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정부는 최근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3차 대유행'의 기세가 되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경각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4일 정례 브리핑에서 "지난 8주간 (신규 확진자 수가) 300∼400명대를 유지하던 3차 유행이 다시 확산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손 반장은 또 "지난주 전국 감염 재생산지수는 1.07로, 그 전주의 0.94에 비해 상승해 1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며 "방역관리가 취약한 다양한 일상 속에서 지속해서 유행이 나타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감염 재생산지수는 확진자 한 명이 주변의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 지수가 1 이상이면 '유행 확산', 1 미만이면 '유행 억제'를 뜻합니다.

감염 재생산지수를 비롯한 주요 방역 지표에는 이미 '경고등'이 켜진 상태입니다.

최근 1주간(3.7∼13) 국내 지역사회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확진자는 하루 평균 428.3명에 달하는데 이는 1주일 전(2.28∼3.6)의 371.7명보다 56.6명 많은 것으로, 지난 10일부터 줄곧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전국 400∼500명 이상 등) 범위에 속해 있습니다.

또 코로나19 취약층인 60세 이상 고령층 환자도 증가세를 나타냈는데 1주간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60세 이상은 하루 평균 113.9명으로, 직전 한주(82.6명)보다 31.3명 늘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물론 비수도권에서도 확산세가 다시 거세지는 양상입니다.

1주간 수도권의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313.9명으로 집계돼 300명대를 이어갔고, 비수도권 역시 하루 평균 114.4명꼴로 나와 세 자릿수로 올라섰습니다.

손 반장은 비수도권 상황에 대해 "부산·경남권에서는 환자 수가 2배가량 증가했다"면서 "울산과 진주에서 발생한 사우나발(發) 집단감염, 부산 항운노조, 어시장 등의 집단감염 영향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이 밖의 방역 지표에서도 위험 신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1주간 신규 확진자 가운데 자가격리 상태에서 확진된 사람 비율을 뜻하는 '방역망 내 관리 비율'은 38.4%로, 일주일 전(46.9%)보다 8.5%포인트 낮아졌습니다.

반면 감염경로를 조사 중인 사례 비율은 24.5%(3천121명 중 763명)에 달했는데 확진자 약 4명 중 1명은 언제, 어디서 감염됐는지 알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손 반장은 최근 감염 양상과 관련해 "동호회나 가족·지인 등의 모임에서 집단감염이 시작돼 가정 내 감염으로 이어지고 다시 어린이집, 학교 등까지 연결되는 'n차 감염'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환자 수와 감염 재생산지수, 유행 양상 등 모든 지표가 안 좋은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어 다시 한번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며 "개학과 봄맞이 등 이동량 증가 요인이 앞으로도 많은 점은 우려되는 지점"이라고 말했습니다.

손 반장은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직장과 여가 등 모든 일상생활 속에서 방역관리에 더욱 주의해달라"며 '3밀'(밀접·밀집·밀폐) 환경 주의,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방역수칙을 지켜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봄바람이 불고 일부 자영업 단체들이 집단행동을 보이면서 역시나 코로나19 재감염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서는 모습입니다

정부에서 사회적 거리두기를 일부 완화해 중소자영업체들의 숨통을 터준다는 것이 자칫 사람들에게 잘못된 신호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아직 코로나19백신 접종도 60만여명에 머물고 있어 일반적인 사회생활을 하는 이들은 여전히 코로나19 감염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아직은 긴장을 풀어선 안될 때로 개인방역 기준을 잘 지켜 서로에게 민폐가 되지 않게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울러 소규모 집단감염이 발생한 곳은 방역기준을 위반했는 지 여부를 확인해 집단감염에 대한 구상권을 확실히 물었으면 좋겠습니다

자유를 준 것만큼 스스로 책임도 확실히 질 줄 알아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