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CbuXG6n-kF8

안녕하세요

경기 안양시의 한 아파트에서 HDC현대산업개발의 재건축사업 참여를 반대하는 내용의 현수막이 걸렸는데 안양시 동안구 관양동의 한 아파트 일부 주민은 최근 단지 내에 '보증금돌려줄 테니 제발 떠나주세요', '우리의 재산과 목숨을 현산에게 맡길 순 없다' 등 내용의 현수막을 게시했습니다.



이는 지난 11일 광주 화정에서 신축아파트 외벽이 무너지는 사고를 낸 현산에 대한 불안감이 고조된 가운데 등장했는데 현재 이 아파트는 재건축 시공사 선정을 앞두고 롯데건설과 현산이 각각 200억원의 보증금을 내고 입찰에 참여한 상태로 약 6만2557㎡ 규모의 아파트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32층, 총 1305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이 만들어지는 사업입니다



조합원들은 오는 2월 4일 열리는 총회에서 시공사 선정 투표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는데 조합원 수는 900여명으로 이중 과반이 투표에 참여해 더 많은 득표를 얻은 건설사가 시공을 맡게 됩니다.



이런 가운데 조합원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광주 사고 직후 현산에 대한 불신을 나타낸 글들이 게시됐고, 현산은 이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죽을 각오로 다시 뛰겠다'는 문구의 현수막을 내건 것으로 알려졌지만 너무 늦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HDC현대산업개발의 광주 아파트붕괴사고에 관련 단지의 다른 아파트동에서도 부실공사 증거가 속속 드러나고 있어 수익을 위해 거주민의 안전은 도외시 했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아파트들은 30년만 넘어도 안전에 대한 우려가 나오면서 재건축 이야기가 나올만큼 전문가들 스스로가 부실시공에 대해 쉬쉬하는 분위기였는데 이번 사건은 그 끝판왕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은 20세기 초반에 지은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이 여전히 서 있는데 우리나라는 만들어진지 겨우 30년 된 아파트의 안전진단을 이유로 재개발을 해 대는 상황이니 건축기술이 딸린 것인지 우리나라 시멘트와 철근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HDC현대산업개발이 더 이상 아파트 건설에 나서기 어려워졌다는 것으로 싯가총액 조단위의 건설사가 하루 아침에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는 상황이 만들어졌다는 사실입니다

 

HDC와 HDC현대산업개발 주주들은 경영권을 갖고 있는 최대주주를 상대로 경영실패의 이유가 배임죄에 해당한다고 집단소송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