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애플이 2023년 삼성의 8인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화면을 탑재한 아이폰을 출시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3일(현지시간) 애플 전문매체 맥루머스에 따르면 애플 전문 분석가로 알려진 밍치궈 TF인터내셔널증권 밍치궈 연구원은 이날 투자가들에게 이 같은 관측을 내놨습니다.
그는 “우리는 애플이 2023년 8인치 QHD+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폴더블 아이폰을 출시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삼성디스플레이(SDC)가 독점으로 디스플레이를, 삼성 파운드리가 독점으로 디스플레이구동칩(DDI)을 공급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고 이어 “애플의 생산 계획을 기반으로 우리는 2023년 폴더블 아이폰 출하량이 1500만~2000만대가 될 것으로 예측한다”며 “우리는 폴더블 아이폰이 SDC의 Y-옥타 기술 대비 장점이 많은 TPK의 실버 나노와이어 터치 솔루션을 적용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습니다.
밍치궈는 폴더블 스마트폰이 메이저 스마트폰 브랜드들의 필수품이 될 것이라며 최대 수혜자는 애플이 될 것으로 전망했는데 그는 “우리는 폴더블 기기들이 미래에 스마트폰, 태블릿, 랩톱의 경계를 흐릿하게 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생태계와 하드웨어 디자인 이점으로 애플이 새로운 폴더블 기기 트렌드에서 최대 승자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물론 아직 애플이 폴더블폰 개발 단계에 들어간 것은 아니지만 벌써부터 많은 이들의 기대를 모으고 있는데 밍치궈는 지난 3월에도 애플이 2023년 7.5~8인치 폴더블 아이폰 출시를 준비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폴더블폰 시장은 삼성전자의 독주가 이뤄지고있는 시장으로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도 고가 프리미엄폰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의 아성에 맥을 못 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삼성전자 혼자만의 독주는 폴더블폰 대중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어 내심 삼성전자도 애플이 폴더블폰 시장에 들어와 주길 바라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아직까지 애플의 폴더블폰 시장 참여는 소문만 무성할 뿐 구체적인 소식이 들려오지 않고 있는데 애플 아이폰의 위탁생산을 하고 있는 중국 폭스콘의 기술력에 신뢰가 없기 때문에 아직은 시장이 성숙되고 중국업체들의 폴더블폰 제조기술이 올라오기를 기다리는 것 같습니다
폴더블폰 대중화를 위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야 하는데 아직은 삼성전자 혼자만은 버거워 보이기는 합니다
아울러 폴더블폰을 꼭 사용해야하는 킬러 어플리케이션이 없다는 점도 폴더블폰 대중화를 가로막고 있는 것인데 고가의 가격도 그렇고 크고 무거운 폴더블폰을 꼭 써야하는 이유를 아직 소비자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냥 부자들의 장난감으로 치부되는 실정이라 대중화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 모델입니다
아직은 몇년 후의 일이지만 우리 증시의 폴더블폰 부품주들은 시장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시장참여자들의 주목을 받을 것 같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세요
'주식시장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나무 주주사 가상자산 이더리움 신고가 경신에 동반 강세 (0) | 2021.05.04 |
---|---|
바이오주와 제약사 공매도 충격에서 회복세 종목별 차별화 저가매수세 유입 중 (0) | 2021.05.04 |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아내 멀린다 게이츠와 이혼 발표 재산분할은 미공개 (0) | 2021.05.04 |
공매도 재개 첫날 일일 공매도 거래대금 1조931억원 기록 (0) | 2021.05.03 |
식량부족 관련주 글로벌 곡물대란 우려감에 동반 강세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