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수입 목재가격이 치솟으면서 제지·가구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는데 특히 코로나19(COVID-19) 백신접종 등으로 세계 경제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원자재 가격뿐 아니라 해상운임도 폭등하면서 목재 수입에 드는 비용이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습니다.
주요 목재소비처인 가구업계에서도 원자재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는데 한샘은 올해 3월과 이달 두 차례에 걸쳐 5%씩 품목별 제품에 대한 가격인상을 단행했고 현대리바트도 3~5% 제품별 가격 인상을 진행했는데 가구업계 관계자는 "순이익이 5% 안팎으로 원자재에 따른 가격 인상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원목 등을 주로 사용하는 시몬스 침대는 다음 달 1일부터 침대 프레임 가격을 10% 인상할 방침인데 앞서 시몬스 침대는 올해 4월에도 프레임, 매트리스 등의 가격을 8~15% 올렸었고 에이스침대도 올해 4월 프레임 8%, 매트리스 14% 가량의 가격인상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하반기에도 이 같은 현상이 계속 될 경우 추가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데 통상 하반기에는 목재가격이 떨어지는 비수기에 접어들지만 지난해 코로나19로 떨어진 소비심리의 기저효과 등이 이어지면서 원자재 가격이 좀 처럼 떨어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고 또 해상운임 가격도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급증하는 공급이 수요를 쫓아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수요가 잠잠해지기 까지는 가격 상승 압박이 계속 될 것"이라며 "목재 이외에 철강 등 일부 원자재 가격이 안정권에 접어들고 있지만 연말까지는 혼란이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곧 해상움임 담합관련 해운업계에 8천억원대 과징금을 부과할 것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목재운반비용이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감도 주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가구주 중에서 에이스침대는 최대주주 지분이 79.56%에 달해 품절주 반영에 올라 있는 종목인데 이번 반기실적도 어닝서프라이즈 수준을 보여 장 초반 상한가로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잔반적으로 실적호전을 주가에 반영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린바이오 미국 모더나 백신 공급지연 위탁생산분 국내 직접 공급 가능성 (0) | 2021.08.17 |
---|---|
영화테크 자동차 전장 관련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부각 급등세 (0) | 2021.08.17 |
미 중앙은행(Fed) 오는 11월께 테이퍼링(자산매입액 축소) 착수 가능성 (0) | 2021.08.17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관련주 강원 인제군 소재 돼지농장에서 ASF 추가 발생 소식에 관심 고조 (0) | 2021.08.17 |
한컴라이프케어와 딥노이드 17일 코스피시장과 코스닥 시장 각각 상장 (0) | 2021.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