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증권가는 12일 기준금리를 동결한 한국은행이 다음 달에는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습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이날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현재 연 0.75%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했는데 앞서 한은은 지난 8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했고 연내 한번 더 금리인상을 예고한 상황입니다

 

이번 금통위에서 임지원·서영경 위원이 금리 인상 소수 의견을 냈고 또 이주열 총재는 "다음 회의(11월)에서 금리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기자간담회에서 밝혔습니다.

 

김성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총재의 '추가 인상 검토' 발언으로 11월 금리 인상은 확실시된 상황"이라며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긍정적 톤이 유지되면서 물가 전망에 대한 눈높이도 높아졌다"며 설명했습니다.

 

신얼 SK증권 연구원도 "정책 효과를 확인해야 했기에 이번 기준금리 동결은 불가피했다"며 "예상에 부합한 경기 흐름이 지속될 시 11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기에 금리 인상은 확실시된다"고 평가했고 이어 "금리 인상 소수 의견을 낸 2인에 대한 확인과 더불어 통화 정책 완화 정도에 관한 문구를 '점진적'에서 '적절히'로 변경하면서 상황에 맞춰 통화정책을 조정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오는 11월에 이어 내년 1월에도 한은이 추가로 금리 인상을 단행할 수 있다는 예상이 힘을 받고 있는데 이주열 한은총재가 임기 끝날 때까지 금리인상을 계속 올려 코로나 시기 이전의 연 1.5%에 근접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물가 상승에 대한 경계감, 가계부채 증가 우려 등에 따라 기존 11월 추가 금리 인상 전망을 유지한다"며 "소수 의견 등 매파(통화 긴축·금리 인상 지지) 시각을 고려하면 내년 1월에도 추가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김상훈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연내 기준금리가 연 1.0%에서 마무리되더라도 4분기 중 추가 인상은 이미 기정사실이 됐기에 11월 인상은 시장에 별다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내년 인상 시기와 속도가 중요해졌다"고 진단했습니다.

 

그러면서 "8월에 5월 전망치 대비 하향 조정한 민간소비가 11월에 상향 조정되면 한은이 바라보는 내년도 성장세가 추가 인상을 뒷받침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해석할 수 있다"며 "이 경우 내년 1월 중 추가 인상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는데 다만 내년 금리 인상 횟수를 두고는 시각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한화투자증권은 한은이 오는 11월과 내년 1월뿐 아니라 내년 4분기에도 금리를 올려 내년 연말 기준금리가 1.50%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성수 연구원은 "총재의 '임기 만료 전 경기, 물가 흐름 고려해 인상 고려', '추정 중립 금리보다 현재 금리는 낮은 수준' 발언 등을 감안 시 내년 기준금리 인상도 한 번에 그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되고 있습니다.

 

반면 NH투자증권경기가 정점을 찍고 하강하는 이른바 '피크 아웃' 우려를 반영해 내년 연말 기준금리 1.25% 전망을 유지했습니다.

 

강승원 연구원은 "내년 연말 기준금리 1.50% 우려가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려워 보인다"면서도, "한은은 금리 인상 조건으로 양호한 경기 회복세를 제시했다"며 "연말로 갈수록 국내 경기 모멘텀 '피크 아웃'이 분명해지고 내년 성장에 대한 부담이 부각될 전망"이라고 지적했습니다.

 

OECD국가 중에 제일 먼저 금리인상에 나서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인데 미국이 금리인상에 대해 유보적인 상황에서 테이퍼링 갖고도 시간을 끌고 있는데 왜 우리나라만 금리인상에 나서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이주열 한은총재가 무슨 생각으로 금리인상에 나서는 것인지 알 수가 없네요

 

혹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부동산 시장을 잡기 위해 통화정책을 바꾼다는 것이 금리인상이 국민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그렇게 단순하지 않는 정책이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