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러시아를 향한 서방의 제재 수위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는 이에 맞서 디폴트(채무불이행) 위기를 피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7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미국 재무부는 지난 4일 만기가 돌아온 러시아의 달러 표시 국채 이자 지급을 불허했는데 미 재무부는 러시아 정부 거래 은행 JP모건을 통한 결제 승인을 거절, 미국 금융권에서 러시아 정부 계좌에서 이뤄지는 달러 부채에 대한 상환을 허용하지 않겠다며 압박했습니다.
이에 러시아는 미국의 제재로 결제가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해당 자금을 루블화로 국립결제원 특별 은행 계좌에 송금했다고 밝혔는데 그러면서 러시아는 국채 상환 의무를 완전히 이행했다고 강조했습니다.
WSJ는 "규정상 허용되지 않지만 채권 보유자들을 빈손으로 두지 않겠다는 러시아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밝혔는데 WSJ는 특별 은행 계좌에 투자자들이 이론상으로는 접근할 수 있지만, 이를 위해선 러시아 중앙 은행이나 재무부 승인이 필요하며 보장되지 않는다고 전했습니다.
러시아는 지난 1998년 루블화 국채의 모라토리엄(지불 유예)을 선언한 이후 몇년 간의 고통스러운 경제 개혁을 겪어야 했고 또 러시아가 이번에 디폴트 사태를 맞으면 1917년 볼셰비키 혁명 이후 최초의 외화 디폴트가 됩니다.
블루베이 애셋매니지먼트의 이머징마켓 전략가 티모시 애쉬는 "러시아는 디폴트를 원하지 않는 것을 증명했다"며 "장기적으로 매우 해로운 일"이라고 주장했는데 러시아에는 지난 4일부터 시작된 30일간의 유예기간이 주어지는데 국제평가사들은 러시아가 달러로 지급하지 못하면 기술적으로 디폴트를 맞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후 투자자들은 채권이 관리되는 영국 법원에서 돈을 되찾으려고 할 것이고 이 과정은 몇 년이 걸릴 수 있다고 WSJ는 예상했습니다.
WSJ는 러시아가 전반적으로 러시아 경제 규모의 약 25%에 해당하는 관리 가능한 수준의 외채를 안고 전쟁에 뛰어들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이때는 러시아가 외환보유고에 접근할 수 있었는데 이전 디폴트와 달리 러시아는 6000억달러가 넘는 외환보유고를 갖고 있으며 제재 정책에 명시된 예외로 매주 석유 및 가스 판매로 수십억달러를 벌어들여 돈은 많지만, 서방의 제재로 인해 쓸 수 없는 상황입니다.
다만 이미 러시아가 제재로 인해 국제 시장에서 단절돼 공식적인 디폴트가 러시아 경제에 제한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WSJ는 예상했습니다.
러시아는 서방의 제재로 돈이 있으면서 디폴트를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인데 일단 채권단은 러시아가 고의 디폴트를 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확인했기 때문에 채권에 대해 돈을 떼일 가능성은 낮아 보입니다
러시아의 디폴트는 에너지 시장에서 러시아의 퇴출을 가져올 수 있어 러시아에 큰 부담이 될 것 같습니다
국제유가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 같은데 러시아의 석유와 천연가스가 상당기간 국제시장에서 퇴출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러시아 기업들의 디폴트가 먼저 나오고 있는데 결국 러시아 기업들이 국제시장에서 퇴출되기 때문에 러시아의 고통은 더 길게 이어질 것이라는 예상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인수위 부동산 규제해소 부동산투기꾼들 큰 장 섰다 가계부채 시한폭탄 초읽기 (0) | 2022.04.09 |
---|---|
국제유가 하락과 유류세 인하로 국내 에너지가격 하락 전환 기대감 (0) | 2022.04.09 |
미국증시 낙폭 과대에 따른 저가매수세로 반등세 지속성은 의문 (0) | 2022.04.08 |
에어부산이 괌, 사이판 파격 특가 이벤트 이제 다시 해외여행을 시작할 때 (0) | 2022.04.08 |
한국은행 올해 2월 경상수지 22개월 연속 흑자 행진 공개 (0) | 2022.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