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정부는 4일 한국 국적 유조선 '한국케미호'가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된 데 대해 이란에 조기 억류 해제를 요청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군 당국은 청해부대 최영함을 호르무즈 해협 인근으로 긴급 출동시켰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4일 오후 호르무즈 해협의 오만 인근 해역에서 항해 중이던 우리국적 선박(케미컬 운반선) 1척이 이란 당국의 조사 요청에 따라 이란 해역으로 이동중인 것으로 확인했다"며 "선원 안전을 확인하고 선박 조기 억류 해제를 요청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해당 선박에는 한국인 선원 5명 등 모두 20명이 승선한 상태였다고 외교부는 밝혔는데 억류된 한국케미호는 현재 이란 영해에 억류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방부도 입장을 내고 "이란에 의한 우리 상선 억류 관련 상황 접수 직후, 청해부대를 즉각 호르무즈 해협 인근 해역으로 출동시켰다"고 밝혔고 이어 "향후 외교부, 해수부 등 유관부서 및 다국적군(연합해군사 등)과 긴밀히 협조하여 대응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현재 오만의 무스카트항 남쪽 해역에서 작전수행 중이던 청해부대 최영함이 호르무즈해협 인근으로 이동 중이며, 5일 오전 작전해상에 도착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고 또 인근 해역을 항해 중인 한국 선박에 대해 안전조치를 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이란 반관영 파르스 통신은 4일(현지시간) "이란 혁명수비대가 걸프 해역에서 한국 선박을 나포해 항구로 이동시켰다"며 "이 유조선에는 한국 국기가 달려 있었고 기름 오염과 환경 위험을 이유로 나포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청해부대는 아덴만 일대 해역 등에서 해적 등에 의해 나포된 한국 국적 선박 구출 작전 등을 수행해왔습니다.
지난해 11월 17일(현지시간) 예멘 카마란섬 서방 15마일 해역에서 한국 국적 항만 준설선(웅진 G-16호)와 웅진 T-1100호 등 선박 3척이 후티 반군에 나포됐을 때 출동한 바 있습니다.
다만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된 선박을 구출하기 위해 청해부대가 투입된 건 이번이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편, 이번 작전에 투입된 청해부대 33진 최영함(4천400t급)은 지난해 9월 출항했으며, 특수전(UDT) 장병으로 구성된 검문검색대와 해상작전헬기(LYNX)를 운용하는 항공대 장병 등 300여 명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최영함은 청해부대 6진으로 첫 파병을 임무 수행을 할 당시인 2011년 1월 21일에는 해적에게 피랍된 삼호쥬얼리호 선원 21명을 전원 구출한 '아덴만 여명작전'과 그해 4월 21일 '한진텐진호 선원 구출 작전'을 성공리에 수행한 바 있습니다.
이란이 연초부터 우리 국적의 유조선을 나포한 것이 단순히 바다에 폐유를 흘려 보낸 환경문제만은 아닐 겁니다
이미 여러차례 이란 중앙은행이 석유수출대금의 지급을 요구해 왔는데 트럼프 정부의 대이란봉쇄조치로 달러결제가 아닌 원화결제로 바꾸는 꼼수를 쓰며 거래를 이어왔지만 미국 정부의 견제로 이란 정부에 원유 수입대금을 지급하지 못하고 한국은행이 보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번 유조선 억류 사태는 이란의 원유수출대금을 송금받으려는 담보 성격이 아닐까 의구심이 드는데 호르무즈 해협을 오가는 다양한 국적의 유조선 중에 우리나라 국적의 유조선을 콕 찝어 억류했다는 것이 이란 원유수입대금을 받기 위한 볼모로 활용하려는의도인 것 같습니다
당장 미국 국무부가 나서서 이란에게 한국 국적 유조선의 억류를 풀라고 요구하는 것은 이번 사건에 미국이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란은 우리나라의 중동 수출의 교두보이자 중동 건설수출의 성장 시장이라 공들여 키워온 시장인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이란핵합의 탈퇴로 정상적인 교역이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미국이 정권교체가 되어 조 바이든 민주당 정부가 들어서 다시 이란핵합의를 복원할지 두고봐야겠지만 그 첫 시험대가 될 수 있어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세상살아가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 문재인 대통령 언급 코스피 3000p 비아냥 한치 앞도 모르는구나 (0) | 2021.01.06 |
---|---|
중국 역대 최악의 '부패 호랑이' 라이샤오민 (賴小民·58) 전 화룽(華融) 자산관리공사 회장 사형 선고 적당히 쳐먹지 그랬나? (0) | 2021.01.06 |
국내 코로나19 `3차 대유행` 속 새해 연휴 기간 신규 확진자수 600명대 감소 (0) | 2021.01.03 |
정부 코로나19방역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2주간 연장 연말연시 특별방역대책도 연장 시행 (0) | 2021.01.02 |
인디언 기우제 지내는 언론의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행 기원 (0) | 2021.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