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youtu.be/pojP9_k3_DY?si=dOUfcxNgS3OgrI3d 

안녕하세요

일본 기시다 정부가 한미일 캠프데이비드 정상회담 후 곧바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해양폐기를 결정하고 실행하면서 중국 정부가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중국정부는 한미일 캠프데이비드 정상회담 직전 중국인의 한국단체관광을 허용하여 다시금 중국인 유커들의 국내 방문과 중국소비주 수요확대를 기대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 기시다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폐기로 중국내 반일감정이 커지면서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우리 기업들이 일본기업들에게 빼앗긴 중국시장을 되찾는 게기가 될 것 같습니다

 

27일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소비자들이 핵으로 오염된 폐수를 (24일부터) 방류한 일본의 이기적 행위에 따라, 화장품 등 일본 제품에 거부감을 표하고 있다"고 보도했고 실제 샤오홍슈 등 중국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SK-II, DHC 등 31개 일본 화장품 브랜드를 망라한 목록이 공유되고 있는데 후지, 코니카, 파나소닉 등 일본 전자·가전 제품을 대체하는 중국 브랜드 소개 게시물도 올라왔습니다.

 

중국 정부의 일본산 수산물 금수 조치와는 별개로, 중국인들 스스로 일본 제품 불매 운동에 나서고 일본 여행도 취소하는 등 민간 부문의 '노 재팬(No Japan) 운동'으로 번지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한미일 캠프데이비드 정상회담 직전에 풀어준 중국인 단체관광객 허용에도 불구하고 일본에 대한 단체관광상품은 아예 자취를 감추고 말았습니다

 

LG생활건강과 아모래퍼시픽은 일본 SK-II, DHC를 대체할 기회로 판단되는데 최근 들어 중국 소비주들에 대해 매수세가 증가한 것도 이런 추세를 감안한 선취매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정부가 윤석열 정부와 한국인을 분리해 대응하는 세련된 외교통상 정책을 꺼내들었는데 지난 박근혜 정부 당시 사드보복에 반중정서만 강화되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대중국 무역적자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이번 기회를 잘 이용해야 일본기업에 빼앗긴 중국 시장을 일부라도 되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최소한 윤석열 정부가 우리 기업들의 이런 자구노력을 규제하며 일본기업의 시장을 빼앗지 못하게 하지만 않는다면 중국소비주들의 실적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중국소비주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아모레G

한국콜마

한국콜마홀딩스

코스맥스

코스맥스비티아이

한국화장품

한국화장품제조

신세계인터내셔널

코리아나

애경산업

토니모리

코스메카코리아

잉글우드랩

잇츠한불

에이블씨엔씨

제이준코스메틱

제닉

세화피앤씨코

리더스코스메틱

씨앤씨인터내셔널

마녀공장

호텔신라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신세계

신세계인터내셔널

이마트

글로벌텍스프리

스튜디오드래곤

에스엠

JYP Ent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에프엔씨엔터

NEW

CJ CGV

제이콘텐트리

쇼박스

팬엔터테인먼트

버킷스튜디오

지니뮤직

큐브엔터

IHQ

초록뱀

삼화네트웍스

판타지오

파라다이스

GKL

PN풍년

쿠첸

보령메디앙스

아가방컴퍼니

제로투세븐

토박스코리아

락앤락

형지엘리트

 

 

중국 노재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