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2030년까지 원전 수출 10기를 목표로 하는 윤석열 정부가 내년도 원전 해외 마케팅 예산을 100억원대로 대폭 확대하기로 했는데 올해 예산인 33억원 가량에 비해 3배 이상 늘어난 규모입니다
원전수출 컨트롤타워인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가 본격적으로 가동됨에 따라 해외 원전 수출에 기대감을 갖게 하고 있습니다
1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33억원 수준인 원전 수출 해외 마케팅 예산을 100억원대로 3배 이상 늘리는데 원전 수출 예산은 지난 정부 내내 30억원 수준에 그치고 있습니다.
2018년 24억원이었던 해당 예산은 2019년 30억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2020년 31억원, 2021년 31억원, 2022년 33억원으로 수출 확대를 위한 마케팅에 사용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금액으로 윤석열 정부에서 100억원대로 키우면서 원전수출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원전 수출 컨트롤타워인 민관 합동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가 윤석열 정부들어서 출범했는데 위원회는 주요 의제별 전담기관 중심의 수출 전략 마련과 함께 원자력 세미나, 원전산업 로드쇼, 주요인사 초청 등 현지 홍보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탈원전을 내세웠던 문재인 정부에서는 2019년 30억원 수준이던 원전 해체 예산이 2020년 150억원으로 5배 이상 늘어난 적도 있어 새 정부의 원전 수출 예산 증가폭이 3배를 넘어설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시대착오적인 원전수출 드라이브 정책으로 기존 원전기술을 활용해 수출산업으로 키우겠다는 것이지만 선진국들은 친환경에너지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늘리면서 조만간 화석에너지 중심의 탄소경제가 친환경에너지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데 우리나라 윤석열 정부는 시대역행의 정책을 펴고 있는 것입니다
지금도 선진국 중 신재생에너지 비율이 가장 낮기 때문에 2050탄소제로 기후협약에 따라 향후 수출규제가 불가피해 보이는데 삼성그룹이나 현대차그룹 등 개별그룹 차원의 대응은 선진국을 따라가고 있지만 정부차원의 대응은 후진적인 모습 으로 역행하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정책수혜주라는 측면에서 투자자들은 묻지마 매수를 보이고 있는데 그나마 약세장에 대안이 경기침체에도 수익을 낼 수 있는 정부 예산이 뒷받침되는 정책수혜주가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원전관련주
삼성물산
현대건설
GS건설
한국전력
한전KPS
한전기술
한전산업
우진
HRS
대창스틸
대창솔루션
두산에너빌리티
두산
HSD엔진
우리기술
보성파워텍
비에이치아이
서전기전
오르비텍
일진파워
에너토크
한신기계
비엠티
휴림로봇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유가 관련주 러시아 에너지무기화 우려에 동반 급등세 (0) | 2022.08.23 |
---|---|
OCI 중국 폴리실리콘 업체 전력난 가동 중지 반사이익 기대감 (2) | 2022.08.23 |
쏘카 상장 2일차 저가매수세 유입에 반등세 6개월 동안 품절주 가능성 머니게임 양상 (0) | 2022.08.23 |
미국증시 미연준 긴축정책 강도 지속 유럽경기침체 우려에 동반 약세 (2) | 2022.08.23 |
한국종합기술 국토교통부 13조7000억 원 규모 ‘가덕신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 수립 용역’ 수의계약 추진 소식에 급등세 (2) | 2022.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