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국민연금과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큰손' 우정사업본부가 카카오뱅크 보유 지분의 90%를 매각하기로 했습니다.

 

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우정사업본부는 이날 장 마감 직후 카카오뱅크 보유 주식을 블록딜(시간 외 대량매매)로 매각하는 수요예측에 돌입했습니다.

 

블록딜이란 대량의 주식을 매각하는 행위로 특정 회사 지분을 많이 보유한 기업은 장 중에 주가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장이 마감된 뒤 투자자를 찾아 할인된 가격으로 매각하고 있습니다.

 

이번 거래 대상은 우정사업본부가 보유한 카카오뱅크 지분의 89.8%에 해당하는 1368만383주(지분율 2.9%)며, 할인율은 종가 대비 9.9~13.9%가 적용됐고 이날 카카오뱅크의 종가 8만8800원을 감안하면 최대 1조원에 달하는 규모입니니다.

 

우정사업본부가 주당 최대 8만원 선에서 처분하길 희망하고 있고 씨티그룹글로벌마켓증권이 이번 블록딜 실무를 맡았습니다.

 

우정사업본부의 상장 직후 카카오뱅크 지분율은 약 3.2%로 카카오뱅크 주식을 1523만9183주 보유하고 있는데 블록딜이 성사되면 보유 주식 수는 155만8800주로 크게 줄어드는데 블록딜로 카카오뱅크 지분을 대부분 정리하게 되는 것입니다.

 

자산운용업계에선 우정사업본부가 카카오뱅크 지분을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고 있는데 이날 카카오뱅크의 종가(8만8800원)는 공모가(3만9000원)보다 두 배 이상 높았는데 상장 이후 외국인들이 순매수 포지션을 이어오며 주가를 끌어올려 왔기 때문입니다.

 

때마침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카카오뱅크에 대한 투자 의견을 '중립(Neutral)'으로 제시했는데 주가가 회사의 성장성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어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보고서를 작성한 박신영 골드만삭스 연구원은 "카카오뱅크가 빠르게 금융 업계의 주류로 들어와 대출 상품을 확장시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며 "2020~2025년 카카오뱅크의 주당순이익(EPS) 연평균 성장률을 74%로 전망하지만, 현재 밸류에이션은 이런 낙관적인 전망을 대부분 반영하고 있다"고 전했는데 현재 주가 수준에선 카카오뱅크에 투자할 만한 매력이 높지 않다는 맥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애널리스트들 사이에선 카카오뱅크에 대해 엇갈리는 전망이 나오는데 앞선 보고서에서 골드만삭스는 카카오뱅크 목표주가로 9만4000원을 제시했는데 신한금융투자(10만1000원)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SK증권(6만4000원), 교보증권(4만5000원)과는 편차가 큰데 SK증권과 교보증권의 목표주가는 현 주가(8만8800원)를 크게 밑돌고 있습니다.

 

양극단의 전망이 나오는 것은 시각 차이 때문인데 규제 산업인 '은행'으로 볼 때 성장성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의견과 '플랫폼 기업'으로 본다면 성장성이 높다는 의견이 팽팽히 대립 중인 상황인데 가장 높은 목표주가를 제시한 김수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집중 공략한 고신용 대출 시장 점유율은 잔액 기준 6.7%로 개인 대출 신규 기준 점유율이 13%에 달한다"며 "높은 대출 자산 성장과 낮은 비용에 따라 손익 분기점 돌파 시점도 빨라졌다"고 말했고 그는 또 "중국 핀테크에 대한 견제와 규제가 심해지고 있어 카카오뱅크의 투자 매력도는 높아질 것"이란 말도 덧붙였습니다.

 

골드만삭스처럼 국내에서 신중론을 펼치는 애널리스트도 있는데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카카오뱅크의 월간활성자수(MAU) 1인당 가치는 401만원으로 글로벌 금융 플랫폼 기업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라며 "현재 주가는 이미 시장의 기대를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는데 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 평가받는 스퀘어와 로빈후드, 페이팔의 MAU 1인당 가치는 각각 340만원, 224만원, 98만원 수준입니다.

 

한국은행이 금리인상에 나선 이상 카카오뱅크의 주요 고객인 중신용 고객들의 부실위험이 높아질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우정사업본부의 보유지분이 크기 때문에 블록딜로 매각할 수 밖에 없는데 외국인투자자들의 매수로 주가가 급등하고 한국은행의 금리인상을 신호로 상투부근에서 차익실현에 나서기로 한 것 같습니다

 

수요예측에서 할인율이 얼마나 적용될지 모르겠지만 현재 PER가 200대가 나와야 주가를 합리화해 줄 수 있기 때문에 주가에 대해 부담스런 시간을 가진 골드만삭스의 입장이 이해가 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