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thmSmkeQyek

안녕하세요

뉴욕증시는 전날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를 뒤늦게 반영해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보이자 대폭락했습니다.



5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63.09포인트(3.12%) 급락한 32,997.97로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153.30포인트(3.56%) 떨어진 4,146.87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647.16포인트(4.99%) 폭락한 12,317.69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와 나스닥지수의 하락률은 2020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는데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FOMC 회의 결과에 안도 랠리를 펼쳤던 시장은 하루 만에 상승분을 고스란히 반납하고 더 떨어진 양상입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75bp 금리 인상 가능성을 차단하면서 공격적인 긴축 우려는 덜어냈지만, 연준이 앞으로 두 차례 회의에서 50bp씩 금리를 추가로 올릴 것을 시사하면서 시장의 긴축 우려는 지속됐고 10년물 국채금리도 다시 오름세로 돌아서 장중 16bp 이상 급등하며 3.10%를 터치했는데 이는 2018년 이후 최고치로 국채금리의 가파른 상승은 기술주와 성장주의 미래 수익에 타격을 준다는 점에서 주가에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10년물 국채금리가 3.10%를 터치한 것은 미국경제에 있어 저금리가 끝났다는 신호로 보이며 중금리 시대에 접어들 것을 예고하는 것입니다



칼라일 그룹의 데이비드 루벤스타인 공동창립자는 CNBC에 출연해 투자자들이 금리 인상이 시장과 경제에 가져올 역풍을 깨닫고 현실로 돌아올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는데 그는 앞으로 두 번의 회의에서 50bp씩 금리를 더 인상한다면 금융환경은 약간 더 긴축적으로 바뀔 것으로 내다봤고 안도랠리가틀렸다고 말한 것입니다.

 

연준은 6월부터 9조 달러에 달하는 연준의 포트폴리오도 축소할 계획인데 이전 긴축보다 더 빠른 속도로 시장의 유동성을 줄여나갈 것이라는 점에서 단기적으로 시장의 부담이 커질 전망으로 당장 금리 상승세는 대출 이자 부담을 늘리고 있어 경제에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미국의 주택담보대출업체인 프레디 맥이 발표한 30년 만기 고정 주택담보대출 평균 금리도 5.27%로 직전주인 5.1%에서 상승했는데 잉글랜드 은행은 이날 기준금리를 0.75%에서 1.0%로 0.25%포인트 인상해 4회 연속 금리 인상을 단행했고 잉글랜드 은행의 금리 인상 결정에도 파운드화 가치는 크게 하락했는데 시장의 예상치를 밑도는 수준이기 때문으로 미국의 빅스텝 금리인상에 영국의 베이비스텝은 파운드화 가치 방어에 별 효용이 없음을 보여준 것입니다.

 

중앙은행이 올해 물가가 10.25%까지 치솟고, 4분기 성장률은 1%까지 떨어진 후, 내년에는 마이너스(-) 0.25%로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경기 침체 가능성에 중앙은행이 더는 공격적으로 움직일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강화됐기 때문입니다.

 

영국 역시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기 위해 서둘러 긴축을 단행했으나 중앙은행이 내년 역성장을 경고하면서 경기침체 우려가 전방위로 확산해 금리인상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경제 지표는 혼조세를 보였는데 챌린저, 그레이 앤 크리스마스(CG&C)에 따르면 4월 감원 계획은 2만4천286명으로 전월 2만1천387명보다 14% 증가했고 감원 계획은 2개월 연속 증가했으나 올해 들어 총 감원은 7만9천982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 줄었고, 1993년 자료 집계 이후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4월 30일로 끝난 한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1만9천 명 감소한 20만 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18만2천 명을 웃돈 수준이지만, 20만 명 내외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아직 미국경제가 좋은 컨디션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올해 1분기 미국의 비농업 부문 노동 생산성은 계절조정 기준 전 분기 대비 연율로 7.5% 줄었고 이는 1947년 3분기 이후 가장 크게 줄어든 것으로 시장의 예상치인 5.2% 하락보다 부진했는데 생산성은 크게 줄고 단위 노동비용은 전 분기 대비 연율로 11.6% 급등해 단위 노동비용은 1982년 3분기 이후 약 40년여 만에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S&P500 지수 내 11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으며, 임의소비재 관련주가 5% 이상 떨어졌고, 기술주와 통신 관련주도 4% 이상 밀렸으며 자재(소재)와 금융, 산업, 부동산 관련주도 2% 이상 하락했습니다.

 

코로나19팬데믹으로 수혜를 입은 전자상거래 업체 관련주가 실적 부진에 이날 하락을 주도했는데 아마존도 7% 이상 떨어져 나스닥 시장 하락을 주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온라인 쇼핑업체 쇼피파이의 주가는 1분기 손실을 발표하면서 14% 이상 하락했고, 온라인 가구업체 웨이페어의 주가도 분기 손실이 예상보다 확대됐다는 소식에 25% 이상 폭락했습니다.

 

트위터의 주가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 인수를 위해 71억4천만 달러의 투자금을 유지했다는 소식에 2%이상 올라 M&A특수를 반영했습니다.

 

테슬라의 주가는 머스크가 트위터를 인수한 뒤에는 직접 몇달간 임시 CEO를 맡게 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8% 이상 하락해 일론머스크가 테슬라 주식을 담보로 트위터를 인수한 것은 현명한 선택이었음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전기차 시장 경쟁 강화로 테슬라의 위상이 흔들리는 가운데 수익다각화가 필요했고 테슬라 주식이 가장 비쌀 때 매각할 수 있는 명분이 필요했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위험자산이 폭락하면서 9% 이상 하락해 3만6천달러대까지 밀렸는데 각국 정부가 디지털화폐 도입을 서두르고 있고 중국정부가 디지털 인민폐를 빠르게 상용화하고 있어 비트코인의 수명이 줄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연준이 긴축을 계속함에 따라 주가 상승세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는데 연준이 통화긴축을 가속화할 수록 시중 과잉 유동성이 빠르게 줄 수 밖에 없고 코로나19팬데믹 가운데 양호한 실적을 보여준 미국기업들도 실적둔화에 대비할 수 밖에 없게 된 것입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연준이 6월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75bp 인상할 가능성은 87.1%로 전날의 74.5%에서 상승했는데 EU가 러시아산 석유금수조치를 실제로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측면에서 인플레이션이 강화될 위험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5.78포인트(22.74%) 급등한 31.20을 기록했습니다.

 

제롬파월 연준의장의 75bp 금리인상은 없다는 발언에 안도랠리를 보였던 비이성적인 시장 움직임이 이제 합리적인 이성을 차리고 시장내 과잉 유동성이 빠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 같습니다

 

과잉 유동성이 만든 주가버블이 본격적으로 빠지기 시작한 것으로 앞으로 이런 급등락이 반복되며 시장은 고점과 저점을 낮춰가는 행보를 보여줄 것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미국증시대폭락_Strategy_20220506_FOMC_대신증권.pdf
0.47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