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sELpTn9lS8U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 개막식에 초청받아 중국을 방문한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 7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한한령 해제에 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져 10여년 만에 한한령이 진짜로 완화 되거나 해제될 가능성에 엔터주와 게임주, 화장품주와 여행사주와 항공주까지도 관심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한한령은 박근혜 정부 시절 중국 정부와의 약속을 깨고 미국 무기 사드를 전격적으로 배치하면서 중국 정부가 한류 바람을 인위적으로 규제한 조치로 중국인들이 중국 정부 눈치를 보면서 의도적으로 한국 여행과 한국 상품을 회피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을 일컬으는데 중국 정부는 단 한번도 한한령 존재 자체를 인정한 적이 없지만 중국인 단체한국관광을 금지하고 한국 게임의 중국 게임판호를 내주지 않고 Kpop 아티스트들의 월드투어에서 중국 내 공연을 금지하는 조치 등을 말합니다

 

미국 무기 사드 배치 이후 인기절정이었던 한국산 화장품들은 중국 본토와 홍콩 마카오 화장품 상점 문 앞에서 사라져 한쪽 구석으로 치워지면서 매출이 뚝 떨어지는 상황에 내몰렸습니다

 

국네 연예기획사들은 소속 아티스트들의 월드투어에 중국 내 대형공연장 공연이 금지되고 중국 TV와 극장 상연이 중단되어 사실상 중국 연예시장에 접근 자체가 금지되어 버렸습니다

 

아울러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금지되면서 중국 지역 저비용항송다르의 노선이 대폭 축소되었는데 2시간에서 3시간 거리의 단거리 노선들이 대폭 사라져 수익성에 빨간불이 켜지기도 했습니다

 

2026 APEC 경주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방한할 수 있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는 한한령이 해제되었다는 확실한 신호를 중국인들에게 줄 수 있어 다시금 우리 상품들이 중국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정부는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전쟁에 우리나라가 중국과 함께 자유무역을 지지하는 편에 서주길 바라고 있어 한한령 해제는 일종에 당근책으로 제시되는 것 같습니다

 

엔터주의 경우 무형자산으로 가치가 있어 트럼프 2기 정부의 관세전쟁에도 비켜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중국 엔터시장은 우리나라에게 매력적인 시장이 아닐 수 없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중국소비주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아모레G

한국콜마

한국콜마홀딩스

코스맥스

코스맥스비티아이

한국화장품

한국화장품제조

신세계인터내셔널

코리아나

애경산업

토니모리

코스메카코리아

잉글우드랩

잇츠한불

에이블씨엔씨

제이준코스메틱

제닉

세화피앤씨코

리더스코스메틱

씨앤씨인터내셔널

마녀공장

호텔신라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신세계

신세계인터내셔널

이마트

글로벌텍스프리

파라다이스

GKL

롯데관광개발

PN풍년

쿠쿠홀딩스

쿠쿠홈시스

아가방컴퍼니

제로투세븐

토박스코리아

SAMG엔터

락앤락

형지엘리트

 

게임주

크래프트

엔씨소프트

펄어비스

시프트업

네오위즈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베스파

컴투스

게임빌

웹젠

선데이토즈

액토즈소프트

넵튠

넥슨게임즈

조이시티

데브시스터즈

더블유게임즈

엠게임

미스터블루

바른손이앤에이

 

K컨텐츠주

스튜디오드래곤

에이스토리

NEW

하이브

에스엠

와이지엔터

JYP Ent

팬엔터테인먼트

키이스트

위지윅스튜디오

아티스트스튜디오

아티스트유나이티드

엔피

쇼박스

콘텐트리중앙

CJCGV

CJENM

삼화네트웍스

지니뮤직

덱스터

바른손이앤에이

 

여행주

노랑풍선

하나투어

모두투어

참좋은여행

레드캡투어

세중

GKL

강원랜드

파라다이스

호텔신라

글로벌텍스프리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SAMG엔터는 2000년에 설립된 1세대 애니메이션 기업으로 기획 및 제작, 캐릭터 라이선싱 및 머천다이징(MD), 글로벌 배급, 오프라인 테마공간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 최대 3D 애니메이션 제작사이자 종합 패밀리 엔터테인먼트 기업입니다

 

SAMG엔터는 2016년 '미니특공대' 시리즈를 중국에 런칭하여 흥행시키며 한류 대표 애니메이션으로 성장시켰으며, 국내 1등 캐릭터로 자리 잡은 '캐치! 티니핑' 시리즈를 2021년 중국 시장에 전개하며 글로벌 키즈 팬덤을 확대 중입니다. 

 

2022년 '캐치! 티니핑' 시즌1이 일본 주요 어린이 채널인 '키즈스테이션'에 방영된 이후 최근 시즌2 진출과 MD 제품 판매까지 진행 중에 있습니다

 

SAMG엔터는 일본과 중국에서 성공을 바탕으로 북미와 유럽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는데 글로벌 패밀리 엔터테인먼트 회사로 성장해 가고 있습니다

 

SAMG엔터는 2023년부터 보유 IP를 기반으로 한 오프라인 테마공간 사업을 신규 사업으로 추진하여 '티니핑랜드 구미', '티니핑월드 in 판교'를 오픈하였습니다

 

10일 SAMG엔터가 상한가로 급등한 것은 7분기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기 때문인데 지난해 4분기 매출액 약 419억 원, 영업이익 약 90억 원을 돌파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SAMG엔터 연간실적은 여전히 적자상태로 영업손실 약 61억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SAMG엔터는 영화 ‘사랑의 하츄핑’ 흥행을 기반으로 티켓판매 수익이 급증하고 캐릭터 판매 수익도 증가했는데 슈퍼IP 탄생으로 당분간 실적호전 가능성이 커진 것 같습니다

 

SAMG엔터는 2025년 흑자전환 기대감을 키우고 있어 묻지마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SAMG엔터 2024Q3 실적발표.pdf
2.11MB
SAMG엔터 20240801_(최종) 기업IR협의회.pdf
1.78MB
SAMG엔터 20250115 신한투자증권.pdf
1.55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4yjAHV13nyE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SK바이오팜의 2024년 4분기 잠정실적발표가 있었는데 예상데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는데 뇌전증치료제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수출만으로 달성한 실적이라 의미가 큰 것 같습니다

 

SK바이오팜은 지난해 매출 5476억원, 영업이익 963억원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는데 전년대비 매출은 54.3% 증가했고 375억원에 달했던 영업손실은 이번에 흑자로 전환해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명실상부한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을 내놓았습니다

 

SK바이오팜은 이번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내 매출이 약 438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62% 성장하며 실적 견인차 역할을 수행했다고 분석했는데 지난해 4분기에도 세노바메이트는 미국 시장에서 탄탄한 처방수(TRx) 성장세를 유지, 전 분기 대비 약 160억원 증가하며 역대 최대 분기별 매출 증가 폭을 경신했습니다 

 

세노바메이트는 미국 시장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의 저변을 확대 중인데 미국 시장에서 낸 실적을 무기로 남미와 유럽시장으로 수익처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SK바이오팜은 세노바메이트의 적응증 및 연령 확장을 통해 시장 확대도 노리고 있는데 올해 내에 부분 발작을 넘어 전신발작(PGTC)으로의 적응증 확장에 대한 임상 3상 탑라인(Top-line) 결과를 확보하고, 소아 환자의 복용을 쉽게 하는 현탁액 제형(Oral suspension)을 개발해 NDA 제출할 예정입니다.

 

SK바이오팜의 흑자전환은 세노바메이트라는 뇌전증치료제를 기반으로 미국 시장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성장가도가 열렸다고 할 수 있는데 미국 실적을 무기로 국내 시장 진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내 뇌전증치료제는 외국산이 장악하고 있는데 약 3,400억원 시장에서 SK바이오팜이 국내 허가를 받을 경우 얼마나 시장점유율을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SK바이오팜의 2024년 4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 26만원대로 평가되고 있어 추가적인 주가 상승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SK바이오팜 2024Q4 실적발표 대신증권.pdf
1.46MB
SK바이오팜 2024Q4 실적발표.pdf
1.0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E2BsukwIEyM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에스엠의 경영권이 카카오에 넘어가고 처음으로 5세대 걸그룹을 런칭준비하고 있어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에스엠은 1세대 걸그룹인 SES를 거쳐 2세대 소녀시대(2007년 데뷔), 3세대 레드벨벳(2014년 데뷔)로 대를 잇고 있는데 4세대 에스파의 뒤를 이을 5세대 '하츠투하츠'가 드디어 데뷔를 앞두고 있습니다

 

8인조 걸그룹 하츠투하츠는 24일 첫 싱글 ‘더 체이스(The Chase)’를 공개하며 활동에 나설 예정인데 앞서 3일에는 유튜브 등 SNS에 짧은 티저 영상을 공개하며 팬들의 관심을 끌어올렸습니다

 

하츠투하츠는 아직 정확한 팀 콘셉트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다양한 감정과 진심 어린 메시지를 담아 팬과 소통하겠다는 뜻의 ‘하츠투하츠’라는 팀명처럼 따뜻하고 감성적인 스타일의 걸그룹을 표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평균 나이 17세의 8인조 걸그룹으로, 그 나이 또래의 친구들이 보여줄 수 있는 바이브를 특징으로 활동할 것으로 보이는데 SM은 “하츠투하츠는 신비롭고 아름다운 음악 세계를 추구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에스엠이 5세대 걸그룹을 데뷔시키면서 와이지엔터의 베이비몬스터, 하이브의 뉴진스와 함께 5세대 걸그룹 경쟁이 본격화 될 것 같습니다

 

에스엠은 지난해 3분기 매출 2422억원, 영업이익 133억원을 기록했는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9%, 영업이익은 무려 73.6% 줄었고 연간 매출로는 2023년 9610억원을 기록해 올해도 매출 1조 달성이 어려워 보이고 있습니다

 

에스엠은 2025년 1분기부터 에스파의 월드투어가 시작되어 콘서트로 수익이 증가하면서 5세대 걸그룹 ‘하츠투하츠’의 마케팅 비용이 증가하는 시기를 보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에스엠은 2025년 매출 1조 돌파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데 하츠투하츠의 성공 여부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에스엠 20250114 삼성증권.pdf
1.09MB
에스엠 20250203_한화투자증권.pdf
0.95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