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j7t7nriS1w

안녕하세요

국토교통부는 세계 3번째로 부분자율 승용차(Lv3)를 올해 상용화하고 오는 2025년 완전자율주행 버스·셔틀 출시 및 2027년 구역 운행서비스 상용화 내용을 담은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20일 발표했습니다.

 

자율주행 상용서비스 개시는 소비여력이 많은 노인층의 소비를 촉진하고 교통사고율을 줄이고 기존 내연기관차들을 조기에 퇴출시키는 친환경 사업의 일환이기도 합니다

 

이번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오는 2027년 세계 최고 수준의 완전자율주행(Lv4) 상용화를 구현한다는 계획으로 2024년까지 여객 운송 제도 개편방안을 선제적으로 마련합니다.

이번에 국토교통부에서 내놓은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은 자율주행차부터 자율주행로봇까지 자율주행에 관한 기술적 상업적 로드맵을 총 망라한 것으로 정부 정책적 지원과 현대차와 기아 같은 대기업의 투자로 성장의 날개를 달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자율주행차는 전기차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 내연기관차의 조기 퇴출을 자극할 것으로 보이는데 자율주행차들 사이에 인간이 운전하는 내연기관차는 언제 사고를 낼지 모르는 위험한 존재가 되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율주행차는 전기차가 기본이기 때문에 내연기관차와 비교해 친환경 차량이라 할 수 있고 2050탄소중립 정책에 부합하는 이동수단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국토교통부가 내놓은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에 두번째 항목으로 오는 2025년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 최초 상용화를 시작하기로 한 것은 현대차그룹을 염두에 둔 것으로 시장선점 효과를 노리는 현대차가 의욕적으로 투자를 서두르고 있는 분야입니다

 

UAM분야는 기술적인 문제 뿐 아니라 SoC분야 법률과 교통체계까지 다 새로 만들어야 할 만큼 혁신적인 분야라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앞선 분야가 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UAM은 교통체증이 없는 항공 모빌리티를 활성화시켜 부유층의 이동의 자유를 확장한 것으로 지금은 헬기를 통해 극소수만 즐기는 것을 상류층 전반으로 확대하려는 움직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여기다 드론로봇을 이용한 스마트물류는 물류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춰 기업 수익성을 높여줄뿐 아니라 개인소비의 속도를 가속화할 수 있는 요인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 사업관련 법개정에서 얼마나 빠르게 진행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시장 선점의 척도가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자율주행 관련주

현대오토에버

에이테크솔루션

아이쓰리시스템

모바일어플라이언스

칩스앤미디어

앤씨앤

넥스트칩

팅크웨어

라닉스

오비고

나인테크

모트렉스

텔레칩스

엠씨넥스

한컴MDS

유니퀘스트

유니트론텍

남성

인포뱅크

한온시스템

코리아에프티

에이치엔티

만도

삼보모터스

씨아이에스

덕양산업

캠시스

대성엘텍

THE MIDONG

대동

대동기어

 

220920(조간)_모빌리티_혁신_로드맵_발표(교통정책총괄과).pdf
0.95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