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 20일 KBS 일요진단 라이브에 출연한 정세균 국무총리의 백신 관련 발언을 두고 상당수 언론과 국민들이 “확진자 적어 백신 생각 못했다”고 해석한 가운데 정 총리 측이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당시 백신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진 국가들이 먼저 사용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도입하자는 의견이 많았다는 취지의 발언이었다는 주장입니다.

국무총리실은 21일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해 “정 총리는 인터뷰 프로그램에서 ‘확진자 적어 백신 생각 못했다’ ‘7월에 TF(태스크포스) 꾸렸지만 국내 방역 믿고 등한시했다’라는 내용 또는 취지의 답변을 전혀 한 바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총리실은 “정부는 글로벌 제약회사들의 백신 개발 성공 여부가 불확실했던 지난 7월부터 믿을 수 있는 백신을 신속히 확보하기 위해 다수의 회사들과 선구매 협상을 추진해 왔다”며 “이를 위해 관계부처·민간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백신도입TF’를 6월29일 부터 구성해 현재까지 17회 회의를 개최하는 등 범정부 협력체계를 가동해 왔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정 총리가 방송 인터뷰에서 ‘백신 TF가 가동될 때는 확진자 숫자가 100명 이런 정도였다’ ‘그러니까 백신에 대한 의존도를 그렇게 높일 생각을 하지 않았던 측면이 하나 있습니다’라고 답변한 부분은 ‘여러 전문가들도 그 당시에는 코로나19 백신이 급하게 만들어졌기 때문에 방역으로는 어떻게 할 도리가 없는, 즉, 백신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진 국가들에서 사용하는 것을 지켜보면서 도입하자는 의견이 많이 존재했다’는 맥락으로 설명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총리실은 “정부는 코로나19 초기부터 철저한 3T 방역(진단(Test)-추적(Trace)-치료(Treat)) 시스템을 구축해 확진자 발생을 억제하는 가운데, 국내 치료제 및 백신개발을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고 계속 해오고 있다”며 “다만 국내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해외에서 충분히 검증된 치료제·백신을 도입해서 사용하고자 했고 이러한 전략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백신을 제 때에 도입’하기로 해왔던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정 총리는 이날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코로나19 위기 상황이 계속되면서 허위조작정보가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며 “이러한 유포행위는 불신과 혼란을 조장하고 공동체의 방역역량을 저해하는 사회악에 해당한다”고 경고했고 이어 “정부는 허위조작정보 생산 및 유포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으로 법에 따라 엄정 대응하겠다”며 방송통신위원회와 경찰청 등에 “위법행위를 끝까지 추적해 엄벌하고 그 결과를 중대본에 보고해 주길 바란다”고 지시했습니다

기레기들의 자극적인 기사제목 장사가 낳은 참사로 의도적으로 발언을 왜곡보도한 것으로 관련 국무총리실의 해명이 있고 나서 은근슬쩍 온라인상 올라갔던 가짜뉴스들과 포탈 상위에 노출된 가짜뉴스들이 사라진 것은 시사하는 바가 커 보입니다

일단 이런 가짜뉴스가 퍼지고 나면 이를 실제 사실이라고 믿는 제목만 읽는 사람들의 입을 통해 퍼져나가게 되는데 결국은 아무리 사실이 아니라고 설명해도 가짜뉴스와 왜곡보도가 진실인양 통용되고 마는 것입니다

이런 가짜뉴스와 왜곡보도는 현 정부의 조기 레임덕을 가져와 검찰개혁과 재벌개혁 같은 적폐청산을 막아 기득권을 지키려는 세력의 조직적인 방해공작의 일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개혁의 수익을 일반 국민들이 가져가는 것이지만 기존 기득권이라는 재벌오너일가들이 광고주로 있기 때문에 언론사들은 광고주의 이익을 위해 가짜뉴스와 왜곡보도를 일삼고 있는 것입니다

이런 쏟아지는 정보를 이용하는 소비자 스스로가 가짜뉴스와 왜곡보도를 걸러서 이해하는 통찰력을 키워야 속지 않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