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외교부는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을 피해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하려는 현지인들 중 우리 정부 활동에 지원해온 현지인 직원, 배우자, 미성년 자녀·부모 등 380여명이 오는 26일 군 수송기를 이용, 인천공항에 도착한다고 25일 밝혔습니다.

 

이들은 수 년간 주아프가니스탄 한국대사관, KOICA(한국국제협력단), 바그람 한국병원, 바그람 한국직업훈련원, 차리카 한국 지방재검팀에서 근무한 바 있습니다.

 

외교부는 이들은 난민이 아니라 특별공로자로서 한국에 들어온다고 강조했고 미국과 영국 등 우방국들도 아프간 조력자들을 자국에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종문 외교부 2차관은 이날 합동브리핑실에서 "이들은 아프간 상황이 악화되면서 주아프간 우리 대사관에 신변안전 문제를 호소하면서 한국에 지원을 요청해 왔다"며 "정부는 우리와 함께 일한 동료들이 처한 심각한 상황에 도의적 책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책임, 인권 선진국으로서의 국제적 위상, 그리로 유사한 입장에 처한 아프간인들을 다른 나라들도 대거 국내 이송한다는 점을 감안해 이달 이들의 국내 수용 방침을 결정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정부의 이 같은 방침에 따라 범정부 TF(태스크포스)가 구성됐으며 이들의 국내 이송은 외교부가, 도착 후에는 국내 정착에 관한 사항을 고려해 법무부가 맡기로 했습니다.

 


앞서 정부는 외국 민간 전세를 이용해 이들을 아프간으로부터 이송하는 방안을 추진했다. 그러나 지난 15일 아프간 카불공항 상황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민간 전세기 취항이 불가능해져 군수송기 3대를 투입을 전격 결정했습니다.

 


군수송기는 지난 23일 중간기착지인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 도착했고 다음날인 24일 카불과 이슬라마바드를 왕복하면서 아프간인들을 이송했습니다.

 


차관은 "아프간인 직원 및 가족들은 공항 도착 즉시 방역절차를 거쳐 보안과 방역 측면에서 적합한 임시숙소,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임시숙소로 이동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 정부 외에도 미국과 영국, 호주, 독일 등도 조력자 구출 작전을 펼치고 있는데 미국은 이달 초 조력자 1500여명을 대피시켜 자국에 수용했고, 1만8000명을 추가로 이송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고 같은 기간은 영국은 1700여명, 독일은 700여명을 수용했고 프랑스는 700여명을 대피·수용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한편 한국군은 2007년 아프간에서 철수했다. 이후 2010~2014년 NATO(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가 주도하는 국제안보지원군(ISAF)의 일원으로 지방재건팀(PRT)을 통해 아프간의 보건, 의료, 교육 등 분야를 지원했습니다.

 


최근 미군 철수 작업이 본격화하자 탈레반은 수도 카불에 진입해 정권을 장악했고 이에 따라 국제사회와 협력한 아프간인들의 안전 우려가 제기됐습니다.

 


한국 정부도 신변을 위협받는 이들을 보호해야 할 국제적인 의무가 있다고 판단, 군 수송기를 동원해 정부 조력자들을 국내로 대피시키는 작전을 추진해왔습니다. 

 

이들 조력자들은 장기적으로 아프칸과 우리나라의 협력을 이어주는 다리가 될 수 있는 인재들로 친한파로 키워져 우리나라의 중앙아시아 진출에 협력자로 일할 수 있을 겁니다

 

우리 국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쪽으로 아프칸협력자를 데리고 오고 보호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후 우리나라의 해외파병과 해외근무자들에 대해 현지인들의 신뢰가 올라가는 게기가 될 것 같습니다

오쉬노부대
오쉬노부대

 

 

728x90
반응형