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국내 최대 해운업체인 HMM이 주력 사업인 컨테이너를 넘어 원유 수송 등 벌크 부문 확대에 나섰습니다.
28일 트레이드윈즈 등 외신과 업계에 따르면 HMM은 지난 16일 이사회에서 30만t급 초대형 원유 운반선(VLCC) 3척을 장기 용선하는데 2천433억원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GS칼텍스의 중간 지주사인 GS에너지가 현대삼호중공업에 발주한 VLCC 3척을 인도받으면 HMM이 2022년부터 10년간 이들 선박을 임대해 GS칼텍스의 원유를 중동에서 한국으로 수송한다는 내용입니다.
업계에서는 HMM이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에 힘입어 그동안 소홀했던 벌크 부문 확대에 나섰다고 해석했는데 현재 HMM의 컨테이너와 벌크 부문 매출 비율은 9대1 정도로, 컨테이너 사업 비중이 압도적입니다.
HMM은 컨테이너 박스에 화물을 실어 운반하는 `컨테이너`와 원유, 건화물(철광석·곡물 등)을 수송하는 `벌크`, 터미널 사업을 하는 `기타`로 나눠 실적을 집계합니다.
지난해 3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컨테이너와 벌크, 기타 부문의 매출 비율은 각각 87.25%, 9.58%, 3.17%였는데 지난해부터 벌크선운임지수(BDI·건화물선지수)가 고공행진을 하는 등 벌크 부문도 호황이 전망되자 HMM도 포트폴리오 다양화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꾀하고 있습니다.
HMM 관계자는 "원유 수송 분야는 장기운송계약이라 고정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면서 "올해 중국 등 세계 경제의 회복으로 원유와 함께 철광석 등 건화물도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국내 해운시장이 HMM 독과점형태로 가고 있는데 물동량이 늘었어도 태평양노선의 주도권을 중국선사에 빼앗기고 물류수출에서도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정부도 HMM 성장을 적폭적으로 도와주고 있는 형국입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위축된 물동량이 한꺼번에 회복되고 있는 양상인데 국제유가 회복으로 벌크선 물량도 급증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HMM의 성장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 15%)이상 변경
※ 동 정보는 동사가 작성한 결산자료로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수치가 변경 될 수 있으므로 추후 「감사보고서 제출」공시를 반드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1. 재무제표의 종류 | 연결 | ||||
2.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변동내용(단위:천원) | 당해사업연도 | 직전사업연도 | 증감금액 | 증감비율(%) | |
- 매출액(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수익액에 한함) | 6,413,269,692 | 5,513,088,775 | 900,180,917 | 16.33 | |
- 영업이익 | 980,781,456 | -299,694,776 | 1,280,476,232 | 흑자전환 |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 127,792,125 | -586,716,654 | 714,508,779 | 흑자전환 | |
- 당기순이익 | 123,965,547 | -589,836,586 | 713,802,133 | 흑자전환 |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반도체굴기 대표기업 우한훙신반도체제조(HSMC) 파산 투자금 총 1천280억 위안(약 22조원) 증발 사기 제대로 쳤다 (0) | 2021.02.28 |
---|---|
현대차 아이오닉 5 전기차 최대 시장 유럽에서 하루 만에 사전계약 물량 완판 (0) | 2021.02.28 |
NH투자증권 옵티머스 펀드 가교운용사(배드뱅크) 최대주주 가능성 (0) | 2021.02.28 |
뉴로스 177억원 규모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납입일 오는 4월 8일로 정정 (0) | 2021.02.28 |
GC녹십자랩셀 미국 자회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 1억2000만달러(1350억원) 규모 투자 유치 성공 (0) | 2021.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