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동차·가전 등의 소재로 쓰이는 기초철강재인 열연강판값이 치솟고 있습니다.
올해 들어 가파른 상승 곡선을 타더니 이번 달 들어 유통가격이 t당 100만원을 돌파했습니다.
11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열연 제품 유통가격은 지난 2일 t당 102만원까지 상승했고 현대제철 제품도 99만원까지 올라 100만원 돌파를 눈앞에 뒀는데 열연강판이 100만원대 거래된 것은 2008년 이후 처음입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주요 철강사들도 열연강판 가격을 잇달아 인상하면서 수입 유통가격 역시 t당 100만원을 찍었습니다.
열연강판은 쇳물을 가공해 나온 평평한 판재 모양의 철강 반제품인 슬래브를 고온으로 가열한 뒤 누르고 늘여서 얇게 만든 강판인데 강관재와 건축자재 등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가장 기본적인 철강 제품입니다.
열연 강판값은 작년 12월 70만원대에서 80만원대로 오르더니, 올해 1분기에는 90만원대로 뛰었습니다.
이러한 철강재 가격 강세는 수급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됩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급격한 생산 위축으로 재고 수준이 낮아진데다, 주요국의 인프라 투자 확대에 힘입은 견조한 수요 증가세, 세계 1위 철강 생산국인 중국의 환경정책 강화에 따른 생산량 감축 등이 철강재 가격 강세를 받쳐주고 있습니다.
세계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철강 수요는 작년 대비 4.1%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는데 미국도 총 2조4천억달러에 이르는 대규모 인프라 투자계획을 발표한 상태입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가격 상승의 가장 큰 요인은 공급부족으로, 철강산업 특성상 수요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워 단기간 내 상황이 개선될 가능성은 작다"며 "상반기 내내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인한 시장의 피로감이 커진데다 부족했던 재고가 채워지고 있어, 최근의 가파른 가격 상승세가 하반기에도 이어질 가능성은 작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국내 철강사들은 철강재 가격 인상에 힘입어 상반기에 좋은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데 증권업계는 포스코의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019년 3분기 이후 처음으로 1조원대를 달성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지금의 철강가격 상승세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각국 정부의 경기부양책으로 SoC투자를 서두르고 있어 수요가 급증한 것이 원인이 되고 있고 중국이 환경개선을 위해 탄소배출을 줄이려는 목적으로 철강사의 영업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측면에서 수요를 못 따라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국산 저질 싸구려 철강제가 국제시장에서 자취를 감추자 우리나라 철강제가 제 값을 받기 시작한 것인데 마침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정책도 철회되면서 국산 철강제 가격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습니다
여기다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에 토건족이 새로 들어서면서 국내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철강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철강사들의 상반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철강주
POSCO
동국제강
현대제철
KG동부제철
KG동부제철우
한국철강
휴스틸
세아베스틸
세아제강
세아제강지주
제일제강
문배철강
삼현철강
영흥철강
하이스틸
한일철강
포스코강판
부국철강
DSR
DSR제강
NI스틸
대호에이엘
동양철관
서원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카오 액면분할 앞두고 사상 최고가 기록 추가 상승 기대감 (0) | 2021.04.11 |
---|---|
가온미디어 9회차 전환사채(CB) 전액 행사 나우IB 상당한 시세차익 기대감에 상한가 (0) | 2021.04.11 |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소송 전격합의 (0) | 2021.04.11 |
중국정부 알리바바에 반독점법 사상 최대 규모 3조원대 과징금 부과 (0) | 2021.04.10 |
마이크로소프트 주가 사상 최고치 경신 시가총액 2조 달러 육박 (0) | 2021.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