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11ZXpnEcugk?si=AA5G-LKBKYLyw15k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윤석열 정부가 과학을 중요시하면서도 국가R&D 관련 3조원이 넘는 연구개발비를 삭감하면서 과학계의 반발과 비난에 직면해 있는데 그나마 반도체 분야는 미국이 관심을 많이 갖고 있는 분야라 R&D에 대한 정부 출연금을 유지할 것 같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28일 경기 성남 경기기업성장센터에서 글로벌 스타팹리스 출범식을 개최했는데 글로벌 스타팹리스 프로젝트는 국내 반도체 설계 전문기업을 글로벌 상위권 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마련된 장기 프로젝트로 산업부는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스타팹리스 회사 20곳을 선정 지원하게 됩니다
글로벌 스타팹리스엔 ▲픽셀플러스 ▲어보브반도체 ▲쓰리에이로직스 ▲포인투테크놀러지 ▲하이딥 ▲에이디테크놀로지 ▲칩스앤미디어 ▲제주반도체 ▲파두 ▲동운아나텍 등 10개 기업이 뽑혔습니다.
라이징 스타팹리스엔 ▲모빌린트 ▲수퍼게이트 ▲사피엔반도체 ▲오픈엣지테크놀러지 ▲퀄리타스반도체 ▲이엠코어텍 ▲테크위드유 ▲파워엘에스아이 ▲솔리드뷰 ▲해치텍 등 10곳이 선정됐습니다.
지난 2000년 설립된 픽셀플러스는 CMOS(상보형 금속 산화막 반도체) 이미지센서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반도체 설계 전문회사로 CMOS 이미지 센서 웨이퍼 및 패키지 공정을 위탁 제조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서규 픽셀플러스 CEO는 한국팹리스산업협회 회장도 맡고 있는데 윤석열 정부의 메모리반도체 초미세공정을 기반으로 파운드리 산업을 키우려는 계획에 대해 비판적인 견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서규 회장은 “팹리스를 키워 파운드리 수요를 만들어야 용인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도 조기 안착할 수 있다”고 주장했는데 그는 “세계 최대 파운드리 거점을 만들더라도 미국 등의 팹리스 업체가 이곳에 위탁 생산을 맡기지 않으면 문제가 될 것”이라며 “미국은 세계 최대 파운드리업체인 대만 TSMC를 끌어들여 자국 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고 강조했고 그는 또 “정부가 국비 지원 연구과제를 주는 국소·단편적인 현 방식에서 벗어나, 정부 차원의 대규모 선제 투자로 팹리스가 더 쉽게 반도체 칩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이 말은 윤석열 정부가 지난 3월 국가첨단산업육성전략을 발표하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중심으로 경기도 용인시에 300조원 이상을 투입해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한 것에 대해 대기업 중심의 반도체 정책은 한계를 갖고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글로벌 스타팹리스 선정은 이서규 픽셀플러스 CEO겸 한국팹리스산업협회 회장의 구상을 일부 받아들여 만든 지원정책으로 팹리스 육성에 정부 주도의 선정기업에 집중 투자하겠다는 것입니다
픽셀플러스는 글로벌 스타팹리스 선정으로 정부 지원금을 집중 지원받게 되어 실적부진에도 당장 망할 일이 없게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주행 관련주 현대차 3단계 자율주행차 상용화 기대감에 동반 강세 (0) | 2023.08.30 |
---|---|
122년 역사 북미최대 철강사 "US 스틸" 인수전 본격화 (0) | 2023.08.30 |
교육주 교육부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 발표 (0) | 2023.08.29 |
한국정보인증 양자암호기술 개발 수혜주 (0) | 2023.08.29 |
EG 협력업체 포스코퓨처엠 2030년 실적목표 수혜 기대감 (2) | 2023.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