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현대차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영국 최대 자동차 축제인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N 브랜드 최초의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 5 N'을 공개했습니다.
2013년 현대모터스포츠법인 출범 이후 각종 모터스포츠 대회에서 축적한 고성능 기술력과 E-GMP 기반 전용 전기차를 통해 발전시킨 전동화 기술이 더해져 강력한 주행성능을 갖춘 고성능 전기차가 탄생했습니다
고성능 브랜드 N은 정의선 회장의 도전정신이 탄생시킨 집념의 브랜드로 싸고 좋은차라는 이미지의 현대차에 고성능이라는 갖기 어려운 수식어를 부여할 수 있는 서브 브랜드로 런칭한 것으로 각 브랜드에 성능을 높여 N브랜드로 런칭하고 있습니다
현대차는 2012년 파리모터쇼에서 세계 최정상급 모터스포츠 대회인 WRC(월드랠리챔피언십) 도전을 발표했고 이후 2013년 독일 알체나우에 현대모터스포츠법인을 설립하고 고성능차 개발을 통해 확보한 기술을 향후 양산차에 접목해 글로벌 시장에서 확고한 기술 리더십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실제 정의선 회장은 2018년 CES 현장에서 "마차를 끄는 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전쟁에서 싸우거나 잘 달리는 경주마도 필요하다. 고성능차에서 획득한 기술을 일반차에 접목할 때 시너지 효과가 크기 때문에 현대차에 꼭 필요한 영역"이라며 고성능 기술력 개발 의지를 강조한 바 있습니다.
정 회장의 진두지휘 아래 현대차는 WRC를 비롯해 TCR 월드 투어(전 WTCR), 뉘르부르크링 24시 내구레이스 등 수많은 모터스포츠 대회에서 차량의 성능을 갈고 닦았는데 ▲2017년 N의 첫 번째 판매용 경주차 i30 N TCR ▲2019년 벨로스터 N TCR ▲2020년 아반떼 N TCR 등 뛰어난 상품성을 갖춘 서킷 경주차를 지속 선보였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2017년 N 브랜드의 첫 모델 i30 N을 출시한 이후에도 ▲2018년 벨로스터 N, i30 패스트백 N ▲2021년 아반떼 N, 코나 N 등 다양한 N 모델 출시로 이어졌습니다
이번에 전기차 아이오닉5도 N 브랜드로 재탄생하고 있어 기존 내연기관차에서 개발된 고성능 부품들을 전기차에도 반영하면서 관련 부품사들의 납품 가격도 올라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아진산업은 현대차와 기아의 1차 밴더로 차체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 업체로 전기차 전장 부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전기차에 들어가는 부품 EWP(Electronic Water Pump), CCH(Climate Control Head), 공조장치와 전압제어기, 조향장치, 차량용 블랙박스, 어라운드 뷰(AVM) 등 자동차 IT 부품 등을 생산 중에 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공장에도 동반 진출하여 자동차 부품을 납품하고 있어 이번 현대차와 기아의 미국 전기차공장 건설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최근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때문에 미국 조지아의 현대차 전기차 전용공장의 완공을 2024년 상반기로 앞당기고 있어 2024년 하반기부터 미국 조지아 공장에서 전기차 양산에 나설 것으로 보여 아진산업 미국법인들도 이에 대한 투자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현대차 아이오닉5N의 런칭은 전기차에도 프리미엄급 전기차가 탄생할 가능성을 키워주고 있어 관련부품업체의 실적호전을 기대케 하고 있습니다
아진산업의 1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12,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2분기 실적이 둔화되지 않았다면 실적의 주가 반영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아진산업은 현대차의 실적에 연동되는 측면이 있어 현대차와 기아의 실적을 주의깊게 살펴보셔야 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경케미칼과 에스와이 준불연우래탄 소재 개발 성공 (0) | 2023.07.17 |
---|---|
퍼스텍 윤석열 우크라이나 전격방문 지뢰제거 지원 소식에 관심고조 (0) | 2023.07.17 |
현대오토에버 현대차 미국 조지아 전기차 공장 조기 완공 수혜주 (0) | 2023.07.16 |
아시아나항공 임단협 결렬 조종사 노조 쟁의에 베트남 호찌민 노선 결항 (0) | 2023.07.16 |
윤석열 김건희 우크라이나 전격 방문 살상무기 공급 명분 쌓기(?) 한러관계 파탄 우려 (0)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