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농심의 가격 인하를 필두로 라면·제과·제빵업계의 가격인하 행렬이 이어지고 있는데 원가부담이 높은 상황이지만 서민 물가안정을 위해 동참하겠다는 명분을 내걸고 있지만 경기침체에 소비가 둔화되면서 재고부담이 가중되고 있어 손해를 보더라도 가격인하에 동참할 수 밖에 없는 상황도 내포된 듯합니다.
28일 오뚜기는 7월부터 라면류 15개 제품 가격을 평균 5% 인하한다고 발표했는데 대형마트 판매가 기준 가격으로 스낵면 3380원(5개 포장)에서 3180원으로 5.9%, 참깨라면 4680원(4개 포장)에서 4480원으로 4.3%, 진짬뽕 6480원(4개 포장)에서 6180원으로 4.6% 각각 인하되며 대표제품인 진라면의 경우 이번 가격인하 품목에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앞서 10여년간 가격을 동결해 여전히 타사 제품에 비해 낮은 가격이라는 설명으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아 판매가 유지되는 측면도 있기 때문일 겁니다.
오뚜기 관계자는 "라면 가격 인하로 서민 물가 안정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며 "앞으로도 더 좋은 맛과 품질의 제품, 서비스로 보답할 것"이라고 말했는데 라면가격 인하를 빌미로 사기업들의 임금인상을 억제하고 내년 총선에서 서민물가를 잡은 정부로 포장하려는 윤석열 정부의 큰 그림이 있는 듯 하지만 라면가격 인하로 임금인상을 막는 것은 솔직히 명분이 부족해 보입니다.
팔도도 '일품해물라면', '왕뚜껑봉지면', '남자라면' 등 11개 라면 제품에 대해 소비자 가격 기준 평균 5.1% 인하한다는 방침이고 이에 따라 일품해물라면과, 왕뚜껑봉지면, 남자라면은 1000원에서 940원으로 가격이 내려갑니다.
제과업계도 가격인하 움직임이 시작됐느넫 롯데웰푸드는 7월부터 과자 대표 브랜드인 '빠다코코낫', '롯샌', '제크' 등 총 3종의 가격을 인하하는데 편의점 가격 기준 1700원에서 1600원으로 100원 저렴해집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서민 물가 부담을 덜어드리고자 과자 대표 브랜드인 3종에 대해 가격 인하를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지만 솔직히 다른 기업들이 가격인하를 하고 있는데 혼자 버티다가 윤석열 정부의 세무조사나 검찰 압수수색을 당해 최대주주에게 해꼬지라도 일까봐 두려운 것 입니다.
해태제과도 '아이비' 오리지널 제품가격을 10% 내리는데 가격 인하 시기는 각 유통채널별로 재고상황에 맞춰 유동적으로 적용한다는 방침으로 재고가 쌓이는 비인기 제품부터 가격을 인하하여 재고소진을 노리고 있습니다.
제빵업계에선 인사사고 등으로 최고경영진들이 검찰수사 대상이 될 수 있는 SPC가 선제적으로 움직였는데 SPC는 식빵류와 크림빵, 바게트 등 대표제품을 포함한 30개 품목을 평균 5% 인하하고 파리바게뜨는 식빵, 바게트를 포함해 총 10종에 대해 각각 100원~200원씩 가격을 내리며 SPC삼립은 식빵, 크림빵을 포함해 총 20종을 100원~200원 인하하기로 했습니다
식품업계에서는 시범케이스가 되지 말자는 분위기로 어차피 경기침체로 소비도 둔화되어 재고가 쌓여가는 품목들이 늘고 있어 재고소진을 위한 판촉이 필요한 때이고 윤석열 정부의 가격인하 권고를 진짜 권고로 받아들였다가 시범케이스로 당할 수 있다는 분위기에 잔뜩 몸을 움치리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내년 총선이 지나고 나면 다시 가격을 원상복귀 시키거나 추가인상을 할 수 있어 지금 손해보는 것들은 금새 다시 만회할 수 있다는 생각으로 소비자만 조삼모사 원숭이 꼴이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우리나라같이 독과점 시장 구조에서 소비의 대안이 없다는 측면에서 공급자 우위 시장이 될 수 밖에 없는데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대기업들이 가격결정권을 갖고 있어 소비자의 권리는 쉽게 무시당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라면시장은 3개 회사의 독과점이 가격담합으로도 연결되기 때문에 내리는 경우는 드물고 오르는 경우가 다반사로 인플레이션의 주범이 될 수 밖에 없습니다
밀가루와 설탕 같은 경우는 CJ제일제당의 시장 독과점이 지나쳐 한개 회사가 국민경제 전체의 가격을 좌지우지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우리나라도 독과점 시장에 대해 기업분할을 법으로 명령할 수 있는 미국처럼 되어야 독과점의 폐해가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올 해 식품회사들의 수익이 좋지 않아 보여 주주들에 대한 배당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지금 윤석열 정부에서 기업들의 팔을 비틀어 가격을 내리게 한 것은 시장왜곡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반드시 댓가를 치르게 될 것인데 내년 총선 이후 한꺼번에 가겨 인상을 할 경우 인플레이션의 기폭제가 될 수 있습니다
식품회사들은 내년 임금인상에 있어 가격인하를 빌미로 임금 동결이나 삭감으로 갈 가능성이 큰데 실제로 실적이 나빠질 경우 그렇겠지만 실적이 그렇게 나빠지지도 않았는데 임금동결로 가는 것은 또 다른 갈빙과 경제적 비용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항상 시장왜곡은 반드시 댓가를 지불하게 하기 때문에 오늘이 아니라 내일의 불확실성을 높여주는 사안이 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I첨단소재 세계 3대 화학사 아케마에 약 1조원에 매각 (0) | 2023.06.28 |
---|---|
한일통화스왑 재개 방안 협의 대일무역적자 확대에 따른 일본정부의 노림수 (0) | 2023.06.28 |
현대오토에버 ‘2023 CEO 인베스터 데이’ 개최 중기 전략 공개 (0) | 2023.06.28 |
자율주행 관련주 삼성전자 4단계 자율주행 성공 수혜 기대감 (0) | 2023.06.28 |
엠플러스 2차전지 제조장비 수주 증가 2분기 실적 기대감 (0) | 2023.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