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RtXfCYGggpg

안녕하세요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지난해 1인당 명품 소비액은 325달러(약 40만4천 원)로, 미국의 280달러(약 34만8천 원)나 중국의 55달러(약 6만8천 원) 등을 따돌리고 세계 1위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명품의 고장인 이탈리아 현지에서도 한국의 명품 사랑 현상을 조명하고 있는데 이탈리아 전국지 '일 솔레 24 오레'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명품이 한국으로 향한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지난해 한국이 글로벌 명품 시장에서 '별'처럼 빛났다고 소개했습니다.



이 매체는 한국의 명품 사랑이 새로운 현상은 아니라며 명품 브랜드들이 오래전부터 한국 시장을 중요하게 생각했고, 최근 1년간 투자를 확대했다고 소개했습니다.



현재 한국이 명품 소비와 관련해 세계에서 가장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 중 하나이기 때문이라는 것이 이 매체의 설명입니다

 

한국의 유명 연예인들이 각종 명품 브랜드의 '앰버서더'로 참여하면서 MZ세대의 명품 소비를 더욱 활발하게 하고 있습니다.



블랭핑크의 경우 멤버 전원이 명품 브랜드의 앰버서더 자리를 차지했는데 '인간 샤넬'이라 불리는 제니는 샤넬 글로벌 앰버서더로, 로제는 생로랑과 티파니 글로벌 앰버서더로, 지수는 디올의 글로벌 앰버서더로, 리사는 셀린느와 불가리에서 각각 글로벌 앰버서더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방탄소년단(BTS)의 지민(디오르)·슈가(발렌티노), 블랙핑크의 지수(디오르)·제니(샤넬)·로제(생로랑)·리사(셀린) 등 수없이 많이 스타들이 글로벌 엠버서더로 활동하며 한국의 독보적 위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매체는 "지난해 이탈리아의 한국 수출액은 2021년과 비교해 4.4% 증가했다"며 "수출액 상위 5개 중 가죽제품(1위), 신발(2위), 의류(4위), 보석류(5위) 등 패션 관련 상품이 대부분이었다"고 전했습니다.



페르디난도 구엘리 주한 이탈리아 무역관장은 "자동차까지 포함한 명품 브랜드 수출액은 이탈리아의 2022년 한국 전체 수출액의 절반 이상(51.3%)을 차지한다"며 "명품을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가 두드러졌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나라의 명품소비 폭발은 보복소비 영향으로 볼 수 있지만 MZ세대가 빚을 내 명품소비에 나서면서 부유층의 소비보다 부유층을 모방하려는 허영과 자의식 부족에 따른 겉치장에 투자를 늘리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뇌물로써 명품의 이용가치가 올라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명품 브랜드들의 가격인상이 연이어 지속되는 배짱영업에도 소비가 줄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 젊은 연예인을 글로벌 명품 브랜드의 앰버서더로 임명해 MZ세대의 소비욕구를 부추긴 것이 주요하게 먹히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자존감이 낮은 MZ세대에서 빚을 내 명품을 소비하는 행태는 과소비를 넘어 세대파산 우려를 낳고 있는데 일본의 잃어버린 20년같이 젊은세대의 파산은 사회의 활력을 잃게하고 성장의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뇌물로 명품을 이용하는 방식은 현금을 직접 갖다주는 것보다 더 효과가 좋다고 알려졌는데 와이프와 내연녀를 움직일 수 있어 뇌물의 효용성을 높인다는 말이 생길 정도입니다

 

명품소비는 일방적인 무역적자를 일으키는 부분으로 2022년 기준 168억달러의 명품수입액은 고스란히 무역적자로 기록되는 부분입니다

 

무역적자가 1월에만 126억 달러 규모의 무역적자를 기록한 상황에서 명품소비가 지속될 경우 전체무역수지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커질 수 밖에 없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