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BTS(방탄소년단) 드라마 Youth 라인업

안녕하세요

한화투자증권은 2일 초록뱀에 대해 "가장 소외 당한 중소형 제작사"라고 판단했고 투자의견은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지인해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말부터 급부상하고 있는 중소형 제작사들 중 가장 소외 받고 있는 종목은 초록뱀이다"라며 "2020년 9월 빅히트 상장 직전, BTS(방탄소년단) 관련주로 크게 급등한 후 오히려 주가는 하락했다"라고 말했습니다.

초록뱀의 2021년 드라마 제작편수는 총 7편으로 지 연구원은 "이는 동사의 과거 연평균 2.8개보다 많고, 타 중소형 제작사와 비교해도 많다"라며 "심지어 '펜트하우스' 1~3, '결혼작사 이혼작곡' 1~2 등 최근 흥행 드라마를 모두 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이어 "아쉽게도 외주 제작 모델이기 때문에 가장 레버리지가 큰 IP(지식재산권)를 통한 해외판권 수익은 직접 인식하지 못하지만, 신드롬에 가까운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수익성은 평균 외주 제작 대비 훨씬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강조했습니다.

초록뱀은 창립 이래 처음으로 IP 드라마 제작을 시작하는데 BTS의 이야기를 담은 'Youth'와 배우 김수현과 차승원을 주연으로 한 '그날 밤'으로 제작비는 각각 400억원, 200억~300억원 수준이며 하반기 글로벌 OTT용 방영을 목표로 준비 중입니다.

지 연구원은 "100%가 아닌 일부 IP 확보로 파악되나 처음으로 IP 전략을 도모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초록뱀은 방송 외에도 외식(자회사 더스카이팜), 임대 사업을 운영 중인데 외식 사업은 '세상의 모든 아침', '사대부집 곳간' 등을 포함하고 연간 최소 기대 매출은 40억원 수준입니다.

지 연구원은 "동사는 재평가가 크게 반영되고 있는 다른 중소형 제작사들과 드라마 제작편수 확대, 수익모델 진화 관점에서 결국 같은 방향성을 향해 가고 있으며 기타 사업도 성장 발판을 확보했다"고 말했습니다

앞에 길게 설명했지만 이번에 제작에 들어가는 방탄소년단BTS 이야기 드라마 "Youth"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뒤늦게 반영되기 시작하는 모습입니다

실적만 놓고 보면 결코 투자할 가치가 없는 회사인데다 주력사업도 제대로 못하면서 외식사업으로 돈만 까먹고 있는 것 같아 한심한 연예기획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 주가에 플러스 될 수 있는 재료는 오로지 방탄소년단BTS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 'Youth'의 제작 외에는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 부족해 보이는데 그나마도 기대감으로 오를 뿐 실제 뚜껑을 열었을 때 수익성이 별로면 주가는 처음 출발한 자리로 돌아올 겁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그래미는 역시 미국만의 동네잔치였습니다

미국 주류 음악계의 보루이자 그들만의 잔치였다는 사실을 이번에도 확인시켜주었습니다.

14일 저녁(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제63회 그래미 어워즈에서 방탄소년단BTS이 한국 가수 첫 수상에 실패했는데 후보에 오른 ‘최우수 팝 듀오/그룹 퍼포먼스’ 부문의 트로피는 레이디 가가가 아리아나 그란데와 함께 부른 ‘Rain on Me’에 돌아갔습니다.

그래미 시상식을 통해 한강과 서울의 야경이 전 세계에 중계된 것으로 만족할 수 밖에 없었는데 코로나19로 미국 현지에 가지 못한 방탄소년단은 11일 오후 서울 여의도의 한 빌딩에서 축하 무대를 자체적으로 녹화한 뒤 그래미 측에 건넸습니다.

방탄소년단은 2019년 시상자, 2020년 축하무대 보조출연자(메인 공연자는 래퍼 릴 나스 엑스)로 그래미에 얼굴을 내밀었지만 이번에는 축하 무대를 꾸민 22팀 가운데 당당히 하나가 됐고 그것도 시상식의 하이라이트인 후반부에 출연했습니다.

영국 밴드 ‘콜드플레이’의 리더 크리스 마틴을 비롯해 이날 출연한 다수의 비(非)미국 음악가들이 로스앤젤레스나 그 주변에 살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방탄소년단의 서울 축하 무대는 의미가 있었습니다.

빅히트가 일군 독특한 ‘원격 신드롬’을 제대로 자랑한 셈인데 방탄소년단은 그래미 트로피 모형과 레드 카펫이 마련된 건물 내에서 ‘Dynamite’를 시작해 비상 계단을 타고 올라가 고층 빌딩 옥상에서 현란한 조명과 야경을 배경으로 노래를 마무리했습니다.

올해 그래미는 여성과 흑인의 목소리에 무게를 실었는데 올해의 레코드(빌리 아일리시), 올해의 앨범(테일러 스위프트), 올해의 노래(H.E.R.·허), 최우수 신인(메건 디 스탤리언). 주요 부문 네 개 트로피를 모두 여성에게 줬습니다.

허의 ‘I Can‘t Breathe’를 2020년 최고의 노래로 뽑은 것은 가장 선언적이었는데 경찰의 과잉진압으로 사망한 조지 플로이드의 마지막 호소를 제목으로 단 이 곡은 빌보드 싱글차트에서 성공한 노래가 아니었는데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BLM)’를 담은 메시지는 축하 무대도 점했습니다.

래퍼 릴 베이비는 ‘The Bigger Picture’ 무대를 경찰에게 흑인이 사살되는 장면으로 시작했는데 공연 내내 경찰과 대치하는 가두시위와 연설 장면을 노래와 교차시켰습니다.

올해 최다 수상자(4개)는 비욘세였는데 흑인 문화의 자존감을 다룬 곡 ‘Black Parade’로 ‘최우수 R&B 퍼포먼스’ 트로피를 건네받은 뒤 그는 시상대에서 “아티스트로서 저의 역할은 (어려운) 시대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그래미의 행보는 보수성에 대한 그간의 비판을 강하게 의식한 듯했는데 앞서 그래미는 지난해 큰 성공을 거둔 캐나다 싱어송라이터 위켄드를 후보에 아예 올리지 않아 비난에 직면했는데 시상식에 앞서 위켄드는 앞으로 그래미를 전면 보이콧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수상에는 실패했지만 방탄소년단에게는 내년을 기약하게 하는 희망의 무대이기도 했는데 이대화 대중음악평론가는 “‘나이 든 백인 아저씨들의 시상식’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서라도 그래미가 방탄소년단을 호명하지 않을까 했는데 역시 벽이 높았는데 대진운도 안 따른 편”이라면서 “방탄소년단이 인지도는 이미 충분히 확보했다.

앞으로 미국 음악업계의 보편적 지지를 얻는 데 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방탄소년단은 시상식이 끝난 뒤 소속사를 통해 “그래미에서 쟁쟁한 글로벌 뮤지션들과 함께 후보에 오른 데 이어 염원하던 단독 공연까지 펼쳐 매우 영광스럽다. 의미 있는 순간으로 기억될 것”이라며 “모두 아미 여러분 덕분이다. 다음 목표를 향해 쉼 없이 나아갈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한편 방탄소년단은 15일 열린 제35회 일본 골드디스크 대상에서 최우수 아티스트, 올해의 앨범 등 8개 부문을 석권했습니다.

방탄소년단이 아시아권에서는 상당할 자가 없는 확실한 스타임을 확인시켜 주었지만 Pop의 본고장 미국시장에서는 여전히 백인 중심의 문화속에 벽이 존재함을 실감케 해 주었습니다

하지만 봉준호 감독의 말처럼 동네잔치에 머무는 미국문화의 후진성을 확인시켜 주었고 우리 방탄소년단(BTS)는 글로벌 무대를 배경으로 활동하며 이미 그래미를 뛰어넘는 아티스트가 되고 있다는 사실을 모두가 알고 있는 것입니다

빅히트는 방탄소년단의 성공에 함께할 수 있는 연예기획사로 이번 무대를 미국시장에서 빅히트가 성공할 수 있는 연예기획사라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포털 네이버가 올해 미국에서 빅히트엔터테인먼트와 합작법인을 만들어 K팝스타를 활용한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벌일 계획이라고 합니다.

코리아타임스에서 익명의 내부자라고 소식을알렸는데 "구체적인 설립 날짜와 함께 회사 이름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올해 안에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네이버와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이에 대한 언급을 피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소식통에 따르면 잠정적으로 'NaverBE'로 명명된 이 합작법인은 네이버 V라이브 사업부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위버스'를 개발한 기술 자회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beNX를 결합해 설립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네이버 브이라이브와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위버스는 온라인에서 연예인들이 팬들과 교류할 수 있는 라이브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 회사들은 라이브 채팅 세션에서부터 리얼리티 쇼와 K-pop 콘서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가상 행사를 개최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해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버스에는 미디어 콘텐츠 구독은 물론 방탄소년단 관련 상품과 상품까지 판매하는 전자상거래 애플리케이션 위버스샵이 있습니다.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수익성의 거의 70%를 책임지고 있는 K-pop 슈퍼스타 방탄소년단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고 하는데 지난해 방탄소년단은 빅히트 매출의 97.4%를 책임졌습니다.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위버스와 네이버 V라이브에 더 많은 케이팝 스타들을 초청해 비엔엑스와의 시너지를 높일 필요가 있는데 브이라이브는 플랫폼에서 다양한 K-pop 밴드들이 라이브 영상을 방송하고 있으며, 월 8000만 명의 액티브 유저들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지난 8월 SM엔터테인먼트와 자회사에 1000억원을 투자해 V라이브 플랫폼에 소속 연예인을 활용, 글로벌 팬들을 더 많이 유치했고 또 CJ ENM과 V라이브 사업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는데 CJ ENM은 국내 1위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제공업체입니다.

하지만 지난 해 3분기 매출은 270억원에 그쳐 적자 전환했는데 반면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beNX는 같은 기간 140억원의 영업이익을 내며 1400억원의 매출을 올렸습니다.

합작법인이 설립되면 세계 시장에서 K-pop 스타들을 글로벌 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콘서트를 개최하고 관련 아이템을 판매하면서 수익성과 함께 전 세계 팬들을 초대해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갖게 딜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방탄소년단에 대한 수익 의존도를 낮추면서 지속적인 수익을 오릴 수 있는 솔루션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 NAVER는 K pop 스타들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할 수 있어 윈윈이 되는 조인트벤처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