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이 상장 이후 닷새 거래일 만에 시가총액 기준 전세계에서 세 번째로 비싼 자동차 기업에 등극했다고 CNN방송 등 외신이 16일(현지 시각) 보도했습니다.

 

2009년 설립 후 공식 매출 실적이 ‘0′인 스타트업이 시총 1400억 달러를 돌파해 유럽 최대 자동차 기업인 폭스바겐의 시장가치를 추월한 것입니다.

 

이날 나스닥시장에서 리비안의 주가는 전날보다 15.16% 급등한 172.01달러에 장을 마쳤는데 시총은 1467억 달러(173조 원)를 기록했고 이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인 미국 테슬라의 시총(1조 달러)과 일본 도요타(3000억 달러)에 이어 3위에 해당하는 수치로 연간 1000만대를 생산하는 폭스바겐의 시장가치는 1390억 달러로 리비안에 ‘톱 3′를 내어주게 됐습니다.

 

리비안이 미 나스닥에 데뷔한 건 지난 10일로 공모가는 78달러였으나 106.75달러로 거래를 시작해 5거래일 연속 주가가 급등하고 있고 이 기업은 지난해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20억 달러 규모의 영업손실을 냈지만, 지난 9월 전기차 픽업트럽 R1T를 선보이면서 수익을 내기 시작했는데 내달 중 스포츠유틸리티(SUV) R1S도 시장에 내놓을 예정입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전기차 열풍 속에 리비안이 폭스바겐 시총을 뛰어넘었다며 “매출 0달러인 미국 최대 기업이 됐다”고 했는데 특히 전기차 산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리비안 주가를 급속도로 끌어올렸다고 분석했고 여기에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의 보유 주식 처분으로 테슬라 주가가 하락하면서 리비안이 반사이익을 얻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리비안이 테슬라 반대 진영의 구심점 역할을 한 것도 큰 호재로 작용했는데 아마존과 포드의 경우 리비안을 ‘테슬라 대항마’로 판단하고 2019년부터 현재까지 105억 달러(약 12조4000억 원)를 투자했고 아마존은 리비안과 배달용 전기차 10만대 공급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CNN은 “10년 전 테슬라 투자 기회를 놓쳤던 사람들은 이제 또 다른 전기차 개척기업인 리비안을 놓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해서 미국 투자자들이 학습효과가 되어 있음을 암시했습니다.

 

리비안이 주력으로 삼고 있는 전기차는 소형트럭으로 미국인 가정에서 흔하게 사용하고 미국인들이 선호하는 차량으로 힘과 파워에서 앞서 있고 오프로드에서도 성능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리비안에 전기차 배터리를 납품하고 있는 삼성SDI로써도 희소식이 될 것 같은데 리비안 전기트럭 R1이 인기를 얻어 많이 팔릴수록 삼성SDI의 전기차배터리도 많이 팔리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리비안전기트록R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