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한국이 중국을 제치고 지난해 글로벌 선박 수주 1위를 차지했습니다.
12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 1천924만CGT(738척) 중 819만CGT(187척)를 수주하며 세계 1위를 차지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수주 점유율은 43%로, 중국이 793만CGT(353척·41%)로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지난해 12월 전세계에서 총 392만CGT(86척)가 발주된 가운데 한국은 285만CGT(42척)를 차지하며 73%의 점유율을 기록했고 이어 중국(101만CGT·39척), 크로아티아(3만CGT·1척) 순이었습니다.
한국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주력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등을 본격적으로 수주했고, 11~12월 두 달간 전체 수주량의 절반 이상인 411만CGT 규모의 건조계약을 체결하며 중국을 역전했고 또 지난해 발주된 대형 LNG운반선 49척 중 36척(73%), VLCC 41척 중 35척(85%), 수에즈막스(S-Max)급 원유운반선 28척 중 18척(64%)을 수주하며 주력 선종에서 높은 경쟁력을 보였습니다.
지난해 전 세계 누계 발주량은 1천924만CGT로 전년 2천910만CGT의 66% 수준으로 감소했지만, 한국의 점유율인 43%는 10년래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습니다.
지난해 12월 기준 수주잔량도 연말 수주량 증가에 힘입어 전월 대비 3% 증가했습니다.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도 지난달 대비 1포인트 반등한 126포인트를 기록했고 연초 130포인트와 비교하면 소폭(4포인트) 하락한 수치입니다.
선종별 선가를 연초와 연말로 비교하면 VLCC(9천200만 달러→8천500만 달러), 컨테이너선(1억900만 달러→1억200만 달러) 등은 소폭 하락했지만, LNG선은 1억8천600만 달러로 동일했습니다.
우리나라가 고부가가치선 발주를 싹쓸이한 것은 중국조선사들의 기술부족이 주요원인으로 이미 선주들이 중국조선사의 부실조선으로 큰 손해를 경험해 봤기 때문에 일반 컨테이너선은 기술력이 없어도 만들 수 있는 중국에서 저렴하게 만들고 기술력이 필요한 고부가가치선박은 우리나라 조선사들에 비싼 돈을 주고 발주하고 있는 것입니다
중국과 우리나라의 조선 기술력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당분간 이런 기술력 차이에 따른 시장점유율 차이는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마트 가양점 매각 본격화 매각주관사 CBRE코리아 선정 (0) | 2021.01.12 |
---|---|
롯데케미칼 올해 중국 의류 소비 개선세에 따른 수혜 기대감 (0) | 2021.01.12 |
셀트리온 코로나19치료제 '렉키로나주' 식품의약품안전처 심사 가속도 (0) | 2021.01.12 |
씨젠 소액 주주들 회사 상대 임시주주총회 소집 요구 (0) | 2021.01.12 |
LG전자 세계 최초 롤러블폰 ‘LG 롤러블(LG Rollable)’ 2021에서 공개 (0) | 202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