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진매트릭스가 아데노바이러스 벡터에 대한 항체 간섭을 극복한 독자적인 키메릭 아데노바이러스 플랫폼 기술 'GM-ChimAd'을 개발하고 특허 출원을 마쳤다고 1일 밝혔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는 병원성과 인체 내 증식성을 제거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플랫폼으로, 백신 항원에 대한 항체 형성뿐만 아니라, T면역세포 기반 면역 반응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이번에 개발된 키메릭 아데노바이러스 플랫폼은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활용한 3차원 면역항원 리모델링을 통해 개발됐습니다.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기반 백신은 감기 등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이력이 있는 경우 체내 존재하는 안티-벡터 항체가 백신 효능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회사는 플랫폼기술 GM-ChimAd를 통해 안티-벡터 항체 반응을 극복하고 백신 효과를 높이는 차별화에 성공했고 이 밖에도 GM-ChimAd 플랫폼은 기존 아데노바이러스 벡터 대비 배양 증식성도 2.5배 이상 높아 대량 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 미국 존슨앤존슨,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중국 칸시노, 그리고 러시아 스푸트니크사는 아데노바이러스 기반 벡터를 통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개발을 빠르게 진행하고 제품을 출시한 바 있습니다.

진매트릭스 관계자는 "차세대 신속 대응 백신 플랫폼 GM-ChimAd을 기반으로 재확산 위험이 있는 신종코로나 변이바이러스 유전 정보를 반영한 유니버셜 코로나 백신 개발에 착수했다"며 "차별화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진매트릭스는 올해 매출 성장뿐만 아니라 ‘백시텍’ 투자로도 큰 수익을 기대하게 만드는데 백시텍은 영국 옥스퍼드대 제너연구소에서 스핀오프된 백신개발 회사로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의 원천 플랫폼 기술(ChAdOx Vector)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에서 백시텍의 플랫폼 기술 데이터가 쌓이고 검증이 될 경우 다양한 파이프라인 개발도 탄력을 받게 되는데 이 플랫폼에 코로나 항원을 넣으면 코로나19 백신이 되듯이 간암 항원을 넣으면 간염 백신, 전립선암 항원을 넣으면 전립선암 백신이 되는 등 항원 적용에 따라 다양한 백신이 탄생할 수 있다는게 회사 측 설명입니다.

백시텍은 2018년 1월 시리즈A 투자에 구글 모기업 알파벳의 벤처캐피탈 구글 벤처스와 중국 세쿼이아(Sequoia)로부터 2000만 달러(285억원)를 유치했고 당시 백시텍의 밸류에이션은 약 1000억원이었으며, 진매트릭스는 2018년 12월 57억원 투자를 단행, 약 5%의 지분을 확보했습니다.

진매트릭스는 영업손실을 내고 있는 상황에서 과감한 투자를 단행할 수 있었던 이유는 우수한 백신기술을 알아볼 수 있는 김수옥 대표의 안목 덕분인데 김 대표는 “옥스퍼드 제노연구소는 백신의 산실이며,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임상을 하고 있다”며 “창업하기 전 면역학을 전공한 후 대기업에서 백신을 개발한 경험을 바탕으로 일찌감치 백시텍의 연구진과 플랫폼기술을 보고, 직접 투자를 결정했다”고 말했습니다.

백시텍은 미국 나스닥 상장을 준비 중인데 앞서 지난해 백신 전문 개발 기업 모더나가 mRNA 플랫폼 기술의 가치를 인정받으면서 나스닥 시장에서 18달러에서 180달러까지 급등한 점을 감안하면, 투자업계는 백시텍 역시 2018년보다 10배의 밸류를 받는 건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고 진매트릭스 역시 높은 투자 수익률을 거둘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매트릭스는 백신 개발에도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고 지난해 10월 보건복지부의 ‘필수 예방접종 자급화 사업’에 선정돼 A형 간염 백신 개발에 착수했는데 2015년 이후 국가 필수 예방접종 항목에 A형 간염이 포함됐으나 국산 제품이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김 대표는 “코로나19가 터지기 전에는 우리나라는 백신 플랫폼 개발에 대한 지원이나 투자가 많지 않았다. 벤처도 성장하려면 매출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분자진단키트부터 하게 됐다”며 “진단키트도 계속 키워가면서 한 축에서는 우리나라 백신 주권화를 위해 백신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진매트릭스는 지난 해 11월 주가 고점을 찍고 차익실현 매물에 오랫동안 흘러내렸는데 1만원대 주가부터 반등세가 다시 나타나고 있습니다

서구에서 코로나19 3차 대유행이 나타나면서 코로나19진단키트의 수요도 들고 코로나19백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이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진매트릭스 2020년 실적공시

1. 재무제표의 종류 개별
2.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변동내용(단위: 원) 당해사업연도 직전사업연도 증감금액 증감비율(%)
- 매출액(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수익액에 한함) 15,907,812,288 5,050,418,272 10,857,394,016 215.0
- 영업이익 2,226,424,845 -2,354,697,232 4,581,122,077 흑자전환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8,128,511,551 -1,173,032,151 9,301,543,702 흑자전환
- 당기순이익 8,128,511,551 -1,173,032,151 9,301,543,702 흑자전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