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에서 약 5억3300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중엔 한국 이용자 12만여명의 개인정보도 포함돼 있었습니다.

미국 경제매체 비지니스인사이더와 로이터 통신은 한 해외 해킹 관련 웹사이트에서 전 세계 106개국의 페이스북 이용자 5억3300만여명의 개인정보가 “사실상 공짜”로 공개됐다고 3일(현지시간) 보도했는데 유출된 개인정보는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전화번호와 페이스북 아이디, 이름, 거주지, 생일, 계정 생성일, 이력(학력·직장경력 등), e메일 주소 등이었습니다.

비지니스인사이더는 유출된 개인정보 중 일부를 공개 상태의 페이스북 이용자의 전화번호와 e메일 주소 등이 일치하는지를 맞춰보며 검증했다고 설명했는데 로이터는 메시지 앱인 텔레그램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와 접촉을 시도해봤지만, 실패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스라엘의 사이버범죄 정보업체 허드슨록의 앨런 갤 창업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날 트위터를 통해 지난 1월부터 해커들 사이에서 돌던 페이스북 관련 전화번호와 같은 자료로 보인다고 밝혔는데 초보 수준의 해킹 기술을 공유하는 유명한 해킹 정보 사이트에서 지난 1월 단 몇 유로의 돈에 페이스북 개인정보를 판매한다는 자동 광고가 나오고 있었는데 이날 무료로 배포된 개인정보와 당시 해킹정보 사이트에서 제공한 개인정보가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갤 CTO가 트위터에 공개한 해당 자료에 따르면 개인정보 유출 피해는 미국 내 이용자가 3231만5282명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에서도 프랑스(1984만8559명), 영국(1152만2328명), 독일(645만4423명) 등의 피해가 컸습니다.

아시아에선 인도가 616만2450명으로 가장 많이 유출됐고 상대적으로 적긴 했지만, 중국(67만334명)과 일본(42만8625명) 등의 유출 피해도 상당했는데 한국 이용자의 유출도 12만1744명이나 됐습니다

이에 대해 페이스북은 유출된 데이터가 “아주 오래된 것일 뿐”이라며 “2019년 8월 수정한 보안 취약점과 관련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갤 CTO는 몇 년 된 데이터라고 해도 유출된 정보가 악용될 수 있다고 경고했는데 그는 “악의적인 이들은 이 정도 수준의 데이터를 분명히 사기와 불법 마케팅 등의 ‘사회공학적 공격’ 또는 해킹 시도에 활용할 것”이라며 “그간 페이스북이 이와 같은 정보 유출에 대한 (자신들의) 절대적인 과실을 인정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비판했습니다.

사회공학적 공격이란 개인정보를 통해 개인의 감정이나 인지·심리 상태를 공략하는 해킹 방법인데. 지인, 공공기관, 기업 등을 사칭해 개인에게 돈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피싱, SMS 메시지로 링크를 보내 악성코드를 퍼뜨리는 스미싱 등이 대표적입니다.

페이스북의 개인정보 유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닌데 지난 2016년에도 미 대선을 앞두고 영국 정치 컨설팅업체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가 정치 광고를 위해 페이스북 이용자 8000만명의 데이터를 수집했다가 뒤늦게 드러나 큰 논란이 일었고 당시 페이스북 측은 대규모 데이터 수집 행위를 단속하기로 약속했습니다.

갤 CTO는 “이미 정보가 유출된 만큼 보안의 측면에서 페이스북이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다”면서도 “페이스북이 이용자들에게 잠재적 피싱 등 사기에 당하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통지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번에도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50억 달러의 벌금을 부과 받았는데 이번에도 또 대규모 유출이 일어나 페이스북은 아예 개인정보보호에는 투자를 하지 않고 있나 봅니다

유출된 개인정보로 피싱을 당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지능적인 금융사기에 당할 수도 있는데 페이스북은 오래된 정보라는 이유로 팔짱만 끼고 있나 봅니다

이 정도면 페이스북이 일부로 개인정보를 판매한 것이 아닌가 의구심이 들 정도입니다

우리나라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해 책임을 강화하자 인터넷포털과 SNS가 영업이 어렵다고 볼멘소리를 해대고 있는데 미국이 페이스북에 어떻게 책임을 지울지 두고봐야겠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