장해 왔지만 여전히 최대주주가 일본롯데의 지배하에 있고 우리나라에서 벌어들이는 수익 대부분을 일본에 배당하면서 롯데그룹을 한국기업이라 보는 사람들은 많아보이지 않습니다

 

롯데그룹과 일본롯데의 임금차이만 봐도 알 수 있는데 롯데그룹은 한국인에 대한 임금이 싸기로 유명한 기업으로 싫으면 나가라는 식의 전형적인 매판자본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신격호 회장이 돌아가신 이후로 이런 롯데그룹의 일본화가 좀 더 급격하게 이뤄지고 있는데 3세인 '시게미쓰 사토시'대에 가서는 이런 일본기업화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YkbC4tqr-Q

안녕하세요

롯데가 바이오 의약품 사업에 향후 10년간 약 2조 5000억 원을 투자하는데 이달 말 롯데지주 산하에 자회사 ‘롯데바이오로직스’를 신설하고 2030년 글로벌 톱10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발돋움 한다는 목표로 이 같은 대규모 투자는 유통 중심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기 위한 것으로 예상되며 신동빈 회장 체제가 본격화 한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됩니다.



롯데가 바이오 시장에 주목한 것은 가파른 성장세 때문인데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시장은 2020년 3400억 달러(약 437조 원)에서 2026년 6220억 달러로 매년 12% 이상 지속 성장이 예상되고 특히 롯데가 진출하는 항체 의약품 시장은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꾸준한 신약 개발이 이어지고 있는 주력 시장입니다.



영업이익률이 낮은 유통과 달리 바이오 분야는 대표적인 고수익 사업이기도 한데 통상 위탁생산(CMO)의 수익률은 20~40%로 대량생산 중인 코로나 백신의 경우 CMO 수익률이 5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동빈 회장은 2021년도 하반기 사장단회의(VCM)에서 미래 관점의 투자와 과감한 혁신을 주문하며 “신사업 발굴 및 핵심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양적으로 의미 있는 사업보다는 고부가가치 사업을 우선 고려할 것”을 당부한 바 있습니다.



롯데는 바이오 외에 모빌리티·메타버스도 주요 신사업으로 설정하고 투자를 늘리고 있는데 이를 위해 롯데렌탈은 국내 1위 차량 공유 업체인 쏘카에 1800억 원을 투자하며 3대 주주에 올라섰습니다.

 

롯데지주는 지난 달 700억 원을 출자해 롯데헬스케어를 설립했는데 국내 헬스케어 시장의 잠재력이 충분한 만큼 호텔·건설 등 그룹 계열사와의 서너지를 통해 실버타운·의료관광 등으로 사업 범위를 확대한다는 구상입니다.

 

롯데그룹은 신동빈 회장이 한국롯데와 일본롯데를 모두 장악하고 있지만 여전히 일본롯데 주주들의 입김에서 예전 신격호 회장 같은 지배력을 갖고 있지 못하는데 신동빈 회장의 형인 신동주 전 부회장이 호시탐탐 일본롯데의 경영권을 회복하려 시도하는 것도 여전히 롯데그룹 지배구조의 위에 일본롯데가 있기 때문일 겁니다

 

호텔롯데의 상장을 통해 일본롯데가 한국롯데를 지배하는 구조를 끓고 롯데지주가 명실상부한 롯데그룹의 지주회사가 되게 만들기 위해 성장성이 큰 바이오사업을 롯데지주를 통해 진행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울러 롯데그룹의 형제의 난과 같은 경영권 분쟁이 일어나지 않게 조기에 경영권 승계 구도를 만들려는 의지도 신규사업 속에 읽히고 있습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인 신유열 씨(36·일본 이름 시게미쓰 사토시)가 최근 롯데케미칼의 일본 지사에 상무로 합류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신씨의 아버지인 신 회장 역시 롯데케미칼의 전신인 호남석유화학에 입사하며 한국 롯데 경영에 관여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이번 롯데케미칼 입사를 두고 롯데의 3세 경영 준비의 일환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롯데그룹은 앞서 2017년 지주사 출범 후 뉴롯데를 선언하며 본격적인 지배구조 개편에 나서고 있는데 '총수일가→광윤사→일본롯데홀딩스→호텔롯데/롯데지주→계열사'로 이어지는 현 구조에서 점차 일본 롯데 지배력은 낮추고 롯데지주 기업가치는 키우는 식으로 개편이 이어지고 있어 한국롯데와 일본롯데를 분리하는 수순을 밟고 있습니다.

 

호텔롯데가 코로나19팬데믹으로 상장 시기를 정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는데 한국롯데 지주회사 꼭데기에 있는 호텔롯데를 투자부문과 사업부문으로 분리해 롯데지주와 호텔롯데 투자부문을 합병해 명실상부한 지주회사를 만들어 지배구조를 완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롯데그룹의 사업매출의 약 90%가 한국에 이뤄지면서 일본롯데가 최대주주로 이익을 다 배당으로 받아가는 모순된 구조를 시정하려는 과정이 롯데그룹 지배구조 개편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롯데지주20220516유안타증권.pdf
0.65MB
롯데지주 20220525 한화투자증권.pdf
0.75MB
★롯데지주_22.1Q실적발표자료_최종.pdf
3.19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