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농심의 가격 인하를 필두로 라면·제과·제빵업계의 가격인하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데 원가부담이 높은 상황이지만 서민 물가안정을 위해 동참하겠다는 명분을 내걸고 있지만 경기침체에 소비가 둔화되면서 재고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손해를 보더라도 가격인하에 동참할 수 밖에 없는 상황도 내포된 듯합니다.

 

28일 오뚜기는 7월부터 라면류 15개 제품 가격을 평균 5% 인하한다고 발표했는데 대형마트 판매가 기준 가격으로 스낵면 3380원(5개 포장)에서 3180원으로 5.9%, 참깨라면 4680원(4개 포장)에서 4480원으로 4.3%, 진짬뽕 6480원(4개 포장)에서 6180원으로 4.6% 각각 인하되며 대표제품인 진라면의 경우 이번 가격인하 품목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앞서 10여년간 가격을 동결해 여전히 타사 제품에 비해 낮은 가격이라는 설명으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아 판매가 유지되는 측면도 있기 때문일 겁니다.

 

오뚜기 관계자는 "라면 가격 인하로 서민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앞으로도 더 좋은 맛과 품질의 제품, 서비스로 보답할 것"이라고 말했는데 라면가격 인하를 빌미로 사기업들의 임금인상을 억제하고 내년 총선에서 서민물가를 잡은 정부로 포장하려는 윤석열 정부의 큰 그림이 있는 듯 하지만 라면가격 인하로 임금인상을 막는 것은 솔직히 명분이 부족해 보입니다.

 

팔도도 '일품해물라면', '왕뚜껑봉지면', '남자라면' 등 11개 라면 제품에 대해 소비자 가격 기준 평균 5.1% 인하한다는 방침이고 이에 따라 일품해물라면과, 왕뚜껑봉지면, 남자라면은 1000원에서 940원으로 가격이 내려갑니다.

 

제과업계도 가격인하 움직임이 시작됐느넫 롯데웰푸드는 7월부터 과자 대표 브랜드인 '빠다코코낫', '롯샌', '제크' 등 총 3종의 가격을 인하하는데 편의점 가격 기준 1700원에서 1600원으로 100원 저렴해집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서민 물가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과자 대표 브랜드인 3종에 대해 가격 인하를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지만 솔직히 다른 기업들이 가격인하를 하고 있는데 혼자 버티다가 윤석열 정부의 세무조사나 검찰 압수수색을 당해 최대주주에게 해꼬지라도 일까봐 두려운 것 입니다.

 

해태제과도 '아이비' 오리지널 제품가격을 10% 내리는데 가격 인하 시기는 각 유통채널별로 재고상황에 맞춰 유동적으로 적용한다는 방침으로 재고가 쌓이는 비인기 제품부터 가격을 인하하여 재고소진을 노리고 있습니다. 



제빵업계에선 인사사고 등으로 최고경영진들이 검찰수사 대상이 될 수 있는 SPC가 선제적으로 움직였는데 SPC는 식빵류와 크림빵, 바게트 등 대표제품을 포함한 30개 품목을 평균 5% 인하하고 파리바게뜨는 식빵, 바게트를 포함해 총 10종에 대해 각각 100원~200원씩 가격을 내리며 SPC삼립은 식빵, 크림빵을 포함해 총 20종을 100원~200원 인하하기로 했습니다

 

식품업계에서는 시범케이스가 되지 말자는 분위기로 어차피 경기침체로 소비도 둔화되어 재고가 쌓여가는 품목들이 늘고 있어 재고소진을 위한 판촉이 필요한 때이고 윤석열 정부의 가격인하 권고를 진짜 권고로 받아들였다가 시범케이스로 당할 수 있다는 분위기에 잔뜩 몸을 움치리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내년 총선이 지나고 나면 다시 가격을 원상복귀 시키거나 추가인상을 할 수 있어 지금 손해보는 것들은 금새 다시 만회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소비자만 조삼모사 원숭이 꼴이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우리나라같이 독과점 시장 구조에서 소비의 대안이 없다는 측면에서 공급자 우위 시장이 될 수 밖에 없는데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가격결정권을 갖고 있어 소비자의 권리는 쉽게 무시당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라면시장은 3개 회사의 독과점이 가격담합으로도 연결되기 때문에 내리는 경우는 드물고 오르는 경우가 다반사로 인플레이션의 주범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밀가루와 설탕 같은 경우는 CJ제일제당의 시장 독과점이 지나쳐 한개 회사가 국민경제 전체의 가격을 좌지우지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우리나라도 독과점 시장에 대해 기업분할을 법으로 명령할 수 있는 미국처럼 되어야 독과점의 폐해가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올 해 식품회사들의 수익이 좋지 않아 보여 주주들에 대한 배당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지금 윤석열 정부에서 기업들의 팔을 비틀어 가격을 내리게 한 것은 시장왜곡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반드시 댓가를 치르게 될 것인데 내년 총선 이후 한꺼번에 가겨 인상을 할 경우 인플레이션의 기폭제가 될 수 있습니다

 

식품회사들은 내년 임금인상에 있어 가격인하를 빌미로 임금 동결이나 삭감으로 갈 가능성이 큰데 실제로 실적이 나빠질 경우 그렇겠지만 실적이 그렇게 나빠지지도 않았는데 임금동결로 가는 것은 또 다른 갈빙과 경제적 비용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항상 시장왜곡은 반드시 댓가를 지불하게 하기 때문에 오늘이 아니라 내일의 불확실성을 높여주는 사안이 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윤석열 정부가 식품업체에 가격 인하를 권고한 이후 농심이 신라면과 새우깡 가격을 전격적으로 인하하는 조치를 내놓았습니다.



신라면 가격 인하는 지난 2010년 이후 13년 만에 처음으로 새우깡 가격 인하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농심은 7월 1일부터 신라면과 새우깡의 출고가를 각각 4.5%, 6.9% 인하한다고 27일 밝혔는데 소매점 기준 1000원에 판매되는 신라면 한 봉지 가격은 950원, 1500원인 새우깡은 1400원으로 각각 낮아질 전망입니다.



농심은 이번 가격 인하로 소비자에게 연간 200억원 이상의 혜택이 돌아갈 것이라고 예상했는데 농심이 국내 제분 회사로부터 공급받는 소맥분의 가격이 7월부터 5.3% 인하될 예정인데, 이에 따른 비용 절감액은 연간 약 80억원 수준으로 농심의 이익 증가분 그 이상이 소비자에게 환원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농심 주주들이 볼 때는 농심 임원들이 배임행위를 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농심은 국내 대표 라면과 스낵인 신라면과 새우깡에 대한 가격 인하로 소비자가 실질적인 생활물가 하락을 체감할 수 있도록 했는데 농심 관계자는 “가격 인하 대상인 신라면(봉지면)과 새우깡은 국내에서 연간 3600억원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며 “이번 가격 인하로 경영에 부담은 있지만 국민 생활과 밀접한 제품을 대상으로 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식품 물가 안정을 위해 밀가루 가격 인하를 요구해왔는데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6월 18일 방송에서 국제 밀 가격 하락을 이유로 라면 가격 인하를 권고했고 농림축산식품부도 전날 제분 업체 7곳과 간담회를 열어 밀가루 가격 안정에 대한 협조를 요청한 바 있습니다.



농심이 신라면 가격을 내린 것은 원료가격 하락으로 제품 가격을 인하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무려 13년 만인데 당시 농심은 신라면 등 주력 제품 가격을 2.7~7.1% 인하하기도 했습니다.

 

검찰총장 출신 윤석열 정부의 권고가 단순히 권고로 느껴지지 않는 모습인데 내년 총선전까지 물가 안정과 민생안정의 느낌을 주기 위해 인위적으로 기업들의 실적을 악화시킨 것으로 이는 내년 총선이 끝나면 바로 원복되고 그 동안 할인한 가격 이상으로 인상할 수 있어 소비자들은 조삼모사 원숭이가 될 수 있습니다

 

 자유를 강조하던 윤석열이 결국 총선 승리를 위해 기업의 팔을 비튼 꼴인데 비정상적인 시장왜곡이라 총선 이후 더 큰 폭으로 가격인상 가능성이 커 조삼모사 원숭이꼴이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국제 밀 가력 하락을 두고 라면 제품 가격 인하를 권고하면서 국내 라면업체들의 주가가 급락하고 있습니다



추 부총리는 지난 18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현재 국제 밀 가격이 그때보다 50% 안팎으로 내렸는데 기업들이 밀 가격을 내린 부분에 맞춰 적정하게 내렸으면 좋겠다"고 말해 사실상 가격인하를 요구하였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하반기를 기점으로 라면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이뤄졌는데 농심은 지난해 9월 라면 출고가를 평균 11.3% 인상했고 이어 팔도, 오뚜기가 다음달 각각 9.8%, 11.0% 인상했고 11월에는 삼양식품이 라면 가격을 평균 9.7% 인상했습니다

 

당시 업체들은 밀가루, 팜유를 비롯해 물류비, 인건비 등의 비용 증가를 이유로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지만 이후 국제밀가격이 내렸는데도 가격인하에 인색한 모습입니다

 

라면은 국민들이 친숙하게 먹고 있는 인스턴트식품인데 가격에 대해 민감하게 느끼는 생할필수품이기도 합니다

 

국민들이 쉽게 접하고 있는 라면가격이 내려가면 물가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이 클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윤석열 정부는 인플레이션이 잡혔다는 상징으로 라면가격 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밀가루와 같은 해외 수입 원자재는 장기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입가격을 가져가려 하기 때문에 시장의 현물가로 거래되는 것이 아닙니다

 

아울러 밀가루 가격 뿐 아니라 공장운영비와 마케팅비 등이 모두 증가한 상황이라 인플레이션이 결코 안정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단순히 라면업계 팔을 비틀어 라면가격 하나 떨어뜨렸다고 인플레이션이 사라진 것이 아닙니다

 

한국은행이 먼저 기준금리를 동결시키며 인플레이션이 그대로 유지되게 한 것이 문제로 한국은행이 기획재정부의 남대문출장소가 되면서 인플레이션이 꺼지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로 더 올려 시장 내 과잉 유동성을 흡수해야 하고 이럴 경우 갭투자로 집을 사서 버티고 있는 이들의 금리부담이 늘어나 부동산 시장에 매물이 증가하여 부동산투기꾼들이 큰 손해를 보기 때문에 추경호 부총리와 윤석열 정부는 금리인상을 반대하고 있는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