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항공업계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저비용항공사 (LCC)들의 적자 행진이 이어지고 있어 위기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다수의 화물기를 바탕으로 화물 사업을 강화한 #대한항공 은 코로나 위기에도 4개 분기 연속 흑자를 냈지만, LCC와 #아시아나항공 은 올해 1분기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며 항공업계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모습인데 항공화물기를 갖고 있고 없고가 실적의 분수령을 갈랐습니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진에어,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등 LCC 3사의 올해 #1분기영업손실 은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대폭 증가했는데 3사 모두 증권가 전망치(컨센서스)보다 많은 영업손실을 냈습니다.

진에어는 올해 1분기 매출 439억원, 영업손실 601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천439억원에서 69.5%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지난해 1분기 313억원에서 92% 증가했고, #당기순손실 도 458억원에서 721억원으로 확대됐습니다.

티웨이항공은 올해 1분기 매출 352억원에 454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는데 매출은 지난해 1분기보다 76.4% 감소했고, 영업손실은 지난해 1분기보다 103.7% 증가했습니다.

제주항공은 1분기 영업손실이 873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657억원)보다 32.8% 증가했고, 매출은 418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2천292억원)보다 줄었습니다.

LCC들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코로나19사태#여객수익 이 급감하면서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화물운임 이 급등하며 화물 호조가 이어지고 있지만, #여객수송 에 집중했던 LCC들은 수혜를 보지 못하고 있는데 화물기를 보유하지 않은데다, 중대형 항공기 부족으로 화물 운송을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국제선운항중단 으로 LCC들이 국내선에 집중하면서 국내선 수익성도 악화하고 있는데 LCC 3사는 #국내선항공권특가판매#할인이벤트 를 진행하며 ' #치킨게임 '을 벌이고 있습니다.

신생 항공사 #에어로케이 가 국내선을 취항했고, #에어프레미아 도 국내선 취항을 준비하고 있어 당분간 #국내선공급포화 상태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난달 국적 항공사들은 365만석의 국내선 좌석을 공급했고, 1만9천편을 운항하며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보다 많은 국내선을 운항했습니다.

화물기가 없는 LCC와 달리 12대의 화물기를 보유한 아시아나항공은 그나마 적자 폭을 대폭 줄이며 선방했는데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1분기 매출 7천834억원, 영업손실 112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해 영업손실은 대폭 감소했지만, 지난해 4분기까지 이어진 3개 분기 연속 흑자 행진은 마감하게 됐는데 다만, 최근 화물 운임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나항공이 2분기에는 다시 흑자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전 세계 입국 제한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전세기 운항과 #무착륙관광비행 등을 통해 여객 운송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중국 광저우 등에 국내 #기업인수송특별전세기 를 운항했고, 국제 여행 테마의 관광비행을 통해 여객 매출 적자 폭을 상쇄했습니다.

지난주 실적을 발표했던 대한항공은 국내 항공사 중 유일하게 올해 1분기 흑자를 기록했는데 영업이익이 1천245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는데 매출은 지난해 동기보다 24% 줄었지만, 화물 매출이 두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대한항공은 화물기 23대를 100% 가동하고, 여객기를 화물 전용기로 운영하며 화물 공급을 늘리고 있는데 올해 1분기 화물기 운항 횟수는 전년 대비 평균 7% 증가한 주간 143회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화물 공급을 늘리기 어려운 LCC들의 부진은 올해 계속될 것"이라며 "여객 운송이 회복되지 않으면 LCC가 자체적으로 위기를 돌파하기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항공업계는 비정상적인 운영상태인데 대부분의 직원들을 무급휴가를 주고 있어 인건비에서 상당한 세이브를 하고 있는데도 이런 대규모 적자를 낸 것은 항공사들의 여건이 한계상황에 도달했다는 징후로 보여집니다

특히 #부채비율 의 급격한 증가는 유상증자의 필요성이 다시금 대두되고 있는데 제주항공과 진에어, 에어부산은 #자본잠식 에 들어가 유상증자에 다시 나설 가능성이 커 졌습니다

제주항공의 경우 최대주주인 애경그룹도 코로나19로 소비가 위축되면서 타격을 받고 있어 제주항공에 자금줄이 되는데 한계를 느끼고 있어 제주항공 자체가 매물로 나올 가능성도 있다는 소문입니다

진에어의 적자폭은 #어닝쇼크 라는 말처럼 큰 상황이라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국적기 가 탄생하면서 진에어와 에어부산, 에어서울의 합병이나 매각이 이뤄질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이번 1분기 실적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저비용항공사들은 상장을 유지하기 위해 #유상증자 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이고 #기업구조조정 에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기존 주주들의 주식가치는 언제든지 희석될 수 있는 상황이라는 위기의식입니다

트래벌버블보다 위기가 더 빨리 찾아온 상황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항공주

#한진칼

#한진칼우

#대한항공

#대한항공우

#진에어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AK홀딩스

#티웨이항공

#티웨이홀딩스

#예림당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