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비가 오늘 날 갑자기 생선구익 땡겨 서소문역사공원 건너편 중림장 설렁탕 바로 옆집인 "구룡식당"을 찾아갔습니다

서울역 근처 땡땡거리를 지나 한국경제신문사를 지나치면 곧 바로 찾을 수 있는데 대로변에 있어 찾기 쉬운데다가 중림장이라고 서울 3대 설렁탕집 바로 옆집이라 찾기는 더 쉬운 것 같습니다

"구룡식당"은 그리 크지 않은 식당이지만 밥 때 되면 주변 직장인들이 많이 찾는 맛집임을 실감할 수 있는 식당입니다

처음 찾게 되어 좀 이른 시간에 찾아갔는데 테이블도 있지만 양반다리하고 앉는 방도 있어 단체 손님도 가능해 보이는 곳입니다

고등어구이를 주문하면 곧바로 밑반찬을 가져다 주는데 가정식 백반만큼 반찬도 여러가지고 맛도 있어 밥맛이 더 좋어지는 것 같습니다

고등어구이는 공기밥 한 그릇을 금새 뚝딱할만큼 맛있고 큼지막한데 밑반찬과 함께 먹으면 더 맛있는 것같습니다

솔직히 고등어구이를 보고 막걸리가 생각났는데 낮시간이기도 하고 할 일이 있어 아쉬움을 남기고 공기밥 두그릇을 뚝딱 해 치웠습니다

요즘 생선구이집을 찾기 어려운데 맛있고 푸짐한 곳을 찾은 것 같아 다음에는 저녁시간에 막걸리 먹으러 와야겠습니다

한국경제신문사 근처 중림장 설렁탕 바로 옆집입니다

식당 전경

식당 내부모습

내부모습

방도 있습니다

메뉴판(2025년 4월 기준)

테이블 기본셋팅

김치국

고등어구이

고등어구이가 실하게 나옵니다

총각김치가 맛납니다

다 먹으면 리필해 줍니다

깻닢도 리필해 줍니다

공기밥 두그릇에 깨끗이 다 먹었네요

계산하는데 인상깊은 사진이 있네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크래프톤은 29일 정기 이사회 결의를 통해 카카오게임즈가 보유한 넵튠 지분 39.37% 전량을 인수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기존 보유 지분 3.16%를 포함해 총 42.53%의 지분을 확보하게 되며, 넵튠의 최대주주 지위를 갖게 됩니다.

 

넵튠은 애드테크와 게임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는데 2024년에는 연결 기준 매출 1216억원, 영업이익 96억원을 기록하며 2016년 상장 이후 최대 영업이익을 달성했는데 이러한 성과는 경영진의 전략적 판단과 실행력에 기반한 결과로 크래프톤은 넵튠의 경쟁력을 평가해 인수하기로 했습니다.

 

크래프톤은 인도시장을 성장발판으로 삼아 다시금 부활의 신호를 내놓고 있는데 이번 넵튠 인수를 통해 애드테크 시장에도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크래프톤은 현재 인도를 핵심 전략 국가로 삼고 지난 4년간 인도에만 2억 달러를 투자했는데 크래프톤이 인도 투자에 나선건 배틀그라운드모바일인도(BGMI)가 인도시장에서 큰 인기를 거두고 있어 부활의 발판으로 삼고 있습니다

 

크래프톤은 최근 인도 대표 스포츠인 크리켓 게임을 모바일 게임으로 구현해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 노틸러스 모바일 경영권을 확보해 인도 게임시장 공략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크래프톤이 넵튠을 인수한 것은 인도시장 공략에 애드테크 기반 플랫폼 사업이 필요하기 때문인데 넵튠도 크래프톤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기반으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웅진이 국내 1위 상조업체 프리드라이프를 인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지난 달 29일 웅진은 종속회사 WJ라이프가 상조회사 프리드라이프의 지분 99.77%를 인수하기 위해 사모펀드 운용사인 VIG파트너스와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고 공시했습니다.

 

웅진은 전날 종속회사 WJ라이프가 상조회사 프리드라이프 지분 99.77%를 인수하는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는데 저출산으로 기존 주력 사업인 교육사업의 전망이 밝지 않은 상황에서 고령화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상조업계에 진출하며 사업 다각화에 나선 것으로 풀이됩니다.



인수가격은 8830억 원으로 웅진은 유상증자 없이 기존 보유 자산 및 영구채 발행, 인수금융을 활용해 자본을 조달할 예정으로 프리드라이프는 작년 말 기준 선수금 2조5600억 원을 보유한 국내 상조업계 1위 기업으로 지난 2020년 VIG파트너스에 인수됐고 이번에 웅진에 매각되면서 VIG파트너스는 인수한지 5년만에 엑시트에 성공하는 모습입니다

 

웅진은 지난 달 말 프리드라이프 인수를 발표하고 나서 52주 신고가 행진을 펼치고 있는데 교육사업의 불확실성을 노인인구 증가에 상조회사 인수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했기 때문입니다

 

웅진에 대해 유상증자 없이 자체자금과 인수금융을 통해 인수가격 8830억원을 마련하겠다고 해서 웅진의 주당가치 희석 우려도 없는 상황이라 웅진에 대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1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에 따르면 올해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공시집단)은 92개로 지난해보다 4개 늘어났는데 일반적으로 ‘대기업’이라 불리는 공시집단은 공정거래법에 따라 전년 말 기준 자산총액이 5조원 이상인 기업집단을 지정해 통지합니다.



92개 공시집단에 소속된 총 회사 수는 3301개로 지난해 보다 17개 줄어들었는데 공시집단 중 자산총액이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0.5% 이상(11조6000억원)인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상출집단)은 46개로 작년보다 2개 줄었고 상출집단은 ‘상위 대기업’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자산 상위 10대 그룹은 ▲삼성 ▲SK ▲현대자동차 ▲LG ▲롯데 ▲포스코 ▲한화 ▲HD현대 ▲농협 ▲GS 순으로 집계됐는데 삼성은 자산 589조 원으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고 SK(363조 원), 현대자동차(307조 원), LG(186조 원)가 뒤를 이으며 4대 그룹을 형성했습니다

 

10대그룹 내에서 변동은 크지 않았지만 10대 이하 그룹들은 큰 지각변동을 보여주고 있는데 쿠팡과 네이버 카카오 같은 신기술기업들의 약진이 눈에 띄는데 효성그룹이 30위권 밖으로 밀려나는 모습은 아직은 우리 재계에 역동성이 살아 있다는 증거인 것 같습니다

 

항공사 인수합병(M&A)과 관련된 기업 순위가 크게 변하고 있는데 금호아시아나는 지난해 자산 총액 17조 3900억 원으로 상출집단으로 분류됐지만 2월 아시아나항공을 한진에 넘기면서 공시집단 목록에서 배제된 반면 티웨이항공을 인수 중인 소노인터내셔널은 기업 순위가 86위에서 64위로 대폭 상승했습니다.

 

방산 업계의 대표 주자인 한화의 경우 순위는 7위로 지난해와 같았지만 자산 총액은 112조 4600억 원에서 125조 7400억 원으로 크게 상승했고 한국항공우주산업의 자산도 9000억 원 가까이 늘었으며 LIG는 자산 총액 7조 1100억 원(69위)을 기록하며 공시집단으로 진입했습니다.

 

공시집단 기업은 공정거래법에 따라 대규모 내부거래 의결 등에 대한 공시 의무와 부당한 이익 제공 금지 의무 등이 적용되는데 상출집단은 이에 더해 상호출자·순환출자·채무보증 금지 등의 규제가 추가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250502(조간) 2025년도 공시대상기업집단 등 지정결과 발표.pdf
0.43MB
(별첨2)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 현황_(최종).xlsx
0.02MB
(별첨3)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재무 현황_(최종).xlsx
0.02MB
(별첨4)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경영 성과_(최종).xlsx
0.02MB
(별첨5)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계열회사 현황_(최종).xlsx
0.18MB
(별첨6)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계열회사 변동 내역_(최종).xlsx
0.04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H3QiMSdsbZ4?si=DA6U-i5XprNjWIk7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CJ그룹 드림웍스 투자

안녕하세요

CJ는 1995년 4월 28일 스티븐 스필버그, 제프리 카첸버그, 데이비드 게펜이 미국 할리우드에 설립한 드림웍스에 투자하며 문화 사업에 첫발을 내디뎠으며 같은 해 5월 1일 영상 산업 진출을 공식 선언했고 이후 30년간 영화, 음악, 방송, 공연,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보적인 콘텐츠와 IP를 선보이며 한국 문화 콘텐츠의 산업화와 글로벌화를 선도해왔습니다

 

CJ ENM의 지난 몇년간의 실적은 부진의 연속으로 투자자들을 걱정시킬 정도인데 지난 해 실적도 대규모적자를 기록하며 역성장을 우려하게 만들고 있었습니다

 

CJ ENM이 지난해 연결기준 잠정 매출 5조2314억원, 영업이익 1045억원을 기록했고 매출이 전년 대비 19.8% 증가하면서 흑자전환을 달성해 그나마 조금씩 나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미디어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8.8% 증가한 1조3732억원으로. 그중 티빙의 매출은 4353억원을 기록, 전년보다 33.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고 영화드라마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56.1% 증가한 1조7047억원, 음악 부문 매출은 전년보다 3.8% 증가한 702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커머스 부문 매출은 1조4514억원, 영업이익은 832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8.5%, 20.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CJ ENM은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이 전년보다 96% 늘었고, 지난해 10월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 CJ온스타일 론칭 이래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2025년은 CJ ENM의 실적개선 기대감이 큰 시기이지만 1분기까지는 윤석열 탄핵정국으로 실적부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데 투자자 모두가 예상하는 실적부진은 말 그대로 실적바닥에 대한 기대감도 키워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CJ ENM의 주력사업인 영화와 드라마의 하반기 개봉과 방영이 집중될 것으로 보여 하반기로 갈수록 실적호전 기대감이 숫자로 확인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CJ ENM 부진의 주요 원인이었던 영화 부문 수장도 교체하여 심기일전하고 있는 상황이고 드라마제작사인 계열사 스튜디오드래곤도 일본 드라마 제작사업까지 사업영역을 확장하여 글로벌 사업확장으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

 

Kpop 인기가 이어지고 있어 음악분야 매출도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여 CJ ENM 실적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CJ ENM 20250116_대신증권.pdf
0.51MB
CJ ENM 20250213_하나증권.pdf
0.69MB
CJ ENM 20250416_유진투자증권.pdf
0.81MB
CJ_ENM_2024_4Q_Kor.pdf
1.87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