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진원생명과학은 현재 개발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임상 1상 시험 중간 결과를 토대로 임상 2a상에 진입했다고 8일 밝혔습니다.

앞서 고려대 구로병원에서 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DNA백신 ‘GLS-5310’의 임상 1상 시험 중간분석 결과가 자료모니터링위원회(DSMB) 심의를 통과했는데 DSMB는 임상에 참여한 피험자의 안전성과 임상의 유용성 등을 점검해 임상 진행 여부를 결정합니다.

진원생명과학은 지난해 12월 4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코로나19 백신의 임상 1상과 2a상을 동시에 허가받았습니다.

진원생명과학은 임상 1상에서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아 안전성을 확인했다는 설명인데 임상에 참여한 사람들 사이에 가장 흔한 부작용은 가려움입니다.

또 접종자의 91.1%에서 T세포면역반응이 나타났는데 다만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중화항체반응은 현재 외부 전문기관에서 분석 중이어서 비공개 했는데 회사 측은 결과가 확보되는 대로 발표한다는 방침입니다.

진원생명과학의 DNA백신은 변이바이러스가 퍼진 상황에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어 다양한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중화항체 반응 데이타를 내놓으며 후발주자의 경쟁력을 보여줄 수 있을 겁니다

우리나라 코로나19백신 개발사들의 연구성과가 공개되면서 미국 화이자와 모더나의 우리나라에 대한 백신협력도 가속도를 높여가고 있는데 모더나는 삼성바이오로직스를 파트너로 잡고 모더나 mRNA백신의 위탁생산을 진행하고 있지만 원액에 대한 위탁생산이 아닌 단순 소분과 라벨링 정도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전형적인 매판자본의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진원생명과학은 중소벤처기업으로 자체 기술을 기반으로 코로나19백신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고 연구성과를 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 화이자와 모더나의 전략은 백신이 넘처나게 해서 후발백신이 시장에 진입하기 어렵게 만들겠다는 전략으로 코로나19백신의 수요가 꾸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코로나19백신 개발사들을 보유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화이자와 모더나가 백신을 공급하고 있고 물량도 우선 배정해 주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장기적으로 국산 코로나19백신의 시장진입이 실패할 경우 다시 화이자오 ㅁ더나는 백신가격 인상을 통해 수익 극대화를 추구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mRNA백신의 유통과 보관, 접종에 있어 기본적인 SoC 시설과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고 전 국민을 접종할 수 있는 나라는 선진국들 밖에 없는 상황에서 화이자와 모더나의 가장 큰 호객은 일본이 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백신국산화를 포기할 경우 그런 꼴이 될 수 있을 겁니다

우리나라도 국민의힘과 보수언론을 통해 화이자백신과 모더나백신을 조기에 수입해 접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국산화할 경우 백신공급에 더 손쉬운데도 국산화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내고 있어 화이자백신과 모더나백신에 대한 요구가 진짜 코로나19예방이나 방역에 목적이 있는 것 같지 않아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