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이 110억달러(약 13조원)를 투입해 장기간 준비해왔지만 몇 차례 발사가 지연됐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이 25일(현지시간) 발사됐습니다.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웹망원경을 실은 아리안5호는 이날 오후 12시20분께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유럽우주국(ESA) 우주발사기지에서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비행이 순항해 웹망원경은 26분간 비행 후 아리안5호에서 분리분리되어 지구 중력에서 벗어난 뒤 한달에 걸쳐 스스로 펴지기 시작해 망원경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됩니다.
이후 29일간 우주를 항해해 태양 주위 궤도에 진입할 예정인데 30년 넘게 우주에서 활동해 온 허블망원경보다 성능이 좋은 첨단 망원경은 약 10년간 먼 우주를 통해 약 138억년 전 빅뱅 직후 우주형성 초기에 일어났던 현상을 관측할 예정입니다.
허블 망원경이 사용했던 가시광선이 아닌 적외선을 통해 태양과 같은 별을 관측하는 제임스웹은 우주공간에서 기존보다 더 먼 공간을 관측할 수 있는데 실제 제임스웹은 최대 1000광년 떨어진 행성의 산소분자를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1광년은 약 9조5000억km 입니다.
장거리 관측이 가능한 이유는 별에서 나오는 빛이 우주가 팽창하면서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서 적외선으로 바뀌어가기 때문인데 제임스웹은 허블(2.4m)보다 지름이 약 3배 큰 6.5m이고 육각형 거울 18개가 벌집형태를 이어 붙인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이날 발사 후 약 30일이 지나면 제임스 웹은 태양과 지구의 원심력이 같은 공간으로 지구로부터 150만km 떨어진 '라그랑주 L2'에서 지구와 나란히 공전하도록 설계됐는데 제임스웹이라는 이름은 1960년대 나사(NASA) 국장의 이름을 딴 것으로 킨 제임스 웹 나사 전 국장은 당시 최초 달 착륙선 아폴로 프로젝트를 이끌었습니다.
허블망원경보다 더 큰 지름에 적외선까지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빅뱅 직후의 우주를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하고 있습니다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부인 김건희씨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입장문 발표 (0) | 2021.12.26 |
---|---|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2021년 대한민국 해외 홍보 영상 '숨어있는 케이-유전자를 찾아라' 해외 누리꾼들 호평 (0) | 2021.12.26 |
농심 사천백짬뽕 출시 4주(11월 25일~12월 22일)만에 500만개 판매 돌파 (0) | 2021.12.25 |
로버트 에이브럼스 전 한미연합사령관 전시작전권 반환 시기상조 발언 주한미군 장성들의 숨겨진 탐욕 (0) | 2021.12.25 |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 80년대에 민주화운동 폄훼 무식해도 정도가 있다 (0) | 202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