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kbNIt5OcUU0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 케이엘앤파트너스는 국내 화장품 브랜드 마녀공장 경영권 지분 51.87%를 1900억원에 인수하는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습니다

 

케이엘앤파트너스는 마녀공장의 기업가치를 약 3700억원으로 평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녀공장은 자연유래 발효 추출물을 기반으로 한 미백 기능성 제품을 시작으로 클린 뷰티와 비건 화장품이 주력 상품으로 하고 있습니다

 

마녀공장은 북미 화장품 시장에도 진출하여 지난해 1분기까지 아마존US 매출이 대부분이었지만, 2분기부터 코스트코 300개 매장, 얼타 600개 매장 등에 입점할 전망입니다

 

마녀공장의 국내 매출은 약 80%가 올리브영에서 발생하는데 윤석열 불법비상계엄으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관광객들이 급감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최근 K뷰티 인기가 높아지면서 미국과 일본, 동남아 등에서 국내 중소 화장품 브랜드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굴지의 해외 PE들이 국내 중소형 인기 K-뷰티 브랜드 인수에 시동을 걸고 있습니다

 

마녀공장 3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는 21,000원으로 M&A가 실적을 주가에 반영하는 모멘텀이 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마녀공장 2024Q3 실적발표.pdf
3.88MB
마녀공장 20240912_키움증권.pdf
0.5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lPhL5eXn9cA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도널드트럼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하면서 미국경제가 골디락스에 들어갈 것으로 기대되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수혜주 찾기가 시장내 벌어지고 있습니다

 

마녀공장은 미국 연말 소비 시즌에 돌입하면서 아마존, 얼타, 코스트코 판매 본격화 수혜가 기대된다고 보고있는데 지난해 북미 오프라인 화장품시장에 진출한 것이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워주고 있습니다

 

미국은 세계에서 가장 큰 화장품 시장으로 2023년 629억 달러 규모로, 2024~2030년까지 매년 6.1% 성장 전망되고 있고 K콘텐츠의 영향으로 한국화장품의 미국인들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시장점유율을 늘려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특히 마녀공장이 진출한 북미 오프라인 화장품시장은 수요증가의 통로가 되고 있는데 얼타, 코스트코에서의 판매호전은 실적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도널드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가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여성들의 소비기호를 고율의 관세가 바꿀수 없어 마냐공장도 제값받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고율관세정책이 인기없는 물가상승과 연결될 수 있는 사안이라 화장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쉽게 결정될 사안은 아닌 것 같습니다

 

마녀공장은 미국의 골디락스의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사모투자펀드(PEF) 운용사 케이엘앤파트너스가 마녀공장을 인수ㆍ합병(M&A) 한다는 소식도 마녀공장 주가가 오른 주요한 이유가 되고 있어 장기적으로 마녀공장 기업가치를 높이는 경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마녀공장_20240819 하나증권.pdf
1.11MB
마녀공장 2024Q2 실적발표.pdf
4.02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yRWvKXxkKwk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마녀공장이 2024년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액 676억 원, 영업이익 123억 원을 기록했다고 12일 공시했는데 전년 대비 매출액은 43.4% , 영업이익은 71.4% 증가해 어닝 서프라이즈입니다



2분기 기준 매출액은 366억원, 영업이익은 83억원을 기록했으며, 전년동기대비 각각 46.7%, 157.7% 증가해 내수 경기침체 중에 대표적인 내수품목인 화장품에서 놀라운 실적을 내놓은 것입니다

 

마녀공장의 실적을 견인한 것은 국내 보다는 해외매출로 미국 코스트코 오프라인 및 얼타(ULTA)의 온·오프라인 입점으로 미국 시장 매출 성장, 올리브영 성장세를 통한 안정적인 국내 매출 성장, 유럽·중국시장의 꾸준한 매출 성장세 등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코스트코 오프라인 입점으로 미국 내 판매처를 확대한 것이 판매증가를 가져왔고 얼타(ULTA)에 대한 워런버핏의 매수가 알려지면서 여기에 입점한 마녀공장도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진 모습입니다

 

워런 버핏이 '미국판 올리브영'으로 불리는 화장품 기업에 신규 투자했다는 소식에 국내 화장품주에도 투자심리가 몰렸는데 버크셔 해서웨이는 최근 공시를 통해 올해 2·4분기 미국 최대 화장품 체인 기업인 '울타뷰티(Ulta Beauty)'의 주식 69만여주를 매수했다고 공시했고 울타뷰티는 미국 뷰티 판매·유통 기업으로 국내 화장품 브랜드도 다수 입점해있고 마녀공장도 입점해 있는 곳입니다

 

얼타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마녀공장의 대표 제품들인 ▲퓨어 클렌징 오일 ▲퓨어 클렌징 오일 딥 클린 ▲퓨어&딥 클렌징 폼 ▲딥 포어 소다 폼 ▲퓨어 클렌징 워터 센서티브 ▲딥 클리어 클렌징 밤 ▲ 비피다 바이옴 앰플 토너 ▲ 비피다 바이옴 콤플렉스 앰플 ▲비피다 바이옴 아쿠아 베리어 크림의 총 9개 품목이 입점해 있습니다

 

마녀공장은 2분기 실적기준 적정주가 29,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추가적인 주가 상승이 나타날 수 있어 보입니다

 

다만 최대주주인 엘앤피코스메틱의 지분매각이 추가로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가 주가상승의 발목을 잡고 있는 모습입니다

 

최대주주인 엘앤피코스메틱은 2024년 1월 9일 64.42%의 지분으로 줄기 시작했는데 유동성을 늘리기 위한 단순처분이라고 했고 이후 지속적으로 지분을 매도하여 5월 8일 51.87%까지 지분율이 줄어든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마녀공장 2024년 상반기 실적발표.pdf
4.02MB
마녀공장 20240404_기업IR협의회.pdf
2.08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j7GIkfDO78Q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컨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자연주의 기능성 화장품으로 유명한 마녀공장이 미국 코스트코 매장 300여곳에 입점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마녀공장의 해외 매출이 급증하고 있는데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08% 늘었으며 특히 아마존에서의 매출액이 같은 기간 244% 급증했습니다

 

특히 마녀공장 ‘퓨어 클렌징 오일’에 대해 코스트코 본사가 ‘판매량이 매우 우수하다’고 판단할 정도로 미국에서의 반응이 핫한 상황입니다

 

마녀공장은 내년까지 입점 매장을 400개로 확대할 예정으로 올해 하반기엔 ‘비피다 바이옴 앰플’을 100여개 매장에서 선보이고 내년 5월부터 취급 매장을 늘릴 계획입니다.

 

마녀공장은 미국을 넘어 캐나다 코스트코에도 입점할 예정인데 이외에 중국과 프랑스, 스페인 코스트코에도 입정을 협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마녀공장의 해외시장 진출이 순풍을 타고 있는 것은 가성비가 좋은 화장품을 개발 생산하고 이를 K컨텐츠를 통해 노출시키는 전략이 유효했기 때문입니다

 

마녀공장의 앰플 '비피다 콤플렉스'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일본과 미국에서도 히트를 친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에서 북한 군인 리정혁(현빈 분)이 남한의 재벌 딸 윤세리(손예진 분)를 위해 사다 준 선물로 등장하는데  '손예진 앰플'로 입소문을 타면서 국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마녀공장은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이 일본에서 대히트를 치면서 일본 화장품 시장에 안착하는데 성공했는데 PPL의 대성공이 상품 판매도 히트를 가져온 케이스라 할 수 있습니다

 

'손예진 앰플'은 드라마 '사랑의 불시착'이 OTT를 통해 미국에서 방영되면서 인기를 끌고 있어 실적호전에도 기여하고 있는데 이번에 미국 코스트코 입점은 실적의 점프업을 기대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마녀공장의 1분기 실적 기준 적정주가는 28,000원으로 평가되고 있어 실적의 주가반영이 이뤄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마녀공장 2024Q1 실적발표.pdf
3.51MB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화장품 가격 인상에도 수요가 견조하면서 화장품주가 강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소비둔화에 따른 경기침체 분위기에도 화장품주에 대한 수요가 살아나고 있어 화장품주들의 가격인상에도 수요가 견저하게 늘고 있어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화장품주들은 코로나엔데믹으로 마스크 사용이 해제되면서 본격적으로 판매가 증가하고 있고 해외에서 북미와 EU, 동남아와 중동을 중심으로 수출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우리나라 회장품의 주요 고객이었던 중국과 홍콩시장에서 좀처럼 수요가 살아나지 않고 있는데 윤석열 정부의 혐중론에 입각한 "탈중국선언"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중국인 소비자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바뀌면서 중국화장품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시장을 일본업체들이 빼앗아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국의 화장품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으로 여기를 일본화장품회사에 고스란히 넘겨주고 있어 우리나라 화장품의 안마당을 빼앗긴 꼴이 되었습니다 

 

화장품주 전반이 강세를 띠는 건 화장품 가격 인상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인데 LG생활건강은 내달 1일부터 숨, 오휘, 빌리프, 더페이스샵 일부 품목의 가격을 평균 4~5% 인상키로 했습니다.

 

로레알도 내달부터 랑콤, 키엘, 비오템, 입생로랑 등의 가격을 평균 5% 인상하고 앞서 아모레퍼시픽은 설화수의 하이엔드 라인 ‘전설’ 일부 품목 가격을 인상한 바 있습니다.

 

이런 가격인상에도 수요가 견조하게 늘고 있어 화장품주들의 실적호전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다음 달 11일 광군제를 앞두고 중국 소비에 대한 기대감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되는데 광군제는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로, 전통적으로 화장품주가 이 기간 강세를 보였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화장품주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아모레G

한국콜마

한국콜마홀딩스

코스맥스

코스맥스비티아이

한국화장품

한국화장품제조

신세계인터내셔널

코리아나

애경산업

토니모리

코스메카코리아

잉글우드랩

잇츠한불

에이블씨엔씨

제이준코스메틱

에스디생명공학

제닉

세화피앤씨

에프앤리퍼블릭

리더스코스메틱

아이패밀리에스씨

클리오

선진뷰티사이언스

뷰티스킨

마녀공장

연우

2023년 중국 화장품시장 브랜드 순위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kl0XYcDmllk

링크를 타고 유튜브에서 시청 부탁드립니다. 좋아요 구독은 더 좋은 콘텐츠 제작에 큰 힘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국민 클렌징 오일'로 유명한 뷰티 브랜드 마녀공장을 보유한 마녀공장은 2012년 설립됐는데 마스크팩 브랜드로 유명한 엘앤피코스메틱이 2018년 인수해 작년 말 기준 76.48%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로 있습니다. 

 

마녀공장은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뷰티 불황에도 성장을 이어가면서 경기침체에도 강한 경쟁력을 보여주었는데 2020년 393억원이던 매출은 2021년 626억원, 2022년 1018억원으로 급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마녀공장은 클렌징 제품 및 스킨케어를 주력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대표 제품 세가지에서2022년 온기 기준 56.1%의 매출이 발생하였습니다. 

 

매출 1위 제품인 '퓨어 클렌징 오일' 제품은 당사의 스테디셀러 제품으로 2021년 및 2022년 올리브영 어워즈 클렌징 부문의  1위를  달성하였으며 더불어 당사의 매출 3위 제품인 '비피다 바이옴 콤플렉스 앰플' 또한 2020년 올리브영 어워즈 안티에이징 부문에서 수상한 바가 있습니다. 

 

매출 2위 제품인 '갈락 나이아신 2.0 에센스'는 일본 큐텐 분기별 가장 큰 규모의 프로모션인 메가와리에서 2021년 4분기 부터 2022년 2분기 까지 단일 품목 및 전체 매출 1위를 달성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당사의 주력 제품은 출시 이후 시장에서 빠르게 경쟁력을 인정받으며 당사의 실적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또한, 해당 제품군은 고객들에게 마녀공장 브랜드를 소개, 체험 및 타 제품으로 교차 구매를 유도하며 브랜드 확장의 기반을 구축하는 역할을 다하였습니다

 

2019년 65억원이던 영업이익도 지난해 기준 276% 증가한 245억원을 기록해 코로나19 시기 마스크 착용으로 큰 타격을 받았던 색조화장품과 달리 마녀공장의 주력 품목은 클렌징(세안), 기초케어 제품은 오히려 판매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부분 벤처 화장품 브랜드들이 특정 히트 제품에 대한 매출 비중이 과도하게 편중되어 있는 것과 달리, 마녀공장은 기초 스킨케어 제품과 클렌징 제품이 고루 인기를 얻고 있어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보이고 있고 또한, 상이한 성분 기반의 3가지의 대표적인 제품 라인이 판매되고 있으며 2022년 온기 매출 기준 비피다 라인 24.0%, 퓨어클렌징 라인 31.3%, 갈락 라인 31.6% 등 각 라인 별 균형 있는 매출 비중을 기록하였습니다

 

마녀공장은 아마존, 쇼피, 라자다, 큐텐, 라쿠텐 등 메이저 글로벌 B2C 플랫폼에 성공적으로 진입 및 채널을 관리한 경험을 기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65개국 이상에서 각 지역별 유수의 비즈니스 파트너들을 선정 및 협업하며 온/오프라인 채널 내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집행한 바 있습니다. 

 

이에 2015년 러시아 진출을 시작으로 2016년 중국, 2017년 일본, 2022년 현재 65개국 이상에서 자사 브랜드가 전개되고 있으며 각 국가별 시장 특성에 따라 채널 운영 형태를 전략적으로 선택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녀공장은 IPO과정에서 일반투자자 청약경쟁률 1265.33대 1을 기록하며 흥행에 성공했고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는 경쟁률 1800.47대1을 기록하며 희망 범위를 넘은 1만6000원에 공모가를 확정한 바 있는데 주식시장 여건을 감안하여 상대적으로 공모가격이 낮아진 측면이 있어 상장 시 주가급등이 예상되고 있었습니다.

 

화장품이 개인의 기호가 판매에 많은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에서 한번 익숙해진 브랜드는 잘 바꾸지 않기 때문에 반복 구매가 이뤄지는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마녀공장의 국내 시장 뿐 아니라 해외시장도 진출에 성공해 K Beauty의 영향으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마녀공장 IPO IR.pdf
9.66MB

https://youtu.be/CXl1VGICQJM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